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8

3.1운동 만세의길(대구.동산동) 아래의 사진은 3.1운동 만세의길 90 계단 옆 벽면에 걸어놓은 옛 사진들 입니다. 2015. 2. 7.
의료선교박물관(대구.동산동) 이곳 의료 선교 박물관은 대구근대골목이 시작되는 지점으로 대구동산병원 뒷편 제일교회옆 선교사 주택을 시작으로 가곡 동무 생각의 청라언덕. 이상화.서상돈 고택.조선시대 과거길의 영남대로 로 이어지는 대구 근대골목이 한국관광공사가 실시(2012.11.12~12.16)한 한국인이 꼭 가봐야 할 국내 관광지 100곳중 온라인 투표결과 7위에 선정 되기도 했네요. 만세운동길 90 계단 선교사 챔니스 주택(대구 유형문화재 제25호) 선교사 블레어 주택(대구 유형문화재 제26호)현재 교육.역사 박물관으로 사용 선교사 주택과 제일교회 동산병원 구관 현관 선교사 스윗즈 주택(대구 유형 문화재 제24호)현재 선교박물관 사용 2015. 2. 7.
이상정(李相定)장군 고택(대구.계산동) 대구 근대문화골목 대구 계산동 계산2가 90번지 에는 이상정(李相定) 고택이 동생 시인 이상화 고택과 가까이에 있으며 고택 마당 벽에는 백범 김구선생과 노무현 대통령 그림이 그려져 있는데 이혜인 작가가 그리 셨다고 합니다. 이상정 장군(1897.6.10~1947.10.27) 은 1916년에서 1945년까지 복무를 하였으며 대한독립군 중장을 역임. 독립유공자로서 일제강점기시인.서예가.화가.조각가로 활동. 본관은 경주(慶州).호는 청남(晴南).산은(汕隱) 일명은 이 연호(李 然皓). 시인 이 상화(李相和).사학자 이상백(李相伯).수렵가 이상오(李相旿)의 형(兄). 그리고 여성 비행사 1세대중 한분인 독립운동가 권기옥(權基玉) 여사가 부인 되십니다. 2015. 2. 7.
이상화고택(李相和 古宅)대구.계산동 저항시인 이상화(李相和)-(1901.4.5~1943.4.25)는 일제 강점기의 저항시인.작가.독립운동가. 문학평론가.교육자.권투선수 등의 직업을 거쳤으며 본관은 경주(慶州).호는 상화(想華).무량(無量).백아(白啞)이며 시인 이상화고택은 대구시 중구 계산동 2가 84번지 이곳에서 이상화 시인은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머물렀던 집으로 "이상화고택"이란 현판은 혜정 류영희 선생의 글 입니다. 생애 이상화는 1901년(광무 4년) 4월 5일 경상북도 대구부 서문로 12번지의 양옥집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시우(李時雨)이며, 어머니는 김신자(金愼子)로 김해 김씨이다. 4형제 중 둘째이다. 형 이상정은 독립 운동가이며, 셋째 아우 이상백은 한국최초의 IOC위원이자 한국 사회학계의 선구자이고 넷째 아우 이상오는 정.. 2015. 2. 5.
서상돈 고택(徐相敦 古宅)대구.계산동 국채 보상운동으로 우리의 국권을찿고자 나라 빛을 갚자는 모금활동에 중심에 섰던 민족운동가 서상돈의 삶의 터전 이었던 서상돈 고택은 대구시 계산동 2가 84-1 계산성당 옆 이상화 고택과 마주보고 있습니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명 상돈(相燉). 세례명은 아우구시티노. 서울 출생. 증조부 때부터 천주교 가문이 되었고, 1801년(순조 1) 신유박해 때 강원도와 충청도로, 1839년(헌종 5) 기해교난 때는 경상북도 문경·상주 등지로 피난, 1859년(철종 10) 대구에 정착하였다. 1866년(고종 3) 병인교난 때는 신앙문제로 문중에서 쫓겨나고 가산도 탕진해버렸다. 1871년 대구로 돌아온 뒤 독학을 하면서 지물(紙物) 행상 및 포목상을 시작하였다. 1886년경 상당한 재벌로 부상했으며, 이후 정부의 특.. 2015. 2. 5.
선녀와나무꾼.테마공원(제주.조천)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1997번지에 위치 하고 있으며 이곳엔 추억놀이 체험관.민속놀이마당.작은동물원.공포의집.추억의 내무반 시골먹거리장터.농업박물관.자수박물관.민속박물관.옛장터거리.추억의 영화마을. 달동네마을.추억의거리.인쇄소전시관.도심의 상가거리.닥종이 인형전등 그때 그시절 추억속으로 ... 2015. 2. 4.
