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지리농원 주변.비경 경관은./성주 무흘구곡을 찿아11 무흘9곡 용추폭포(龍湫瀑怖) 무흘구곡중 마지막 용추폭포 9곡은 8곡 와룡암에서 900m지점에 위치하며 소(沼)에 용이 살다가 하늘로 올라 갔다고 하여 용소 폭포라고도 부른다. 이폭포의 높이는 17m로 물의 깊이는 약 3m 정도이나 명주실 한타래가 다들어간다는 전설도 전해지고있다. 근래에 출렁다리와 데크를 설치하여 폭포앞까지 접근이 용이 해졌으며 출렁다리와 데크길을 연결한 인현왕후길도 연장하여 계곡 건너편을 경유토록하여 무흘구곡 마지막인 용추폭포 주변에 많은 변화를 시켜 놓았다. 김천시는 4개 구간에 116억원을 투입하여 무흘구곡 경관가도 사업을 이루어 놓았다. 제1곡 봉비암에서 시작된 무흘구곡은 이곳 용추폭포를 9곡으로 35km 의 투어가 마무리된다. 2018. 11. 30. 무흘8곡 와룡암(臥龍巖) 8곡 와룡암은 7곡 만월담에서 약 1.4km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바위의 형상이 용이 누워 있는거 같다고하여 와룔암이라 한다. 이곳도 태풍피해의 복구과정과 도로확장공사 하천정비등 으로 원형이 많이 훼손 되었으며 암반에 새겨놓은 와룡암라는 각자도 와(臥)자가 도로 쪽에 가려져 있다. 2018. 11. 30. 무흘7곡 만월담(滿月潭) 7곡 만월담은 옥류동에서 수도암 방향 장평마을을 지나 100 여m 상류 우측계곡에 6그루의 소나무가 있는 지역으로 현재의 모습은 지난 루사 태풍에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이곳에서 조금 올라가면 한강이 저술과 후진양성의 장소로 사용 하였던 무흘정사(武屹精舍)가 있는곳으로 한강은 62세(1604년)때 수도산에 무흘정사를 건립하고 편액을 서운암이라하고 그아래 비설교(飛雪橋)와 만월담이 있고 만월담 위쪽에 자이헌(自怡軒)이 있는데 나무를 얽어 만들었다고 한다. 서운암 동쪽에는 산천암(山泉庵)이 있었는데 바위틈에서 샘물이 나와서 산천암이라는 이름을 가졌다고 하는데 1607년 정미년(선조40) 홍수때 시설물이 떠내려 갔다고 한다. 2018. 11. 30. 무흘6곡 옥류동(玉流洞) 6곡 옥류동은 5곡 사인암에서 약 2.6km 거리인 김천시 증산면 유성리에 위치하며 물이 흰 암반위를 흐를때 옥이 흐르는것 같다고하여 옥류동이라 하였다한다. 현재의 옥류정각은 복원된 건물이며 원래의 옥류정은 1938년 사라호 태풍때 유실 되었다고하며 옥류동 아래 30m 지점 암반에 옥류동 각자를 새겨 놓았으며 또다른 암반에는 정자의 흔적을 추정 할수있는 석혈(石穴)이 남아 있다. 옥류동에는 운학대.수송대.유연대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유연대에서는 5곡인 사인암을 볼수 있었다고 한다. 2018. 11. 28. 제5곡 사인암(捨印巖) 이곳은 성주군 금수면과 김천시 증산면의 경계지점으로 금수면 영천리 은적 마을과 접하고있다. 5곡 사인암은 가장 논란이 많은 지역 이기도하다 무흘구곡도에 그려진 사인암의 그림은 현위치보다 약 100여m 김천방향쪽으로 추정되지만 30번 국도공사로 인해 훼손되어 원형은 옛 형태를 찿아 볼수없다. * 명칭도 옛표지판에는 한자로 舍人岩이라 되어있고 아직도 도로변에 세워져있다. 새로 설치된 석물 표지석에는 捨印巖이라 표기되어 한자의 뜻은 전혀 다른 내용으로 이곳을 찿는 사람들에게 혼동을 주고있다. * 참고로 또다른 사인암은 충북 단양군 대강면에 대한민국명승 제47호로 지정된 단양8경중 1경인 사인암은 한자로 舍人巖으로 표기되어 있다 . 성주 무흘구곡의 사인암(捨印巖) 충북 대강면 사인리의 사인암(舍人巖) 2018. 11. 28. 무흘4곡 입암(立岩) 이곳 무흘구곡중 4곡 입암은 영천리 중리부락과 하입암 부락 중간지점 30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강의 무흘구곡중 가장 빼어난 절경을 자랑 하는곳으로 30 여m 높이의 괴암이 우뚝 솟아있는 바위가 입암으로 바위의 상단 중간에 소나무가 자라고 있는데 이곳에 학이 집을 짓고 살았다하여 소학봉(巢鶴峰)이라고도 한다. 부근 마을 이름도 입암 이름을 따 하입암(아래선바위) 상입암(웃선바위)라 불려지고 있다. 아름다운 경관을 간직한 무흘4곡 입암이 성주팔경에 지정되지 않은점은 입암(선바위)를 찿을때마다 의아함을 느끼며 이해가 가지않는 곳이다. 