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9

고령향교(高靈鄕校) 경북. 고령 향교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걸쳐 지방에서 유학을 교육 하기위해 설립 된 관학 교육기관으로 고려시대에는 하향적 교육 정책으로 사사로운 기구에 의해서 운영 되었던 교육적 성과에 미치지 못하고 조선 왕조의 성립으로 정책적으로 교육적 기능과 문화적기능이 확대 강화하여 사실상 향교는 조선 왕조 역사상 중심으로 설명이 되어 진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당시 전국 329곳 고을에 향교가 건립 되었는데 국가의 지도이념이 성리학의 보급의 일환으로 일읍일교(一邑一敎) 원칙에의거 세워 졌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관학(館學)으로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성균관(成均館)이 있었고 중등교육기관에 중앙에 사학(四學)과 지방에 향교가 있었다. 사학(社學)으로는 중등교육에 서원과 초등교육기관으로 서당이 설치 되었다. 향교의 중요한 역활은 문묘.. 2021. 2. 17.
대가야국성지(大伽倻國城址)비 (경북.고령)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고령향교 바로 옆에 세워 놓은 대가야국 성지 비는 이곳이 옛 대가야시대 왕궁이 있었던 성터라 1939년 일제강점기 조선 7대 총독 미나 미지로(南次朗) 1936~1941 가 고대 일본이 대가야국을 열었다는 소위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여 임나 대가야국성지(任那大伽倻國城址)라는 비석을 세워 놓았는데 광복 후에 1947년 고령군민들은 비석에서 임나와 총독 이름을 지우고 대가야국 성지라는 글씨만 남겨 놓았는데 현재 이 비석은 1986년 12월 5일 날 천안 독립기념관으로 옮겨가 전시관 3~4관 사이 야외에 전시하여 놓았다. 옮겨간 비석의 크기는 가로 103cm. 세로 210cm로 앞면은 임나 대가야국 성지 비 남차랑 서라 음각되어있고 뒷면에는 소화 14년 4월 29일로 되어 있다. 현재의 대.. 2021. 2. 13.
장기리암각화(場基里巖刻畵)경북.고령 기원전 300~0년 사이 선사 청동기 시대에 바위에 새겨졌다고 하는 고령 장기리 암각화는 고령군 소재지에서 개진면 방향으로 가다 보면 알터 마을 입구 도로변에 표지판이 서 있어 쉽게 찿을 수가 있었다. 암벽 높이는 3m 너비 6m에 그림 높이는 약 1.5m를 나타내고 있으며 길이가 5m로 근래에는 지붕까지 설치 해 놓고 주차장까지 만들어 놓아 접근성이 아주 편리 해 졌다. 알터라는 지명은 산신(山神)과 천신(天神)이 교합(交合)하여 알을 낳은 곳이라는 설화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주소: 경북 고령군 아래알 터길 15-5 장기리 암각화(보물 605호 1976.8.6 지정) * 암각화 그림의 내용은 동심원(同心圓) 十자형. 이형화(異形畵)등으로 동심원은 태양을 상징한 것으로 태양신을 표현한 것을 추정하며 十.. 2021. 2. 12.
지산리 당간지주(池山里 幢竿支柱)경북.고령 당간(幢竿)의 기능은 사찰의 영역을 의미하는 기능과 또한 사찰에 행사가 있을 때마다 당(幢)이라는 불교에 관한 깃발을 달았던 구조물로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개의 돌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 부른다. 당간은 나무나 돌 또는 철 기둥의 당간도 있는데 현재 남아있는 당간지주는 대부분 돌로 만들어졌다. 고령군 대가야 읍내에 위치하고 있는 아래의 당간지주는 통일신라시대 8세기 후반에 설립되어 동. 서로 마주 보고 있으며 높이가 3.14m에 간격이 70cm로 세워져 있다. 1963년 1월 21일 자에 보물 54호로 지정되었다. 주소: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주산 길 4 (지산리 3~5번지) 2021.2.4 지산리 당간지주 * 이곳 당간지주에서 모산골 방향 500m 지점인 지산리 44-1 번지에서 물산.. 2021. 2. 8.
