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9

신상리고분군(新上里古墳群)경북.경산 경부고속도로 상행선 경산휴게소 출구 방향쪽에 보면 낮으막한 언덕에 신상리고분군이란 표지판이 서있어 늘 궁굼 하던차에 언덕을 올라보니 고분공원이 조성되어 있는데 이곳은 2010년 1월에 조성이 되었다고 한다. 1986년도에 지표조사가 실시 되었으며 세상에 알려진건 2003년도라 한다. 대형 봉토분이 30기 이상 분포 되어 있는데 경부고속도로. 경산 하양간 국도. 경산ic 휴게소. 진량중.고등학교 공사로 파괴 또는 훼손 되었다고 한다.(출처: 국립문화재연구소) 아곳의 위치는 경산시 진량읍 신상리 전756-1 757-1 번지로 경산의 북동쪽. 2020.4.22 * 이곳은 압독국(押督國) 터전으로 1145년 김부식이 편찬한 삼국사기에 처음 나타나며 삼국유사에도 압독국 자료에도 임당고분군.진량 신상리고분군. 자인.. 2020. 5. 8.
관호산성(觀湖山城)경북.칠곡 이곳은 경북 칠곡군 약목면 관호리(觀湖里)로 지명 부터가 호수(강물)가 바라보이는 마을이란다. 관호산성에 올라가면 관평루(觀平樓)라는 관호산성의 전망대를 겸하는 건물이 주변을 압도한다. 누각에 올라서니 주변의 모든것이 한눈에 들어온다. 바로 아래 칠곡댐. 호국평화기념관. ktx열차가 지나가는 철도와 댐 아래쪽 에는 전쟁의 아픔을 간직하고 있는 왜관철교도 시야에 들어온다. 2020.4.26 * 관호산성 능선에 건립된 관평루 누각은 관평루(觀平樓)라는 이름은 평화를 바라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한다. * 이 건물은 15억원의 공사비로 2018년 12월 18일날 현판식을 가졌으며 가로가 16.5m 세로가 13m 높이는 11.5m (출처: 영남일보.2018.12.19) 관평루에서 바라본 칠곡보 * 이곳은 칠곡.. 2020. 5. 6.
단고사강당(丹皐詞講堂)경북.경주 경주 안강에서 교육농장 모임이 있어 들렸다가 나오다 단고사강당이란 표지판이있어 들려보았다. 진입로 초입엔 요즘 보기 드문 보리논도 보이고 전형적인 시골길로 한참을 가니 막바지 끝동네에 차약문(此若門)이란 현판이 걸린 건물을 찿을수가 있었다. 문은 잠겨있고 건물앞에 세워 놓은 안내판은 글씨가 마모되어 겨우 보인다. 1997년도 9월29일자로 문화재자료 329호로 지정 되었으며 경주시청 자료에 의하면 병자호란 때 경기도 이천에서 적과 싸우다 숨진 낙선당(樂善堂) 손종로(孫宗老) 1598~1637 의 충절을 기리기위해 세운 건물로 조선순조(17) 1817에 세웠다고 한다. 주소: 경북 경주시 안강읍 검단리 788 2020.4.22 차약문 삼충사(사당).불괘재.사의재.차약문 등의 건물은 흥선대원군 서원 철폐령으.. 2020. 5. 4.
가산산성(架山山城)경북.칠곡 대한민국 사적 216호인 가산산성은 팔공산 도립공원 구역으로 팔공산 도립공원은 6개 지구로(은혜사.갓바위.치산.한티.금화.가산) 분류되며 이곳은 가산지구로 경북 칠곡군 가산면 가산리 산 98-1 에 위치하고 있다. 가산산성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왜침에 대비하여 축성된 산성으로 국내 유일의 3중 산성이며 6.25전쟁시 다부가산산성 전투 격전지로 아픈 역사를 간직 한 곳이다, 2020.3.7 가산산성 들머리 두갈래길로 우측으로 가면 임도길이며 바로가면 지름길. 가산산성 전투로 6.25전사자 유해발굴 지역임을 알리는 안내판이 초입에 세워져 있다. 가산암괴류와 청백선덕비 * 암괴류란 암석 덩어리들이 집단적으로 흘러 내리면서 쌓인 것으로 큰 규모의 암괴류는 천연기념물 435호로 지정된 비슬산암괴류(琵瑟.. 2020. 3. 9.
