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앙유적지를 찿아(천주교)227

신리성지 미술관(충남.당진) 2023. 4. 19.
신리 순교사적성지(충남.당진) 이곳 신리는 박해를 겪는 조선 교회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던 곳이며 서해를 통해 들어오는 프랑스 선교사들의 기착지로 제5대 다블뤼 주교가 머무르며 사목 활동을 한 곳이다. 또한 내포 교회의 초기 공소가 있었던 곳 이기도 하다. 근래에 와서는 솔뫼성지에서 신리 성지까지 13.3km 의 버그내 순례길 종착지 이기도 하다. 병인박해(1866년) 때 다블뤼 주교.위앵신부.오메르트신부.황석두 루카. 손자선 토마스가 신리에서 체포되어 보령 갈매못과 공주에서 순교하여 성인품에 오르면서 이곳은 2008년12월22일자로 충남 기념물 176호로 지정되었다. 신리 공소 건물은 원래 손자선의 생가로 건축 연대는 1815년이지만 현 건물은 1964년 복원되었다. 삽교천 상류에 위치한 신리 성지는 다블뤼 주교의 은신처. 성인들의 .. 2023. 4. 19.
합덕성당.순교사적지(충남.당진) 이곳은 천주교 교구에서 정한 순교사적지(殉敎史跡地) 로 1990년 기준으로 합덕성당에서 사제30명. 수녀54명. 수사 5명을 배출 하였다고 한다. 합덕성당(合德聖堂)은 충청도 지방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로마네스크 양식의 벽돌조 성당이다. 뛰어난 건축미와 지역민의 근대 의식 성장에 기여함으로 충청남도 기념물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당초에는 충남 에산군 고덕면 상궁리에 1890년에 양촌 성당으로 건립하여 1899년에 초대 본당신부 퀴를리에 신부가 현 위치 대지를 매입하여 건물을 신축하고 합덕성당으로 이름을 개칭하였다가 1961년 합덕읍 운산리에 신합덕 성당이 신설되면서 구 합덕이라 부르다 1997년 다시 합덕성당 이름을 돼찾았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929년에 새로 지어진 건물이다. 이곳은 조선시대 내포.. 2023. 4. 7.
여우목(순교사적지)성지(겅북.문경) 여우목 성지는 문경의 고갯길 여우목 고개로 이곳은 문경시 문경읍과 동로면 사이에 위치한 고개로 해발 620m. 901번 지방도가 지나가는 곳이다. 김주영의 소설 객주에서 " 문경읍에서 여주목 고개를 올라서서 대의산 자락을 오른쪽으로 끼고 여우목을 지나 중평리 계곡을 거쳐 포암산 중턱인 하늘재를 넘어 수안보에 이르는 험로가 바로 이곳이다" 라고 서술 하고 있다. 1827년 정해박해 이후 조성된 교우촌으로 병인박해(1866) 때 마을의 천주교 신자 30 여명이 참수형으로 순교를 하였다.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부터 성인으로 시성 하면서 이곳이 성지로 지정 되었다. 여우목 교우촌은 1992년 대구대교구가 부지를 매입하여 안동교구에 기증이 이루어지며 조성이 되었다고 한다. 2017년 9월 20일에는 .. 2023. 4. 7.
진안리(순교사적지) 성지 (경북.문경) 충북과 영남의 관문으로 문경새재 관문과 이화령고개 갈림길인 이곳은 선교사 사제들이 선교와 피난을 위해 오간 길목으로 진안리 성지는 최양업 신부가 선종했다고 추정하는 곳으로 옛 주막터 이기도 하다. 최양업 신부와 관련된 성지는 교우촌 성당을 포함하여 출생지 청양 다락골에서 무덤이 있는 제천 베론까지의 발자취는 30 여 곳이나 된다. * 최양업 신부와 관련된 성지 교우촌. 성당 30 곳 1) 청양 다락골 성지(탄생지) 2)철원 김성 교우촌 (김화성당) 3) 인천 접수리 교우촌. 4) 안양 수리산 성지. 5)서울 종로성당. 6) 서울 명동성당. 7) 서울 당고개 순교성지. 8) 서울 103위 시성터 9) 서울 124위 시복터. 10) 군산 신시도 체류지. 11) 용인 한덕골 교우촌 12) 부여 도앙골 성지. .. 2023. 4. 7.
마원(馬院)성지(경북.문경) 천주교 안동 교구에 속하는 이곳 마원 성지는 박상근. 마티아(1836~1866) 복자의 묘가 조성된 곳으로 경북 문경시 문경읍 마원1리 입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원(馬院)이란 지명은 말이 통과하던 길 즉 정거장이란 뜻으로 원래는 문경현 읍성 앞에 있었다고 한다. 앞으로 중부내륙고속철도 문경역이 들어설 예정지로 마을 앞에는 4차선의 3번 국도가 지나가는 곳으로 길이 생길 때 마다 정거장이 생기는 지정학적의 위치인 마을 입구 언덕 박상근의 묘 뒤에는 대형 십자가 좌 우에 "장한 믿음 장한 우정"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평신도 박상근(마티아)와 파리외방 전교회 소속 칼레신부(N calais 姜) 와의 남 달랐던 우정의 성지로도 유명 하다. 박상근(마티아)은 이곳 문경 출신으로 병인박해 때 30세의 나이로 상주.. 2023. 4. 6.
