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국립공원에는/가야산 비경(폭포.암능)11 가야산(伽倻山) 용수폭포 이곳은 가야산국립공원 구역으로 경북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에 위치한 폭포로 발품을 30여분이상 팔아야 폭포에 도착할 수 있다. 폭포의 상단은 60~70도의 암반을타고 흘러 내리고 아래쪽은 약 15m의 높이에서 바로 물줄기가 떨어지는데 아래쪽은 비가온후 수량이 많아 위험하여 내려 가보지 못했다. 폭포 전체의 규모는 폭이 약15m .전체 높이는 약45m 정도로 전체를 한눈에 조망 하기엔 주변 환경이 여의치 않다. 마을 주민은 가끔 산짐승들이 이 계곡을 건너다 미끄러져 폭포 아래로 떨어져 죽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고 한다. 2019.8.22 2019. 9. 8. 남산제일봉 기암비경 남산제일봉은 가야산의 정남쪽으로 홍류동 계곡을 사이에두고 솟아있는 봉우리로 주로 청량사에서 남산제일봉 까지의 구간에 기암괴석들은 빼어난 경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흔이 남산제일봉을 매화산으로 많이 불려지고 있는데 매화산은 정확히 남산제일봉 남쪽에 있는 산을 지칭하며 또한 불영산으로도 불리는데 청량사입구에는 불영산청량사라는 편액이 걸려 있습니다. 아래 사진들은 청량사에서 매화산 구간에 있는 바위들 입니다. * 청량동 탐방지원쎈터에서 남산제일봉까지는 약2.3km로 소요시간은 2시간. 2016. 3. 13. 가야산만물상 가야산 만물상은 1972년 10월13일 9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 되면서 만물상은 비탐방 구역으로 지정 되어 38년이란 긴 세월을 일반인들의 출입이 통제되어 오다 2010년 6월12일날 개방이 되었습니다. 만물상이란 바위가 만가지 물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고하여 만물상이라 불려지고 있습니다. 이곳은 경북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성주팔경중 제1경에 지정되었고 만물상 구간은 총 3km로 백운동탐방지원쎈터에서 만물상 능선길과 서성재 까지를 말하며 소요시간은 약 2시간 반정도 만물상 구간은 가야산에서 가장 뒤어난 경관을 자랑 합니다. 만물상 전경 만물상서 내려다본 심원사 2016. 3. 12. 만귀정(晩歸亭)폭포 만귀정 폭포는 가야산 북쪽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 포천계곡 상류에 위치한 폭포로 조선 후기에 공조판서를 지낸 응와(凝窩)이원조(李源祚)1792~1871 만년에(1851년)에 귀향해 독서와 자연을 벗 삼으며 여생을 보내기 위해 폭포옆에 만귀정이란 정자를 지었는데 만귀정은 늦은 나이에 돌아 왔다는 뜻을 담고 있는데 이 정자 이름을 따와 만귀정 폭포라 불려 졌다고 합니다. * 또한 이곳은 포천구곡중 제구곡 홍개동으로 주변엔 만산일폭루(萬山一瀑樓)란 작은 정자도 있습니다. 2016. 3. 9. 가야산 소리길(제5구간) 소리길 5구간은 영산교에서 해인사까지 1.2km 거리로 소요시간은 약25분으로 전체거리7.2km 에 2시간 반을 걸어 출발점(가야면 황산리)에서 해인사에 도착 할 수가 있습니다.5구간은 성보박물관을 지나 비석군이 있는 비림과. 영지.일주문을 들어서서 봉황문을 거쳐 대적광전과 팔만대장경판전에 도달 핳 수 있습니다. 농촌의 정겨운 풍경을 느끼며 소나무숲과 계곡길.고운 최치원 선생의 발자취와 숨결을 느껴보고 빼어난 경관을 바라보며 천년고찰 해인사에서 찬란한 역사문화와 세계기록유산물을 보면서 선조들의 지헤를 느껴볼수있는 5구간 전체소리길 이었습니다. 해인사방향 계곡 성보박물관서 해인사방향 부도 영 지 일주문과 당간지주 봉황문 대적광전 대장경판전 2016. 3. 1. 가야산 소리길(제4구간) 소리길 4구간은 길상암에서 영산교까지 0.8km 거리로 소요 시간은 20분정도. 이 구간은 홍류동 옛길을 복원하고 다듬어서 계곡을 따라 완만하게 걸을수 있으며 길상암과 19경중 14경낙화담(落花潭).15경첩석대(疊石臺).16경회선대(會仙臺)가 있으며 낙화담은 소리길 경관중 가장 빼어난 경관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길상암 전경 길상암 오르는길 길상암 대웅전 길상암 적멸보궁 오르는길 낙화담 가을풍경 낙화담 겨울풍경 회선대는 도로가 생기면서 도로와 접하고 있음 첩석대 2016. 