설악산 울산바위 오르는길(강원.속초) 울산바위[蔚山-]는 ) --> 지정종목 : 국가지정문화재 지정번호 : 명승 제100호 지정일 : 2013년 03월 11일 소재지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원암리 산 40-4/ 산1-2 크기 : 631,090㎡ (190,900 평) ) --> 2013년 3월 11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강원도 속초시의 북서쪽 외설악에 위치한 바위산이다(고도:650m). 시의 설악동과 고성군 토성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모두 6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정상부에는 항아리 모양의 구멍이 5개가 있다. 울산바위는 『신증동국여지승람』 「양양도호부」에 "이산(離山) 부 북쪽 63리 쌍성호(雙成湖) 서쪽에 있는데, 곧 대관령 동쪽 가닥이다. 기이한 봉우리가 꾸불꾸불하여 울타리를 .. 2015. 2. 1.
양양.의상대(義湘臺)강원.양양 의상대(義湘臺)는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진전리 산5~2번지 오봉산 자락에 위치 하고 있으며 7세기쯤 건립된 정자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48호로 지정 되었고 낙산사 일원은 명승 제27호로 또한 이곳 의상대는 송강 정철(1536~1593) 관동별곡에 소개된 관동팔경 가운데 하나로 동해 일출을 꼽고 있습니다. 양양 의상대는 의상(義湘)의 좌선(坐禪) 수행처였으며 위치는 낙산사(洛山寺)에서 홍련암(紅蓮庵)의 관음굴(觀音窟)로 가는 해안 언덕에 있다. 멀리 동해를 바라보는 전광 좋은 곳에 위치한 이곳은 의상이 낙산사를 창건할 때 머무르면서 좌선하였던 곳으로, 원래는 암자가 있었다 하나 한때 폐허가 되었다. 1925년 이곳에 한 정자를 짓고 의상대라 하였다. 8각으로 만들어진 이 아담한 정자는 주위 풍경이 매우 .. 2015. 2. 1.
덕유산 향적봉눈꽃(전북.무주) 덕유산 설천봉(1525m)에서 정상인 향적봉(1614m) 까지의 눈내린 설경 입니다. 2015. 1. 31.
고령양전동 암각화(高靈良田洞 岩刻畵)경북.고령 양전동 암각화는 경북 고령군 개진면 양전리 알터 부락앞에 소재하며 1976년 8월 6일자로 보물605호로 지정 받았습니다. 보물 제605호. 대구에서 고령으로 가는 도로변의 금산재[錦山嶺]에서 남으로 뻗은 구릉에 석기 유적지가 있고, 구릉 동쪽 산록의 저지에는 고인돌이 분포되어 있다. 이 바로 이웃의 양전동 알터[卵峴]마을에 바위그림 유적이 있다. 1971년 2월에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예비조사를 하고 4월에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바위그림은 수십 장(丈)의 군암절벽 중 알터마을 입구의 나지막한 암면이 선택되어 조각되어 있다. 암벽 전체의 높이는 지상 약 3m, 옆너비는 6m였는데, 이 중 그림은 높이 약 1.5m, 길이 약 5m에 걸쳐 조각되어 있다. 그림의 내용은 동심원(同心圓)·十자형·이형화(異形畫).. 2015. 1. 31.
제주해안올레길(제주.애월) 아래 사진은 제주 올레길 제16코스(애월.고내포구에서~ 광령1리 사무소)로 총길이 17.6km중 일부구간 입니다. 이곳은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 1566번지(과물노천탕) 일원으로 16코스 전구간 소요시간은 6~8 시간이 걸리며 아래 구간엔 곽금8경중 3경인 치소기암과 1년내내 섭씨 18도 온도를 유지 한다는 노천탕 용천수가 나오는 과물노천탕을 볼수있는 해안길 구간 입니다. 2015. 1. 31.
지산동 고분군(池山洞 古墳群)경북.고령 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일대에 분포 하고있는 가야시대 최대.최고의 밀집분포 고분군으로 고령읍을 감싸는 주산의 남동쪽 능선위에 우리나라 최초로 발굴된 순장묘인 지산동 44. 45호분 등을 포함하여 크고 작은 704여 기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으며 대가야 양식의 토기와 철기 말갖춤.금관과 금동관.장신구 등 최고급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대체로 5~6세기경 만들어진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산동 고분은 사적 제79호로 지정 되어 있으며 순장 무덤인 지산동44호분의 내부를 원래의 모습대로 재현한 대가야왕릉전시관에는 실물 크기로 만든 무덤의 구조와 축조방식.무덤 주인공과 순장자들의 매장 모습껴묻거리의 종류와 성격등을 눈으로 직접 관람을 할 수 있습니다. 사적(史蹟)이란? 인류의역사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고적을 말.. 2015.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