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8 속리산 법주사(충북.보은) 부처님의 법이 머무느 곳 이라는 법주사는 553년 의신조사가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와 불도를 펼 곳이라 생각하고 큰 절을 세워 법주사라 하였으며 혜공왕 12년(776) 진표율사에 의해 중창 되었고 이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뒤 인조 2년(1624)벽암대사에 의해 중건 되엇습니다. 2013. 12. 27. 속리산 법주사 국보(國寶) 속리산 법주사 내에는 문화유산이 국보3점 보물12점 지방유형문화재22점.천연기념물1점 이 있는데 아래사진은 국보3점 입니다. 쌍사자석등(국보제5호) 법주사팔상전(국보제55호) 신라 진흥왕 14년(553) 건립되어 임진왜란시 소실된 것을 인조4년(1626)에 재건 하였고 1968년 완전해체수리 하여 내부기둥과 기둥사이 4면에 석가여래의 일생을 8폭의 그림으로 나타낸 8폭의 그림이 봉안되어 있으므로 이 5층 목탑을 팔상전이라 부르게 되었으며 한국 목조탑의 유일한 실례이며 놑이 22.7M로 국내 최고의 목조탑 입니다. 법주사 석연지 국보(제64호) 2013. 12. 27. 마이산(馬耳山)비경(전북.진안) 전북 진안에 있는 원연장마을과 포동마을 갔다가 오는길에 진안 마이산을 들렸는데 그동안 수차례 갔어도 갈때마다 새로운 것 을 보게됩니다 자연의 신비로움은 무한함을 느끼며 보고 왔습니다. 진안 마이산 주소는 북부방향-전북 진안군 진안읍 마이산로255(단양리688번지) 남부방향-전북 진안군 마령면 마이산남로182(동촌리76-2번지) 탑영제(塔影堤) 마이계곡에서 흐르는 물이 고여서 만들어진 호수로 봉우리가 거울처럼 비춰 진다고 아마 그래서 탑의 그림자가 비춰지는 호수라고 탑영제라 하는가 봅니다. 폭격을 맞은 듯한 이런 현상을 타포니지형 이라 그러고 이곳 마이산이 세계 최대 규모라고 하네요. 마이산은 한국의 명승지 제12호이며 "미슐랭 그린가이드" 에서 최고 명소로 선정 벼랑을 타올라간 능소화는 약 40 여년의 .. 2013. 12. 24. 해인아트 프로젝트 2013년 대장경세계문화축제 기간중 마음(心)이란 주제로 해인사.성보박물관.해인사소리길 일대에 해인아트 프로젝트 행사가 국내에서21개팀.해외9개팀등 30개팀이 70 여 작품중 일부를 카메라에 담아 봤습니다. 2013. 12. 20. 대장경 문화축전 실내 전시행사 대장경 세계문화축전장 천년관.빛소리관.기록문화관등 전시된 전시물들 입니다. 2013. 12. 20. 임고서원의 포은 정몽주(경북.영천) 지난 11월23일 경북 영천에 위치한 우리나라 대표적인 인물 포은 정 몽주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임고서원을 들렸다가 너무 늦어 일부만 돌아보고 발길을 돌려 아쉬움을 남기고 돌아왔습니다. 위치: 경북 영천시임고면 양항리 501(포은로447) 지정별: 경상북도 기념물 62호(1985.10.15) 배향인물: 포은 정 몽주, 지봉 황보인 시대: 조선명종8년(1553) 정몽주 초상화(보물1110호) 본관-영일(迎日) 자-달가(達可) 호-포은(圃隱) 제김득배문(祭金得培文) 임고서원 은행나무(경상북도 기념물 제63호(1985.10.15지정) 수령:500 년 나무높이:약20m 줄기둘레:5.95m 수관동서방향:약22m 남북방향: 약21m 2013. 12. 20. 남대문 야경(서울.2013.12.8) 대한민국 국보1호인 서울 남대문(숭례문)의 야경 모습입니다 2013년 12월 8일 저녁 촬영 2013. 12. 19. 도계서원(道溪書院)경북.영천 도계서원은 경북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383번지에 위치하며 조선 중기 대표적 문인인 노계 박 인로(1561~1642)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가사문학의 선구자 이며 임진왜란때 수군으로 종군. 해안지방의 만호(萬戶)까지 역임한 노계 박인로(朴仁老)를 향사 하기위해 1707년(숙종33)에 서원을 창건 서원입구 왼편에는 노계가(盧溪歌) 비석이있고 앞쪽에는 원두평이란 작은 연못과 경북유형문화재 제68호인 박노계집 판목을 보관 하고있는 건물이 좌측에 있습니다. 