2. 29. 가야산소리길(제3구간) 소리길 3구간은 홍류문에서 길상암까지 이어져있는 구간으로 거리는1.4km로 소요시간은 약25분 걸리며 이곳에는 최치원 선생의 숨결을 느끼면서 그 발자취를 찿아 볼수도 있습니다.또한 물소리.새소리.바람소리 등 자연의 소리를 들을수 있고 5경인 홍류동(紅流洞)에서 13경인 제월담(霽月潭)까지 무려 이구간에서만 비경이 9 군데나 위치하고 있어 아름다운 자연풍광을 가장 많이 간직한 소리길 입니다. 취적봉은 홍류동 뒷산 독서당 능선에 있으며 자필암은 광풍뢰 아래쪽 길가에 음풍뢰는 광풍뢰 하류지점. 광풍뢰는 제월담 하류. 제월담과 분옥폭포는 농산정과 길상암 중간에 위치. 매표소가있는 홍류문 홍류동 농산정 취적봉.음풍뢰 2016. 2. 29. 가야산소리길(제2구간) 소리길 2구간은 무릉교탐방지원쎈터에서 홍류문 까지로 거리가1.8km 이며 걷는데 소요시간은 40분 정도가 걸리는데 이 구간은 푸른 소나무숲과 계곡길로 마치 무릉도원에 들어온 정취를 느낄수 있습니다. 2구간 중에는 19경중 3경인 무릉교(武陵橋)와 4경인 칠성대(七星臺)가 위치 하고 있으며 또한 3개의 목조 교량이 설치되어 운치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 무릉교는 가야산 진입 도로변에 세워져 있는 해인성지(海印聖地)표지석 맞은편 계곡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2016. 2. 29. 가야산 소리(蘇利)길(제1구간) 가야산 소리길은 2011년 9월 23일 대장경 세계문화축전 개막일자에 맞춰 소리(蘇利)길이란 이름으로 탄생 하였습니다. * 가야산 소리길은 대장경 테마파크부터 해인사까지 약 7.2km로 계곡과 소나무 숲을 걸으며 계곡소리.새소리.바람소리.등 자연의 소리를 들을수 있는 길 입니다. 7.2km를 걷는데 평균 소요 시간은 2시간 30분 정도. * 가야산 소리길 구간에는 가야산 19경중 16경이 소리길 구간중에 있으며 16경은 1경: 갱멱원(更覓源)-무릉도원을 상상하며 가야산을 바라보는곳 2경: 축화천(逐化川)-계곡에서 흘러온 꽃잎을 따라 올라 가는곳 3경: 무릉교(武陵橋)-무릉도원으로 들어가는 다리. 4경: 칠성대(七星臺)-북두칠성에 애향 하던곳 5경: 홍류동(紅流洞)-수석과 산림이 가장 아름다운 계곡 6경:.. 2016. 2. 29. 가야산 숨은비경(암능.바위) 가야산 국립공원의 가야산과 남산제일봉.매화산은 기묘한 바위와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이중환이 지은 택리지(擇里誌)를 보면 우리나라의 산을 돌산과 토산으로 구분하고 경상도에는 석화성(石火星)이 없다. 오직 합천의 가야산 만이 뾰쪽한 돌이 줄을 잇달아서 불꽃 같으며 공중에 따로 솟아서 극히 높고 빼어나다.하였습니다. 사방 어디서든 불꽃으로 일컬어지는 기암봉(奇岩峰)을 볼수 있다는 것이 가야산의 큰 매력이 아닐까 합니다. 가야산의 봉우리와 능선별로 바위의 종류가 다르게 되어있어 남서~북동으로 연결된 우두봉.칠불봉.동성봉 능선은 회장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산제일봉 능선은 화강암으로 정상부를 따라 기둥바위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는게 특징이며 백운동 계곡은 주변 능선에서 생성된 풍화산.. 2016. 1. 20. 가야산에 폭포는.(용문.죽전.용수)) 용문폭포(龍門瀑布) 안내 표지판에 보면은 작은 바위들이 마치 용의 비늘처럼 널려있어 금방 이라도 용이 꿈틀 거리며 승천 할 듯 수려한 절경을 자랑 한다하여 용문폭포라 불리운다. 예부터 기우제를 지내면 효험이 있다고 전해져 일제때와 광복 이후에도 수 차례에 걸쳐 가뭄이 있을 때마다 기우하여 효험을 보았다고 전해진다. * 용문폭포의 위치는 해인사 버스정류소가 있는 주차장과 집단시설지구를 지나 해인초등학교 방향으로 가다보면 좌측에 해인초등학교로 가지말고 직진을 하여 조금 가면 주차 공간이 나오면서 오른편에 폭포가 보입니다. 죽전폭포(竹田瀑布) 이 죽전폭포는 가야산 북쪽 행정 구역으로는 경북 성주군 가천면 법전리에 소재. 마수폭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폭포 높이는 약 9m 정도로 맞은편에 조그만 동굴이 있는데 .. 2016. 1.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