순교자 이도종(李道宗)목사 성지(제주.대정읍) 이곳은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1639번지에 위치 하고 있다. 바로 옆에는 추사 김정희 기념관이 있고 대성성지와 접하고 있다. 대정교회는 제주출신 1호 목사이며 1호 순교자인 이도종(李道宗)1892~1948 목사의 유해와 순교기념비가 봉안되어있는 제주 기독교 성지다. * 독립운동가로서 국가유공자이며 목회자로 삶을 살아간 이곳에 "순교자이도종목사" 성지라는 안내판을 세워 놓았다. 2020. 2. 21.
관평루(觀平樓)경북.칠곡 낙동강 구간중에 세번째 규모인 칠곡보와 2015년도에 개관한 호국평화기념관이 바라 보이는 위치에 세워진 관평루는 2018년 12월 18일에 현판식을 가졌으며 15억원의 공사비(2018.12.19.영남일보 참조)가 들어 갔다고 한다. 관호산성 전망대를 겸하는 누각으로 평화를 바라본다라는 의미로 관평루라 명명 되었다고 한다. 바로 아래에는 낙동강 칠곡보와 건너편에는 힘차게 펄럭이는 태극기의 모습에서 착안 했다는 호국평화기념관 건물과 대형 태극기가 오늘도 힘차게 펄럭 거린다. 2020.2.8 관평루 *크기가 가로16.5m 세로 13m 높이 11.5m 관평루와 낙동강 호국평화기념관 언덕의 대형 태극기 호국평화기념관 건물 칠곡보 2020. 2. 19.
삼가향교(三嘉鄕校) 경남.합천 향교(鄕校)란 조선시대 공립 중등교육기관 이라 할수 있으며 보통 군.현에 1개소 정도의 향교가 세워졌는데 합천군에는 네 곳이나 향교가 있으며 또한 가장 늦게 1965년도에 설립된 향교인 강양(江陽)향교도 이곳 합천군에 있는 특이한 곳이다. 먼저 합천군 삼가면 소오2길 15-5 에 위치한 삼가 향교를 찿았다. 삼가 향교는 삼가면.쌍백면.가회면.대병면.봉산면.신원면. 6개면에서 선출된 장의 12명. 전교1명. 그리고 유도회 회장이 총괄 한다고 한다. 마을 뒤 높은 지대에 자리잡은 향교는 먼저 고개를 들어 쳐다 봐야만 하는 풍화루가 맞이 한다. 2020.2.11 백성을 가르쳐 어질게 하는곳 향교의 정문격인 풍화루. * 풍화루 건물은 정면3칸에 측면2칸으로 홑처마 팔작지붕 이다. 강학(講學)공간인 명륜당(明倫堂.. 2020. 2. 14.
남명조식생가지(南冥曺植生家址)경남.합천.삼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 남명조식(南冥曺植) 1501~1572 의 생가지(生家址) 를 찿았다. 경남 합천군 삼가면 외토리 488 토골(兎洞) 부락 마을 뒤편 언덕에 안내 표지판이 세워져 있으며 복원 공사가 진행 되고 있음을 알수 있을거 같다. 방치하고 있다가 1995년 5월2일자로 도기념물 148호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이곳 토골은 조식의 외가로 본가는 삼가 판현 이라고 한다. 남명 조식 선생은 외가인 토골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이곳에서 맞이 하게 된다. 2020.2.11 토골마을 전경 생가지 아래 옛 흑담 창고가 방치되어 있다. 아마 옛 담배 건조 창고가 아닌지? 도로변 이정표지판 2020. 2. 12.