노계 박인로의 자는 덕웅.본관은 밀양.영천출신으로 13세에 한시를 지었고 태평사.사제곡.누향사.선상탄.독락당.영남가.노계가등 9편의 가사와 오륜가.조홍가.등 67수의 시조가 전해지고있어 국문학사에 있어 가사문학에 아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조홍.. 2013. 12. 19. 은해사거조암(銀海寺居祖庵)경북.영천 거조암 영산전(居祖庵 靈山殿)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며 아미타 부처님이 상주하는 기도처로 잘 알려진 영천 은해사의 부속암자로 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번지에 위치하며 영산정 건물은 1962년 12월 20 일자로 국보 14호로 지정 되었으며 고려시대 국보급 건물 네곳중 하나로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조사당 안동봉정사의 극락전(국보15호).예산수덕사의 대웅전은 고려시대의 건축물로 아주 소중하고 가치있는 문화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영산전이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영취산)에서 묘법연화경(妙法連華經)을 설(說)하신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중심으로 지은 법당으로 이 건물은 건물 전체가 경판고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으나 건물 내부에는 석가여래.문수보살.보현.오백나한이 모셔져 있고 간결하고 단순한 맛배.. 2013. 12. 14. 인각사와 삼국유사(경북.군위) 인각사는 경북.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번지에 위치한 사찰로 신라 선덕여왕때 창건되었고 고려 충렬왕이 왕명으로 중건하고 토지를 내려 보각국사 일연의 하산소로 정한곳 이라고 합니다. 화산과 기린의 전설이서린 인각사는 이곳에서 일연스님이 삼국유사를 비롯한 불교서적 100 여권을 저술하였고 구산문도회(九山門都會)를 두번 열고 이곳에서 완성한 삼국유사는 우리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를 전해주고 고조선을 대한민국의 정통임을 기록하고 4천년의 유구한 역사의 민족임을 깨우쳐준 우리민족의 혼이라 할수 있습니다. 인각사 보각국사정조지탑(보물제428호) 보각국사 일연의 승탑으로 노모를 모시기위해 인각사로 내려온 일연스님의 효심을 증명하듯 아침해가 뜰때면 탑의 광채가 노모의 묘를 비추었다고 합니다. 인각사 석불좌상(경북유형문.. 2013. 12. 11. 남천고택(南川古宅)경북.군위 경북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768번지에 위치한 문화재자료 제 357호인 남천고택은 부림홍씨(缶林洪氏)의 집성촌인 한밤마을에서도 남천고택은 가장 규모가 큰집으로 "쌍백당"이라고도 하며 담장 너머로 경북유형문화재 제262호인 대율리 대청이보이며 아름답고 깨끗이 다듬어진 정원과 연못이 고택과 잘 어울립니다. 2013. 12. 10. 군위대율리 한밤마을(경북.군위) 지난 11월23일 성주향토사연구회 주관으로 군위.영천 일원으로 문화유적 답사를 다녀 왔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군위군 부계면 대율리 한밤이 마을의 정겨운 풍경 입니다. 야트막한 돌담.산수유나무 열매가 흐트러지게 달려있는 골목길과 고택들은 찿는이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합니다. 한밤이 마을은 950년경 부림홍씨의 입향조 홍란이라는 선비가 이주해 오면서 마을 이름을 심야(深夜)또는 대야(大夜)라 불렀으나 이후 밤야(夜)자 대신 대율(大栗)로 고쳐 부르게 되어 대율리 한밤마을로 불리게 되었답니다. 2013. 12. 10. 이전 1 ···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