본문 바로가기

지금시골풍경은45

금수에서 달집태우기 행사가.. 정월 대보름을 기해 올해 4회째로 달집 태우기 행사가 금수문화예술마을(구금수초등학교)에서 금수발전위원회 주관으로 거행되고 있습니다. 우리 고유의 전통과 문화가 이어지고 있는 아름다운 풍속의 한 장면 입니다. 정월 대보름 달불놀이는 세시풍습의 하나로 음력정월 첫쥐날 간지로는 상자일(上子日) 밤에 농가에서 행하는 풍속의 하나로서 대부분 음력 정월 14일날 밤에 마을마다 들로나가 논둑.밭둑의 마른풀에 일제히 불을 놓아 태우는 놀이로 이놀이는 1년동안 무병(無病)하고 액(厄)을 막을수 있다는 민속신앙의 기능과 잡초를 태움으로서 해충의 알 및 쥐를 없애 풍년을 기원하고 불의 기세에따라 그해의 풍.흉(豊.凶)과 그 마을의 길.흉(吉.凶)을 점을 치기도 했다고 합니다. 일제시대 조선총독부에서 발행한 "조선의 향토오락.. 2013. 2. 28.
미리가본 달집태우기 행사장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행사장인 성주군 금수면 금수문화예술마을에 행사전날 미리 가본 풍경 입니다. 이곳은 카페지기의 초등학교 모교이기도 합니다. 졸업한지도 어언 46년이 지났네요. 평소때 옆으로 지나 다니면서도 들르지 못하다가 새삼 스러운 마음으로 추억과 역사가 스며있는 구석구석을 돌아 다녀 봐ㅆ습니다. 늘상 기념사진의 배경이 되었던 두그루의 향나무.진한 붉은색의 단풍을 물들게 했던 단풍나무.이젠 고목나무가 되어버린 벛나무와 근래에 세워진 야외무대도.... 2013. 2. 28.
미리본 성탄추리 아기 예수님 탄생을 축하 하는 성탄 추리가 거리에 성당과 교회에 보이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성탄이 다가 왔음을 느끼게 되는거 같습니다. 올해엔 전력난으로 크리스마스 추리의 아름다운 불빛을 보며 볼멘 쓴소리를 하는 목소리도 들린다고 그러네요. 지나치게 화려한 추리와 밤 새도록 밝히는 불빛은 좀 생각해볼 필요성을 느껴 봅니다. 성주.가천면에 소재한 가천성당 성모동산 성탄추리 모습입니다 2012. 12. 17.
지금 성주 참외는? 이젠 본밭에 나갈날만 기다리고 있는 참외 모종들 입니다. 올해(2012년) 성주참외의 조수익이 약 4.000 억원 이었다고 하니 농업분야 한품목으론 대단한 기록 입니다. 2012년 11월 23일.성주참외농가에서 2012. 11. 26.
가을 이네요!!! 마지막 햇살을 받으며 결실의 문턱을 넘어서고 있는 과일과 황금들판의 벼이삭이 우리를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가을입니다. 2012. 10. 6.
허수아비와 벌초.. 세월은 많이도 바뀌었는데 들판의 허수아비는 여전 합니다. 어떤곳에선 마네킹허수아비도 등장했다고 그러는데 효과는 어느정도인지 모르겠네요 허수아비가 지켜보는 가운데에서 우리민족의 아름다운 전통과 풍속인 벌초작업후 조상님께 성묘를 드리고 있습니다. 2012.9.15 성주읍 용산리 에서 스마트폰으로 2012. 9. 18.
