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지리박물관에는118 축음기(蓄音機) 애지리 박물관에 가끔씩 관람하러 오신분 중에는 소장하고 있는소중한 물품들을 이곳 애지리에 기증을 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애지리 박물관 식구가 자꾸 늘어나 이젠 1.500 여점의로전시 공간을 확보 해야될 상황인데 경제적인 문제로 여러가지 생각과좀더 빛을 발 할 수 있는 지혜를 찿아 봐야 될거 같습니다.아래 축음기는 2015년도에 대구에서 귀촌 한 지인이 애지리 박물관에 가져 오셨습니다. 축음기는 바늘이 회전하는 레코드(축음기판)의 홈을 따라갈때 생기는 진동으로 소리를재생 시키는 장치이며 축음기는 1877년 미국의 발명가 T.A 에디슨이 발명 한 것으로모든 현대적 축음기는 레코드를 돌리는 턴테이블.레코드의 홈을 따라가는 바늘바늘의 기계적인 움직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픽업 전기 임펄스의 세기를 높이는증폭기 증.. 2016. 3. 23. 야전침대(野戰寢臺) 이 군용야전 침대는 이웃동네 후배가 창고 정리하다 뚤뚤 뭉쳐진 것을들고와 사용이 가능한지 모르겠다고 거미들이 거미줄을 쳐놓은 상태였는데 고압분무기로 세탁을하고 조립을 해 보았더니아래와 같은 모습 입니다.애지리 박물관에 전시를 해 놓았습니다.* 야전침대(野戰寢臺)를 국어사전을 찿아 봤더니 이렇게 되어 있네요.산이나 들판 따위의 야외에서 사용하기 간편하게 접어 가지고 다닐수 있도록만든 간이 침대. 2016. 3. 23. 옛 담배 담배는 7세기경 마야 신전의 벽에 제사장이 담배를 피우는 그림이 묘사되어 있다고 합니다. 담배를 연초(煙草)라고 부르는데 뜻을 풀이하면 연기나는 풀이 되네요. 담배는 가지과로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열대지방으로 또한 담배는 고온성.천근성.호광성.장일성작물로 우리 건강에 해로운 니코틴.타르.일산화탄소 라는 3대 유해물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엔 담배가 1590년 임진왜란때 일본군에 의해 처음 소개되어 1618년(광해군10)에 일본을 거쳐 들어 왔거나 베이징을 내왕하던 상인들에 의해 도입된걸로 추정하며 1921년까지 자유경작에서 전매제도로 바뀌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담배 이름은 독립적으로 존재 하는것이 아니고 시대적 상황과 문화적 경향에 반영되어 지어진걸 알수가 있습니다. 년대별로 보면 .. 2013. 11. 17. 연자매 연자매는 축력 농기구의 하나로 알곡 및 가루를 내는 도구로서 연자방아 라고도 불리어 지고 있으며 방아는 디딜방아.연자방아.물레방아 순서로 발달되어 디딜방아는 소출이 적지만 소나 물이 없어도 설치가 용이 하였으며 연자매는 윗돌과 밒독에 쓰이는 커다란 돌로 원리는 윗 돌의 중심에 구멍을 뚧고 나무막대를가로 질러서 소의 멍에에 고정 시키면 소 가 돌면서 돌을 돌리게 되는데 돌은 요철로 만들어져 집어 넣는 곡식이 돌아가는 돌의 압력에 눌려 으깨 지면서 껍질이 벗겨 지거나 가루가 나게끔 되어있고 보통 소를 모는 사람 1명과 곡식을 넣는 사람 1명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오래 사용하면 돌의 요철이 마모되어 주기적으로 돌을 쪼아서 요철을 보강해 주어야 하였습니다. 요즈음엔 정미소가 발전하고 전기가 보급 되면서 우리들 주.. 2013. 3. 20. 사각 함지박 여러가지 음식을 담아두는데 두루 쓰는 그릇으로 통나무를 깍아 가운데를 파내고 만든 장방형.원형등 여러가지 모양이 있으며 사각함지박은 원형 이후에 만들어 사용 되었습니다. 2012. 9. 17. 이남박 나무를 바가지 모양으로 파내어 안쪽 턱에 이가서게 여러줄을 파내어 쌀을 씻어서 일을때 돌이나 모래등을 걸러내기위한 용도로 쓰여진 그릇으로 쌀베기 라고도 불렀으며 바가지의 일종 입니다. 크기: 지름 43cm* 높이 20 cm. 