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8

영호루 (映湖樓) 경북.안동 교남사대루각 (嶠南四大樓閣) 중 하나인 안동의 영호루(映湖樓)는 영남지방의 사대루각에 속한다.안동 시내를 흘러내리는 낙동강 영호대교 건너편에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이다.영호루의 건립 연대는 정확한 기록이 없고 고려시대 장군 김방경(金方慶 1212~1300) 이1274년(원종 15) 영호루에 들러 지은시로 그 이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고 한다.홍건적의 난 때 고려 31대 공민왕(恭愍王 1330~1374) 이 이곳에서 군사를 지휘할 때 1367년 공민왕의 친필의 현판을 걸기 위해 중수를 하였다고 하며 현재의 건물은 1970년 현재 위치에 철근콘크리트로 새로 건립을 하였다.루각에는 현판 2점과 제영 1점. 시판 12점이 걸려 있다.주소: 경북 안동시 강남로 187-5 (정하동)* 영남사대루각 - 의.. 2025. 1. 11.
안동향교.安東鄕校 (경북.안동) 경북 안동시 안동향교는 고려시대 (1567년. 명종 22) 창건되어 이후 중건시에는 안동시 명륜동에 당시 규모가 성균관과 동일시되었으며영남 지방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고 한다.6.25 전쟁 시 또 불에다 중건 (1986년)을 하게 되며 현재의 위치에 동무와 서무구분 없이 오성(五聖) - 공자. 인자. 증자. 자사. 맹자. 과 송조 6현 가운데4현(주돈이. 정이. 정호, 주자.)과 동국 18 현을 대성전에 봉안하였으며위치를 정할 때 5성을 제외한 현인들에 대해 국적을 구별하지 않고 연차에 따라봉안하였다고 한다.주소: 경북 안동시 향교길 65 (송천동 1211) 청아루명륜당 2025. 1. 10.
월영교 .月映橋 (경북.안동) 2024.12.11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목책교라 알려진 경북 안동시 안동댐 아래에 있는 월영교(月映橋)를 안동에 계시는 지인분을 만나는 장소가 부근이라 찾았다.이 다리는 안동시 상아동과 성곡동을 이어주는 안동호에 놓인 목책교로 월영공원과안동민속촌을 연결해주는 역할도 해 주는 길이 387m에 너비 3.6m의 인도 다리다.현재의 다리는 2001년 착공하여 2003년 4월에 준공하여 개통을 하였지만 월영교의 역사는 조선 중기부터 시작이 된다.1908년 고성 이씨 문중 묘 이장중 관에서 "원이 엄마 편지" 가 나와원이 엄마와 남편사이 (이응태 부부)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의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먼저 간 남편을 위해 머리카락을 뽑아한 켤레의 미투리를 지은 지어미의 애절하고 숭고한 사랑을 기념하여 미투리 모양의 .. 2025. 1. 9.
권정생(權正生) 선생 생가 (경북.안동) 마지막 생을 마감할 때까지 5평짜리 집에서 검소한 삶을 살았던 권 정생 선생이 살았던 집을 찿았다.마을 이름이 조탑리 5층 전탑으로 인해 조탑리란 마을명이 주어졌다는 조탑리뒤편에 초라한 모습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대한민국의 동화작가. 수필가. 시인으로 그리고 1982년까지 마을 교회 종지기로살아왔던 선생의 대표작으로는 1969년에 발표된 강아지똥과 몽실언니가 있으며140여 편의 단편동화. 5편의 장편동화. 100 편이 넘는 동시. 동요가 있다. 강아지똥 작품으로 제1회 기독교 아동 문학상을  수상 하였고 제1회 한국 아동 문학상도수상 하였다.1937년도 일본 도쿄 시부아에서 출생하여 2007년 71세로 대구가톨릭 병원에서사망을 하였다.주소: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 몽실언니 - 1981년 울진의 작.. 2024. 12. 12.
해미읍성(海美邑城) 충남.서산 2024.8.3이곳 해미 읍성은 조선시대 1417년(태종 17)부터 1421년(세종 3)까지 쌓아완공한 성으로 충청도의 전군을 지휘하던 병마절도사영 성으로왜구에 효과적으로 막기위한 성벽으로 둘레는 1,500m. 높이 5m로성 주변에 탱자나무를 심어 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였다.1652년(효종 3)까지 230여 년간 병마절도사영 기능으로 있다 청주로 옮겨 가면서해미읍성이 되었다고 한다.천주교 박해 시대에는 내포 지역의 천주교 신자들이 죽임을 당하는 순교지였으며읍성 안에는 동헌. 관아. 객사. 등이 있으며 1579년(선조 12) 에는 이순신 장군이군관으로 10개월간 근무한 적이 있고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이곳 해미에서 유배 생활 중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1910년 읍성 철거령에 따라 모든 시설이 철거가.. 2024. 8. 13.
봉선사 연꽃축제(경기.남양주) 2024.7.27봉선사를 순례하는 날 봉선사 연꽃 축제가 열리고 있어봉선사 연지(연못)를 들러 보았다. 매년 7월 중순경 개최한다고 하는데올해는 당초 7월19일에서 7월 21일까지 개최 계획에서 7월 26일에서 7월 28일로연기를 하게 되어 연꽃 축제 광경을 구경할 수 있는 행운을 누릴 수 있었다..올해로 (2024년) 22회째 행사라 한다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2024. 8. 7.
