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9

주암정(舟巖亭) 경북.문경 경북 문경시 산양면에서 산북면에 걸쳐있는 석문구곡(石門九曲)중 2곡인 주암(舟巖)은 1673년도에 마흔의 나이로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 생원으로 공부했던 주암(舟巖) 채익하(蔡翊夏)1633~1675 를 기려 1944년도에 후손들이 지은 정자로 원래는 산양면 현리 마을에 있었으나 1971년(49년전) 이곳 산북면 서중리 웅창마을 강가로 옮겼다고 한다. 주소: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 41-2 * 석문구곡(石門九曲) - 경북 문경시 산양면과 산북면에 있는 금천(錦川)과 대하천(大下川)을 따라 9km 에 걸쳐있는 계곡으로 근품재(近品齋) 채헌(蔡憲))1715~1795이 금천의 아홉굽이에 구곡을 정하고 석문구곡이라 명명 하였다고 한다. 채헌은 1753년(영조29) 에 생원시에 합격하고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 2021. 1. 11.
문경장수황씨종택(聞慶長水黃氏宗宅)경북.문경 이 건물은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460-6번지에 소재 하고있는 문경장수황씨종택으로 세종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황희(黃喜)1363~1452 정승의 7대손인 칠봉(七峯) 황시간(黃時幹)이 여기서 거주 했다고 전해지는 건물로 사랑채와 안채의 연결성과 공간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평면 구성이 독특한 주거 건물로 현재 이 건물 안에는 천연기념물 400년생 탱주나무가 고택의 역사를 말해 주고있다. 현재 이 건물은 경북 문화재자료 236호로 지정 되어 있다. 주소: 경북 문경시 산북면 대하리 460-6 2021.1.6 2021. 1. 11.
가은역(加恩驛) 경북.문경 길을 가거나 여행을 하다보면 늘상 가장 많이 보여지며 안타까운 정경과 모습중에 가장 비중을 많이 차지 하는것이 시골의 간이역과 학생이 없어 폐교되는 아담한 학교 건물이다. 나름대로 지혜롭게 다른 용도로 활용을 해봐도 아직도 방치된 아까운 추억의 건물들이 많이 보인다. 이곳 가은역도 방치되다 근래에 수리 보수하여 가은역 카페로 운영 한다고 하는데 시간 관계상 안에는 들어 가보지 못함이 못내 아쉬움을 남긴다. 가은역주소: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 536번지(대야로 2441) 2021.1.6 카페.가은역 * 가은역의 면적은 기록상으로는 123.12평방미터로 약 38평 정도 되며 철로 길이는 좌.우 각각 150m 가은선의 길이는 진남을 기점으로 9.6km 구량리 기점으로는 5.9km . * 가은역은 1955년.. 2021. 1. 10.
지동리 선바위(경북.문경) 경북 상주시 이안면 아천리에서 문경 농암으로 가다보면 농암면 지동리와 선곡리 경계 지점에 도로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바윗돌 두개가 서있어 차를 세웠더니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이곳 농암면의 지명은 농바우(籠巖)에서 유래 되었다고 하며 원래 이곳은 영험한 바위들이 많은 곳으로 이곳 두기의 선돌(立石)은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에 만들어 걸쳐 졌다고 하며 신앙의 대상으로 생활유산으로 이어 졌다고 한다. 안내판에는 이 길을 지나는 사람들 한테 안녕과 행운이 될수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하는 이곳 주민들의 바램을 새겨 놓았다. * 현위치주소: 경북 문경시 지동리 487-1 2021. 1. 8.
함창향교(咸昌鄕校) 경북.상주 함창향교는 경북 상주시 함창읍 무운로 1557-4 에 32호 지방도 교촌 교차로와 접하고 있다. 창건 연대는 미상이며 1417년(태종17) 에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여 1907년 현감 이종호가 명륜당 중수하고 1972년 교궁 전체적인 보수가 이루어졌다. 이곳은 조선시대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 되어 있다. 함창향교는 1985년 8월5일자로 경북 문화재 자료124호에서 2013년 4월8일 자로 경북 유형문화재 제467호로 승격 지정되었다. 함창향교입구 명륜당 앞면 명륜당뒷면 * 현재의 건물은 7칸의 명륜당과 6칸의 대성전 5칸의 동재(東齋)와 서재(西齋) 내삼문(內三門).외삼문(外三門).고사(庫舍)가 있고 건물 배치는 전학후묘(前學後廟)로 앞쪽에 교육공간 뒷쪽에는 제사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동 재 .. 2021. 1. 8.
천진궁(天眞宮) 경남.밀양 경남 밀양 영남루 건물 뒷편에는 정면3칸 측면2칸 천진궁이란 팔작지붕의 건물이 있다. 천진궁의 의미는 "천진난만하다" "순진무구하다." 라고 하는데서 하늘의 정신이 가장 순수하고 온전한 본성 일때가 태어 난지가 얼마 되 않을 때 임을 의미로 하여 인간사랑.나라사랑. 지구사랑정신을 두었다고 한다. 이 건물은 1665년(현종6) 에 밀양부사 홍성구가 창건 하였다가 그후 부사 이인재가 1844(헌종10)년에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렀다고 한다 천진궁은 1974년 12월28일자로 경남 유형문화재 117호로 지정. 천진궁 천진궁 내부 * 제단 중앙에는 단군 영정이 모셔져 있고 오른쪽엔 천부경. 우리나라 국기가 있으며 동쪽 방향엔 부여.고구려.가야.고려의 시조 서쪽으로는 신라.백제.발해.조선 시조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2021. 1. 7.