신라불교초전지(경북.선산) 신라에 처음 불교를 전한 아도화상이 머물렀다는 모례(毛禮) 마을 신라불교초전지 라는 대형 입석 표지석이 서있는 이곳은 2017년 10월 400억원을 들여 도개리 일대 36.000평방미터(약10.900평) 에 기념관.전시가옥등 각종 시설물이 들어서 있으며 모례란 사람의 집에있던 우물 모례가정(毛禮家井)도 이곳에 있는데 문화재자료 296호로 지정 되어 있다. 모례가정 권역은 옛 송도초등 부지로 의성군 구천면. 군위군 소보면과 경계지점 이다. 모례와 아도의 역사속 문헌은 삼국사기 권제4 신라본기 제4 법흥왕조. 삼국유사 권제3 흥법 제3 아도기라조. 신증동국여지승람 권29 선산도호부 불우조 기록에 의하면 아도가 모례집에 고용되어 매일 소 백마리를 방목 하였다는 기록과 아도는 위나라 아굴마의 아들이며 묵호자(墨.. 2021. 2. 1.
사육신 단계.하위지 묘(경북.선산)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중 하나인 사육신사건 그 중심에 한 분 이었던 단계 하위지 묘소(의관묘) 를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고방실 마을 뒤 고방산에서 그리 어렵지 않게 찿을 수 있었다. 고방실 마을 입구에 넓은 주차장이 마련 되어 있어 주차 해놓고 약 100여m 정도 걸어가니 충열공 단계하선생 묘비가 보인다. 묘지는 그렇게 호와롭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 일반적인 봉분과 묘비에 문인석이 좌우로 서있으며 묘지는 소나무에 둘러 쌓여 있다. 우리의 역사 속에서 대체로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을 사육신 사건의 배경을 더듬어 본다. 1452년 조선의 6대 임금 단종이 즉위하며 황보인 김종서가 실권을 장악하자 1453년 세종의 둘째 아들이며 단종의 숙부인 수양대군은 황보인.김종서.정분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 하는데.. 2021. 1. 28.
매미성(경남.거제) 얼마전에 이수도를 갔다가 나오는 길에 들렸던 매미섬 요즈음 동네 한 바퀴 프로에 소개되며 많은 사람이 찿는다고 한다. 백순삼 이란 분이 2003년도 매미 태풍이 지나간 후부터 지금까지 17년째 누구의 도움도 없이 혼자서 쌓았다는것에 많은 사람이 감동을 받고 찿아 오는 장소가 되지 않았을까? 당초의 목적은 제방의 기능 이었는데 지금의 모습은 독특한 성벽의 풍광으로 명물이 되었다. 2013년 9월12일자 새거제신문 기사에 그 당시 높이가 8m 에 길이가 110m 정도로 50kg 이상 되는 돌을 매일 30개 이상씩 쌓아올려 1만개 이상이 소요 되어다고 했는데 지금은 규모가 훨씬 커지고 많은 량의 돌들이 들어가 웅장한 자태로 찿는 사람들을 즐겁게 하여 주고 있다. 주소: 경남 거제시 장목면 대금리 290 매미섬.. 2021. 1. 28.
의구총(義狗塚) 경북.구미.해평 의구총(義狗塚)은 조선후기 개와 관련된 무덤으로 1254년 (고려고종) 때 문인 최자의 보안집에 실려 있고 1629년(인조7) 선산부사 안응창이 근찬한 의열도(義烈圖) 의구전조(義狗傳條)의 유래담 그리고 근래에는 1973년도 우리나라 교과서에 실려 내용은 한번쯤 기억해 볼수 있는 이야기의 주인공 이다. * 개의 주인이 이웃 마을에 갔다가 술에취해 돌아오는 길에 월파정(月波亭) 북쪽 큰 길가에서 말에서 떨어져 잠이 들었다가 들에 불이나서 개가 인근 낙동강에서 꼬리에 물을 적셔와 불을 끄고 죽어 버렸다고 하여 .의로움을 기려 그곳을 구분방(狗墳坊) 즉 개무덤동네 라 하였다 한다 현재 이곳을 도민속문화재 105호로 지정 되었다. 주소: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산 148 2021. 1. 23.