주소: 경북 성주군 금수면 영천리 산169번지 선바위 하단 암벽에는 큰글씨로 입암(立巖) 새겨놓고 왼편에는 숭정기원후 팔십구년 병신맹추각(崇禎紀元後 八十九年 丙申孟秋刻)이.. 2018. 11. 27. 무흘구곡3곡 선암(船岩)무학정(舞鶴亭) 무흘구곡 제3곡은 성주 무주간 30번 국도 금수면 무학1리 넉바우 부락과 배바우부락 중간 지점 무학천변에 위치하고있다. 무흘1곡 봉비암에서는 약17km 거리로 자동차로 이동 시간은 약 26분이 소요된다. 최근에 진입로 데크 공사와 표지판이 새로 정비되어 설치 되었으며 최근에 조성된 야영캠핌장과 접하고 있어 그리 어렵지않게 접근 할 수 있으나 정각에 오르는 나무계단이 불에타 그냥 방치 상태라 출입을 금지 시켜 놓았다. 2017.12.26 제3곡 무학정이 서있는 바위 모양이 배 모양을 닮아 선암(船岩) 배바위라고도 부르는데 무학정 상류 부락명도 여기에 유래하여 배바우라 불려지고 있다한다. 무학정 하류에 있는 마을은 넉바우로 마을앞 냇가에 크고 넓은 바위가 하나있어 이바위를 넓은 바위란 뜻으로 넉바우로 부르게.. 2017. 12. 30. 무흘정사(武屹精舍) 경북.김천 이곳은 한강 정구(1543~1620)선생이 이곳에 터를잡고 무흘정사(武屹精舍)를 세워 여기에 머무르며 저술 활동을 하였고 많은 학자들이 왕래하던 중요한 역사 문화의 터전으로 역사적인 비중과 무흘구곡의 수려한 주변 경관을 고려하여 경북기념물로 지정 되었다. * 무흘구곡1곡인 봉비암에서 대가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면 2곡 한강대를 제외하면 거의다 30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흘정사가 위치한 곳은 김천시 증산면 소재지에 위치한 6곡 옥류정을 지나 30번 국도를 따라 대덕.무주 방향으로 가다보면 직지사 말사인 청암사 표지판이 보이며 청암사 방향으로 들어서며 바로 좌측 수도암 쪽으로 접어들어 평촌 마을을 지나 200 여m 쯤 도로변에 한강무흘강도지(寒岡武屹講道址)라는 표지판을 따라 계곡을 건너면 허물어져가는.. 2017. 12. 3. 무흘구곡2곡 한강대(寒岡臺)경북.성주 이곳은 무흘구곡 제1곡인 봉비암 건너편에 위치 하고 있으며 9곡중 접근성이 가장 까다로운 장소로 암벽 봉우리는 갓말 부락을 경유하여 진입 할수 있으며 암벽 전체를 관망 할려면 돌아서 수성리 수국 부락을 경유하여 대가천 냇가로 접근해야 전체의 풍광을 볼수있다. 근래에 한강대 앞 대가천 냇가변엔 몇년전에 설치 해 놓았던 하키장은 수해로 떠 내려가고 지금은 축구장을 조성해 놓았으며 현재는 냇가 바닥 정비 작업이 진행중에 있다. 2곡 한강대는 1곡에서 약1.5km 거리로 수성2리 마을 뒷산으로 바위에 한강대(寒岡臺)라 새겨져 있고 그당시 산등성이에 한강정사를 지어놓고 은거했으며 정사이름 한(寒)자는 주자가 세상에 관심을 접고 학문에 매진했던 한천정사에서 가져왔다고한다. 31세 때에 한강정사에 머물면서 효기우음(.. 2017. 11. 17. 무흘구곡도와 구곡시 표지석(경북.성주) 무흘구곡 경관가도사업으로 세워진 무흘구곡도와 구곡시 표지석은 회연서원 입구 도로변에 설치하여 놓아 무흘구곡 전체를 이해 하는데 많은 도움이되며 구곡의 위치를 미리 파악 할수도 있어 처음 찿는 탐방객들에게 참고가 되리라본다. 2017. 11. 17. 무흘구곡(제1곡 봉비암.鳳飛巖)경북.성주 경북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근래에 4차선 도로로 확장된 성주 고령간 33번 국도와 접하고 있는 이곳은 무흘구곡(武屹九曲) 제1곡인 봉비암(鳳飛巖)과 회연서원이 위치 하고있다. 성주에서 33번 국도를 이용하여 자동차로 오다보면 무흘구곡표지판의 거리의 숫자가 이곳 봉비암 또는 3곡인 무학정의 거리를 표시한 이정표가 있어 처음 무흘구곡을 찿는 사람들에겐 좀 헷갈리게 만든다. 이곳 봉비암은 성주에서 약 15km 지점이며 회원서원 뒷편 낮은 산봉우리로 대가천(大伽川)변에 봉황이 나는듯한 형상을 하였다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2017년 11월 7일 촬영) 최근에 정비된 무흘구곡 1곡인 봉비암 전경 * 2012년 10월18일 무흘구곡 경관가도 사업 사업설명회와 자문위원회를 거쳐 3대 문화권문화 생태 관광기반.. 2017. 11.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