성주애지리문화농원소장 2012. 9. 17. 나무 자배기 큰 나무를 잘라 쪼개어 안을 파내고 만든것으로 아가리가 넓고 넓적하게 벌어진 모양으로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데 아래 사진의 나무 자배기 손잡이는 4 개가 달려 있습니다. 옹기 자배기가 사용되기 이전에 주로 채소를 씻거나 절일때 또는 쌀을 불릴때 사용 되었으며 함지박과 비슷하나 함지박엔 손잡이가 없으며 외형이 원형.사각.육각등 여러가지 모양을 이루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부터 사용이 시작된 걸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크기: 지름 80cm* 높이 23cm 성주애지리문화농원 소장 2012. 9. 17. 다이알식 전화기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전화기에 번호를 돌려 교환을 거치지 않고 바로 연결되는 이 다이알식 전화기는 전화문명에 큰 전환점이 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다이알식 전화기는 해방 이후부터 사용 되었다고 합니다. 2012. 6. 25. 고데기 주로 옛날 미용실에서 사용 되었던 머리 기구 입니다. "열로 데우거나 뜨겁게 하여 머리모양을 다듬는 것" 이 고데기라고 국어 사전에 되어 있습니다. 아마 지금도 고데기라 불리어지는 좀더 편리하고 발전된 머리 기구가 많이 사용 되어지고 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아래의 고데기는 숯불이나 연탄불에 데워서 사용 한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주로 우리네 아주머니.할머니들의 머리를 예쁘게 모양 내는데 사용했던 그때 그시절의 고데기 2012. 6. 22. 워 낭 워낭은 "소나 말의 귀밑에서 턱밑으로 다는방울"을 말하는데 이충열 감독의 워낭소리 라는 영화로 인해 많은 사람이 워낭과 소에 대한 관심 많아 졌으며 이 영화는 2009 년 1월 15일날 개장되어 관객 300만명 이상이 관람 하여 2009년 선댄스 영화제 다큐멘타리 경쟁부문에 초청되기도 하였었지요. 경북 봉화군 상운면 하눌리 산정 마을 의 팔순 노인과 70대 후반의 할머니가 소와 살아가는 내용은 참으로 인상 깊게 느껴 졌을 겁니다. 지방에 따라 "핑경" 이라 부르기도하고 또는 "요롱"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중국 에서는 워낭의 뜻을 분하다.무능하다.겁약하다 라느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그럽니다. 2012. 6. 22. 공전식 전화기 자석식 전화기에서 한단계 발전된 공전식 전화기 입니다. 자석식에 달려있던 손잡이가 없어지고 수화기만 들면 송신이 되는 한단계 발전된 전화기 랍니다. 2012. 6. 20. 자석식 전화기 일반 사람들 한테 처음 공급 되었던 전화기로 오른쪽 손잡이를 돌려 교환을 불러 상대방 전화번호를 요청하면 교환 아가씨들이 전화를 연결 해주곤 했는데 그당시 교환수들이 중매도 많이 해주고 여러가지 유익한 정보도 알려 주어 우리들 생활속에 중요한 역활을 해주다 다이알식 전화기가 보급 되면서 교환수라는 직업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버렸습니다. 우리나라의 전화기의 역사는 1896년도에 처음으로 도입되어 1961년에 자석식전화기(磁石式電話機)가 체신1호로 보급이 되었고 공전식 전화기는 최초로 1880년 제작하여 사용되다 1891년도에 스트로우져에 의해 다이얼식 전화기가 나오고 1908년도에 와서 직접 통화할수 있는 자동식 전화기가 만들어 졌다고 합니다. 완전자동화식(기계식)은 1935년도에 제작되었고 전자식(M.. 2012. 6. 16. 이전 1 ··· 3 4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