낙산리3층석탑(落山里三層石塔)경북.구미 구미시 해평면 낙산1리 마을회관 남쪽 끝 논 가운데 외롭게 서있는 탑 특별한 기록이 없어 추측과 추정만 있을 뿐이다. 다만 구전으로 전해져오는 죽장리 죽장사5층석탑과 연관된 남매탑에 대한 전설만이 존재 한다. 분명 사찰이 있었을 것인데 절 이름을 알수 없는 폐사지로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탑으로 추정하며 탑의 위치상 일금당 이탑 양식 사찰로 추정 된다고 한다. 전탑형이나 1층 몸돌 남측 감실 모양은 죽장사5층 석탑과 거의 흡사하나 층수만 디를 뿐이다. 이 탑은 7.15m 의 높이로 보물 제469호로 지정 되어 있다. 주소: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837-1 2021. 1. 22.
낙산리 고분군(洛山里 古墳群)경북.구미 경북 구미시 해평면을 지나 일선교에 이르는 도로의 좌.우에는 삼국시대 가야와 신라시대의 고분이 동측의 냉산(691.1m )에서 서측으로 낙동강을 향해 뻗은 구릉 지대에 고분들이 군집하여 있음을 볼 수 있다. 이곳 낙산리고분군은 3개의 군집으로 월파정산(月破亭山). 정묘산(鄭墓山). 불로산(不老山)으로 나누어 진다. 낙산리고분군은 구덩식돌덧널무덤과 덧널무덤으로 이루어 졌으며 1990년 10월31일 사적 336호로 지정 되었다. 면적은 229,245평방미터(69,350평) * 구덩식돌덧널무덤 - 돌을 사용하여 주검을 안치한 매장 시설 * 덧널무덤 - 관을 넣어두는 널방을 나무로 만든 무덤 주소: 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98-4 * 무덤을 보면 총(塚)이라 부르는 무덤과 고분(古墳)으로 불려지는 무덤. 그.. 2021. 1. 21.
사육신. 단계 하위지 유허비(丹溪 河緯地 遺墟碑)경북.선산 교과서에 실려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져있는 사육신(死六臣)의 한사람인 단계 하위지의 유허비가 가까이에 있었지만 이곳 선산에 유허비(遺墟碑)가 있음을 몰랐던 무지로 이제사 찿아 보게 된다. 구미시 선산읍 비봉산 기슭 바로 옆에는 우공주택이 들어서 있고 맞은편에는 선산성당이 있으며 넓은 주차장도 마련 되어있어 어렵지 않게 찿을 수 있었다. 주소: 경북 구미시 선산읍 단계동길 92-10 * 유허비(遺墟碑) - 선현의 자취가 있는곳에 길이 후세에 알리고 기리기위해 세운 비 2021. 1. 17 * 자연석 토담으로 둘러쳐져있는 안에 비각 안에 화강암 재질의 유허비가 세워져 있는데 문이 열려 있어 비문과 비석을 자세히 볼 수가 있었다 비 앞면에는 유명조선단계하선생유허비(有明朝鮮丹溪河先生遺墟碑)라는 글씨만 음각 되어 .. 2021. 1. 21.
경체정 (경북.문경) 문경 청대구곡(淸臺九曲)중 2곡인 벽정(碧亭)에 세워놓은 경체정은 1935년 채묵진과 아들 채홍의가 할아버지인 채성우를 비롯한 7형제를 기리기위해 지은 정자라 하는데 경체라는 이름은 시경의 소아편 상체지화에서 따온말로 "형제간 우애가 깊어 집안이 번성 한다는 뜻" 이라 한다. 청대구곡은 문경시 산양면과 산북면 예천군 용궁면을 걸친 금천(錦川)에 설정된 구곡으로 영조 때 대사헌을 역임한 문신 청대 권상일(權相一)1679~1759) 이 금천의 물길 따라 자신의 호 청대(淸臺)를 따 청대구곡 이라 명명. 권상일은 석문구곡을 설정한 근품재 채헌(1715~1795)의 스승으로 본관은 안동이며 이곳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서 출생 하였으며 시호는 희정(僖靖)으로 1786년에 근처 근암서원에 배향 되었다. * 청대구곡.. 2021.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