보리수 열매가 시큼.달콤 경상도 지방에서는 보통 벌똥 나무라 불리어 지는 보리수는 우리 고유 재래종에 비해 열매가 크며 과육이 두꺼운데 요즈음 많이 심는 보리수는 개량되어 길러지고 있지요. 자생하고 있는 보리수(벌똥) 나무는 열매도 작으며 열매 껍질 부분의 반점이 꼭 벌이 똥싼 것과 흡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그러는데 요즈음엔 찿아보기가 쉽지는 않지요. 보리수 나무는 보리수나무과로 쌍떡잎 식물에 속하며 생약명 으로는 우내자(牛내子)라 부르며 원산지는 우리나라로 꽃말은 해탈 이라 그럽니다. 2012. 7. 10.
옥수수 수염이 올라 오네요. 옥수수 먹는 모습을 하모니커를 부는 모습과 비교 하곤 했는데 요즈음은 사람이 먹는 용도보다 가축을 먹이기 위해서 옥수수를 심는 면적이 훨씬 많은 세상이 되었습니다. 애지리 고사리밭 앞두렁에 심어놓은 옥수수가 이제 막 하얀 수염을 내밀고 있습니다. 옥수수는 제물을 뜻한다고 하며 벼과로서 외떡잎 식물로 원산지가 아메리카 대륙으로 콜럼버스와 어느 탐험가에 의해 전파되어 전세계적으로 재배가 이루어 지고 있으며 미국에서 전 세계 생산량의 반을 생산 하고 있어 밀 다음으로 많은 경지면적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옥수수를 미국이나 영국에서는 indian.com이라 부른다고 하네요.. 2012. 7. 7.
달팽이가 유리창에.. 달팽이.지렁이.반딧불 등 이런 동물이나 곤충들은 주변 환경이 그래도 깨끗하고 땅이 살아있을때 볼수있는 것 들 이지요 달팽이 한마리가 이른 새벽에 창문을 타고 오르는 모습 입니다. 애지리에서 달팽이를 볼수 있다는 것은 참 다행 입니다. 달팽이는 연체동물로 정소와 난소를 함게 가지고 있는 자웅 동체동물이며 알과 정자를 동시에 만들어 내며 천적은 딱정벌레 라고 합니다. 2012. 7. 7.
애지리 고사리밭 2012. 6. 26.
불빛에 사슴벌레가.. 애지리농원에 밤이되어 야외등을 켜노면 상당수 여러마리가 불빛을 보고 날아옵니다 환경파괴로 그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고 그러는데 애지리엔 그래도 밤만되면 꼭 찿아 주네요. 작년 여름에는 반딪불도 몇마리 날아 다녔답니다. 우리나라에는 주로 넓적사슴벌레가 많다고 그러네요 사슴벌레는 사슴벌레과로 주로 아시아에 서식하며 수명은 2~4년 정도 천적은 딱따구리라 합니다. 수컷의 아래턱이 크게 발달하여 사슴의 뿔처럼 생겼다고 사슴벌레라 하며 썩은 통나무 주위에 서식하여 수액(樹液)을 섭취하며 살아가고 크기는 대개 4~7cm 정도 (아래 사진은 외등 불빛을 보고 날아온 사슴벌레) 2012. 6. 25.
양파도 이런 아름다움이!!! 우리 식탁에 올라오는 양파는 뿌리식물 로서 늘상 우리들 생활속에 자주 접하지만 양파꽃을 보는것은 그리 쉽지는 않을 것 입니다. 아래 사진은 양파 꽃망울이 곧 피어나기 직전의 모습 입니다 양파는 완숙기가 되면은 거의 지상부 줄기가 쓰러 지는데 그리 많지는 않지만 몇몇 포기가 꽃봉우리를 맺는데 봉우리를 가진 포기는 쓰러지지 않고 꼿꼿하게 서서 마지막 까지 결실을 향해 생명체를 잉태 합니다. 양파(onion)는 백합과(百合科.Liliaceae)로 외떡잎식물이며 2년생 초에 아시아 남서부가 원산지로 사실은 식용으로 쓰이는 부분은 비늘줄기와 덩이줄기이며 우리나라 에는 조선시대말 미국의 품종과 미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가 새롭게 만들어진 품종들이 도입되어 오늘날 재배 되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2012. 6.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