예연서원(禮淵書院)대구.달성.유가 임진왜란(1592년) 때 의병장으로 잘 알려진 곽재우(郭再祐)1552~1617 와 정유재란(1597년) 시 함양 황석산성을 방어하다 본인과 아들 며느리까지 순절로 일문삼강(一門三綱)으로 추앙을 받는 곽준(1550~1597)의 위패가 모셔진 예연서원은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가태리 539번지 구례부락 뒷쪽에 자리 잡고있다. 대구시 기념물 11호로 1995년 5월12일자로 지정 되었으며 현재의 건물은 1674(현종15)년에 건립. 외삼문인 숭의문(崇義門)앞에는 기념물 11호란 표지석이 서 있고 바로 옆엔 1986년도에 경북도지사를 역임한 이상배(李相培) 기념식수 나무가 보인다. 숭의문을 들어서니 우남 이승만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이 써 줬다는 예연서원 현판과 뒷편에 경의당(景義堂) 현판이 보이며 건물은 대체로 .. 2020. 2. 12.
홍의장군.충렬공 신도비(神道碑)대구.달성 대구시 달성군 유가읍 가태리 585 구례(求禮)부락 입구에 비각 안에는 두개의 신도비(神道碑)가 세워져 있다. 하나는 홍의장군(紅衣將軍).또는 망우당 이라 불려지는 곽재우(郭再祐) 신도비와 다른 하나는 곽재우의 재종숙이되는 충렬공(忠烈公) 곽준의 신도비다. 이곳에 두개의 비가 세워진 배경은 안내문에 소개가 되어 있다. 곽재우 묘비명에는 전라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로 신도비명은 미수 허목 (1595~1682)이 지었으며 곽재우 묘는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 (예현2길16-1)에 있다. 1709(숙종35)에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로 추증 되었다. * 신도비(神道碑) - 예전에 임금이나 종이품 이상 벼슬아치의 무덤 앞이나 근처 길목에 세워 죽은 사람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 *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 2020. 2. 12.
칠곡애국동산(漆谷愛國東山) 칠곡.왜관 이곳은 경북 칠곡군 왜관읍 북부터미널에서 도보로 약 3분거리 이며 왜관역에서는 도보로 약 15분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애국동산에 오르면 낙동강과 왜관철교가 한눈에 보인다. 조국의 광복과 민족의 민주주의를 위하여 희생하고 목숨을 바친 애국 선열들이 영원한 안식에 잠들어 있는곳. 여기엔 애국지사와 6.25전쟁때 군인과 경찰관의 희생과 승리를 기리는 왜관지구전승비와 순국경찰관 희생자위령비.순국의사 기념비.추모비가 모여있다. 애국동산의 주소는 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산63-4번지 2020.12.8 * 칠곡군에는 85명의 독립유공자를 배출 하였다고 하는데 현재(2019.9.10) 이곳에 18기의 독립기념비가 건립되었다고 한다. * 85명 독립유공자는 - 독립장4명.애국장8명.애족장26명.건국포장8명.대통령표.. 2020. 2. 9.
구(舊)왜관터널(경북.칠곡) 경북 칠곡군 왜관읍 석전리 882-61 에는 근대문화유산인 구 왜관터널이 있다. 호국의 다리와 관호터널을 연결하는 구간의 터널로 현재는 사용하지 않지만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하여 2006년 12월 4일자로 등록문화재 285호로 지정 되었다. 1905년 경부선 철도 개통과 함께 만들어진 터널로 길이는 81.2m 높이 3.15m 폭 4.84m 로 재질은 석조와 붉은 벽돌을 사용한 말굽형 모양의 터널이다. * 현재는 터널을 14m 연장하여 왜관 소공원과 연결되는 터널 출입구를 2014년~2016년 구 터널 주변 정비공사를 하였다. 2020.2.8 터널 오른편에 부착된 근대문화유산임을 알리는 표지판 2020.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