거제포로수용소 (경남.거제) 2020. 11. 29.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경남.거제) 우리 민족의 공통적인 아픔의 전쟁 역사를 간직한 거제포로수용소는 거제시내 고현동 362번지에 위치 하고 있다. 이곳 거제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은 거제9경중 거제5경으로 1983년 12월 20일 자로 경남문화재자료에 지정되어 현재는 민족역사교육 장소로 활용 하고 있다. 6.25 전쟁이 남겨준 산물이 전쟁 역사의 산 교육장으로 거기다 놀이공원까지 유적공원관광명소라 하여 기본 입장료가 개인 기준 7.000 원(2020.10월 기준) 이다. 1951년도 2월에 설치하여 1953년도 7월27일 휴전 협정후 폐쇄된 거제포로수용소는 당시 면적이 12평방키로미터로 약 360만평에 달했으며 포로 수용 인원이 최고 17만 3천명 까지도 수용 하였다고 한다. 거제9경은 - 1경: 해금강(명승2호 1971년 지정) 2경: 바람의.. 2020. 11. 26.
가산수피아 (경북.칠곡) 수피아란 이름이 왠지 깊은 뜻이 있을거 같아 자료를 찿아보니 옛날에는 아이가 병들면 숲속에 초막을 짓고 간병하다 그 아이가 죽지않고 살아나면 숲의 아이.숲의요정이라 하여 "수피아"라 불렀다고 하는 순수한 우리말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숲의요정을 Forest fairy(포-리스트 페어리)로 요정은 아름답고 오래 살지만 영혼이 없다고 한다. 정말 이곳의 환경과 아주 잘 들어맞는 이름이 아닐까 생각하게 만든다. 공룡과 핑크뮬리로 근래에 많은 사람이 찿아오는 민간정원 가산수피아는 2019년도 4월에 개방한 면적이 132,231평방미터로 약 4만평의 규모로 민간정원 으로서는 국내에서 최대라 한다. 이곳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누어 먼저 힐링(Healing)코스는 그라운드수피아카페와 천년솔숲 황토길.이끼정원. 그리고 핑.. 2020. 11. 25.
가산 수피아 공룡뜰(경북.칠곡) 가산수피아 안내 팜플렛 표지에 보면은 전국최대 민간정원으로 잊고 살던 감성이 소리를 내는 색.향.촉감의 숲과 정원 이라 소개를 하고 있다. 이곳에 숲해설 의뢰가 들어와 미리 답사차 수피아를 찿아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공룡이 있다는 공룡뜰부터 찿아 둘러본다. 한자로 공룡(恐龍)이 두려울 공자에 룡용자로 한자로 보자면 두려운 용이 되는데 공룡의 뜻은 무서운 도마뱀이라 한다. 영문으로는 dinosur. 중생대 마지막기인 백악기가 끝날무렵 모든 공룡이 사라졌다고 하는 공룡의 모형 이나마 볼수있는 기회를 가져본다. *중생대 - 일반적으로 파충류시대와 공룡시대라 부르며 또는 트라이아스기. 쥐라기.백악기로 나눠진다. *백악기 - 중생대 마지막기를 말하며 쥐라기 다음에 해당되는 시대로 1억4000만년 전에서 ~ 710.. 2020. 11. 12.
대구수목원의 가을 오랜만에 대구에 볼일차 갔다가 대구수목원을 들려봤다. 대구수목원을 갈때마다 생각나는 분이 있다. 대구시 녹지과장을 역임했던 이정웅님 대구수목원의 산 증인이다. 현재는 오래전에 퇴직하여 지금은 푸른대구가꾸기시민모임 이사. 대구 생명의숲 운영위원. 팔거역사문화 연구회회장을 역임하며 같은 맥락의 분야에서 왕성한 활동을 하고 계신다. 우리나라 최초로 쓰레기장을 매립하여 조성한 대구수목원 . 무에서 유를 창조한 수목원을 한바퀴 돌아본다. *주소: 대구시 달서구 화암로 342 * 대구수목원은 1998년 12월에 조성공사를 착수하여 2002년5월3일에 설립. 산림청 공립수목원으로 등록 되었다고 한다. * 이곳은 면적이 25만평방미터로 1837종의 수목유전자원을 보유 하고 있다. 450종의 15만 그루의 나무가 심겨져.. 2020. 11. 8.
이수도 이수마을(경남.거제) 부산과 거제도를 이어주는 거가대교가 개통되며 발빠르게 1박 3식이란 타이틀로 탐방객을 유치 하고 있는 이수도를 다녀왔다. 이수도의 주소는 거제시 장목면 시방리 835번지 시방 선착장에서 바로 보이지만 배를 타야만 이수도를 들어 갈수 있다 승선 요금은 왕복 8000원. 물이 사람을 이롭게 한다고 이수도(利水島)란 이름을 가졌다는 이곳은 본래는 섬 모양이 두루미를 닮아 학섬이라 불려 졌다고 한다. 공식적으로는 주민43가구에 외부인 11가구에 면적은 0.384평방키로미터. 해안선길이 3.7km 시방리 해안에서 동쪽방향 0.6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이물섬 전망대 * 이수도에는 4개의 전망대가 설치 되어 있다.(파도.물새.해돋이.이물섬) 이수도 선착장을 나오면 바로 보이는 이수도 마을 표지석. 이수도 옛 표.. 2020.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