연풍순교성지(충북.괴산) 이곳 연풍 성지는 비교적 접근성이 좋아 천주교 신자들한테는 많이 알려진 성지다. 1791년 (정조15) 신해교난(辛亥敎難) 이후 연풍땅에 은거하며 신앙을 지켜가던 추순옥. 이윤일. 김병숙. 김 말다. 김마루 등이 1801년(순조 1) 신유교난(辛酉敎難) 때 처형당한 자리에 1974년부터 성역화한 곳이며 또한 103위 성인중 하나인 황석두(1813~1866) 루카 성인이 이곳 연풍에서 출생하여 54세에 보령 갈매못에서 군문효수(軍門梟首)를 당했다. 2014년도에는 황석두(루카) 성인 탄생 200주년을 맞아 황석두 루카 기념성당도 건립되었다. * 신해교난(辛亥敎難) - 조선시대 1791년에 일어난 우리나라 최초의 천주교 박해사건으로 전라도 진산군의 선비 윤지충과 권상연 등이 천주교식 제례를 행한 것이 말썽이.. 2023. 4. 5.
매괴성당박물관(충북.음성) 매괴성당 건물 오른쪽 방향 성모동굴을 가다 보면 왼편에 멋스러운 건물 정면에는 매괴박물관이란 현판이 걸린 박물관에는 주로 임 가밀로 신부의 유품이 전시되어 있다. 매괴박물관 전경 왼쪽에 임 가밀로신부 흉상이 보인다. 2023. 4. 4.
매괴성모 순례지성당(충북.음성) 행정구역이 충북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위치하고 있는 이곳 성당은 좀 특이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하는 성당이다. 매괴성모 순례지성당(玫瑰聖母 巡禮地聖堂)의 한자어 매괴는 중국에서 나는 붉은 미석(美石)을 말하기도 하고 장미과에 속한 낙엽활엽관목으로 향기가 짙은 꽃으로 향수의 원료로 쓰이는 식물로 중국어로 메이구이라 읽으며 장미꽃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로사리오의 중국식 표현으로 학명은 rosa rugosa. 또한 이곳 성당은 하느님의 표징의 은총이 세 번이나 있었던 성당으로 알려져 있다. 첫 번째는 일제 강점기 중 매괴 성모 광장이 신사 참배터로 지정되었으나 천둥과 소나기 벼락으로 일체의 계획이 수포로 돌아갔으며 둘째로는 1950년 한국 전쟁 중 공산 당원들이 매괴 성모상에 총을 쏘.. 2023. 4. 4.
베론성지 14처(충북.제천) 충북 제천 배론성지 성직자묘지 방향을 시작으로 최양업 신부 묘지까지 이어지는 십자가의 길(14처) . 2023. 3. 29.
최양업 신부 묘지(베론성지.충북.제천) 배론성지 신학교 뒤편 최양업 신부 동상을 시작으로 최양업(도마) 신부 묘지를 오른다. 김대건 신부는 "피의 순교자"라 칭하고 최양업 신부는 "땀의 순교자"라 칭 하는데 김대건 신부는 1984년 성인품에 올랐지만 최양업 신부는 2016년 5월 8일 자로 가경자로 선포 되었다. 최양업 신부의 간단하게나마 인적사항을 알아보자. 본관은 경주로 세례명은 토마스로 본명은 최정구로 되어있다. 태어난 곳은 충남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다락골)에서 출생하여 1836년 신학생 신분으로 마카오로 가서 1844년 부제서품을 받고 1849년 청나라 천주교회 강남교구장 마레스카 주교로 부터 사제 서품을 받고 1861년 영남지방 사목활동 중 40세에 문경에서 병으로 선종을 하게 된다. 그 후 이곳 배론 성지에 안장되었다. * 성인(.. 2023. 3. 29.
베론성지(충북.제천) 배론성지는 한국의 천주교 신자들이 비교적 많이 찾는 성지중 한 곳이 아닌가 싶다. 이곳 지형이 배 밑바닥 같은 모양의 지형으로 계곡이 깊다는 뜻으로 베론이라 불려졌다고 한다. 옛날에 비해 참 많이도 변했음을 느껴본다. 이런 변화된 모습들이 그리 좋게만 보이지 않는 기분은 나만이 그럴까. 베론성지는 우리나라 2대 신부인 최양업 신부(1821.3.1~1861.6.15)가 잠들어 계시고 또한 조선 후기의 황사영이 머무르며 1801년 백서를 썼던 토굴이 있고 프랑스 선교사 메스트르 신부가 1855년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 성요셉 신학교를 세운 곳으로 배론성지의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제천 십경중 한 곳으로 선정되었으며 2001년 3월 2일 자로 충북 기념물 제118호로 지정되기도 하였다. 천주교 원주교구 성직자 ..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