부소산성(扶蘇山城) 충남.부여 2024.7.20충남 부여 주변 천주교 성지를 순례 중 부여읍에 소재한 낙화암을 들러보기 위해부여읍 북쪽 방향에 있는 부소산을 찾았다.신 증동국여지승람에 부여의 진산이라 불렀다는데 명칭 유래는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소나무를 뜻하는 "풋소"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부소라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부소산은 높이 106m로 낮으막한 산으로 약 2.2km의 부소산성으로 이루어져부소산성은 평소에는 궁성의 정원 형태로 사용되다가 전쟁이나 환란이 닥쳤을 때 방어지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곳은 사적 5호로 지정이 된 곳이다.낙화암을 어학사전에는 부여읍 부소산에 있는 큰 바위라 하며지식백과에는 부소산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의자왕과 관련된 바위라 한다.주소: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78-2부소산문 (부소산 입구)낙화암백마.. 2024. 8. 7.
정림사지(定林寺址)오층석탑 (충남.부여) 2024.7.20백제탑 형식 중 석탑의 시조(始祖)라 할 수 있고 한국 석탑의 계보를 정립시키는데아주 소중한 가치를 가진충남 부여읍 동남리에 위치한 정림사지 5층 석탑을 찾았다.산지가 아닌 시내 평지에 자리 잡은 정림사지는 면적이 59,245㎡(약 17,900평)으로5층 석탑은 1962년에 국보 9호로 지정받았고 정림사지 일원은 사적 301호로1983년 3월 26일 자로 지정되었다.그리고 2015년 7월 4일 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부여에4 곳이 (관북리유적. 부소산성. 능산리고분군. 정림사지)유네스코세계유산에 선정 등재 되었다주소: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번지정림사지 5층 석탑 (높이 8.33m ) 국보 9호목조탑의 구조를 석재로서 변형 표현한 탑이라 한다.정림사지 박물관* 초청 탑.. 2024. 8. 4.
미암사(米岩寺) (충남.부여) 2024.7.20충남 부여에서 보령 방향 약 16 km 거리 계향산(480.7m) 중턱에 충남 기념물로 지정된 쌀바위 아래쪽 안내 표지판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와불이라 칭한금불상 와불을 볼 수 있다.이 와불은 3년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와불의 모양은 열반에 드실 때의 자세라 한다.와불의 크기는 길이 30m 높이 7m 손가락 길이는 3.5m에 달한다.열반상은 머리를 북쪽 방향으로 서쪽을 바라보며 오른쪽 옆구리를 땅에 대고 누운 모습이며금불상 와붕 안에는 2만 개의 불상을 모신 법당이라 하는데 문이 잠겨져 있었다.2020년에 완공한 밀양 영산정사 와불은 크기가 길이가 82m이며 높이는 21m 주변에 세워놓은 금불상은 196개가 세워져 있다고 한다.주소: 충남 부여군 내산면 성충로 미암길 128 (저동리 21-.. 2024. 8. 4.
제주 한림공원(분재원.민속촌) * 분재와 돌을 소재로 하여 구성된 테마 공원으로 다양한 분재작품과 희귀한 자연석을함께 감상할 수 있는 즐거움이 있는 곳이다.분재 수령이 10년에서부터 많게는 300년에 이르며 남미 아마존 강에서 채취한대형 기암괴석 등이 분재작품들과 어우러져 멋을 연출하는 곳이다.* 재암 민속 마을은 현대문명의 발전과 함께 점점 사라져가는 제주 전통초가의 보존을위해서 제주도 중산간 지역에 있던 실제 초가를 원형 그대로 이설 복원하고 옛 제주인들이사용하던 민구류를 함께 전시함으로써 제주의 옛 모습을 재현해 내고 있다. 2024. 6. 26.
제주 한림공원 (재암수석관) 화산섬인 제주도는 화산 폭발 시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화산탄. 현무암과 각종용암석 등 진귀한 돌이 많은데 이곳 재암수석관에는 제주도 특유의 수석들을 비롯해서 국내외의 다양한 수석과 화산석 .광물.화석 등을 전시하고 있다. 2024. 6. 25.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 경북.영주 조선시대 4대 임금 세종(1397~1422)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 씨의 6남인 금성대군(1426(세종 8)~ 1457(세조 3)이 1455년(단종 3) 모반 혐의로 삭녕에 유배되어광주로 옮겨 졌다가 1456년(세조 2)에 사육신과 단종 복위운동을 하다 실패하고 연루되어경상도 순흥으로 유배가되며 이곳에서 단종 복위를 계획하던 중 거사 전에 관노의 고발로 반역죄로 처형을 당한 곳이 이곳 금성대군신단이 있는 곳으로 그의 혈흔이 묻은 돌을 발견하여단을 쌓고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금성대군은 이름은 이유(李瑜). 시호는 정민(貞愍). 호는 승은정(承恩亭)으로단종의 숙부가 되며 문종과 세조의 친동생이 된다. 1433년(세종15)에 금성대군에 봉해졌으며  1437년에 태조의 여덟째 아들인 방석(芳碩. 의안대.. 2024.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