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경상도314

영호루 (映湖樓) 경북.안동 교남사대루각 (嶠南四大樓閣) 중 하나인 안동의 영호루(映湖樓)는 영남지방의 사대루각에 속한다.안동 시내를 흘러내리는 낙동강 영호대교 건너편에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이다.영호루의 건립 연대는 정확한 기록이 없고 고려시대 장군 김방경(金方慶 1212~1300) 이1274년(원종 15) 영호루에 들러 지은시로 그 이전에 지은 것으로 추정한다고 한다.홍건적의 난 때 고려 31대 공민왕(恭愍王 1330~1374) 이 이곳에서 군사를 지휘할 때 1367년 공민왕의 친필의 현판을 걸기 위해 중수를 하였다고 하며 현재의 건물은 1970년 현재 위치에 철근콘크리트로 새로 건립을 하였다.루각에는 현판 2점과 제영 1점. 시판 12점이 걸려 있다.주소: 경북 안동시 강남로 187-5 (정하동)* 영남사대루각 - 의.. 2025. 1. 11.
안동향교.安東鄕校 (경북.안동) 경북 안동시 안동향교는 고려시대 (1567년. 명종 22) 창건되어 이후 중건시에는 안동시 명륜동에 당시 규모가 성균관과 동일시되었으며영남 지방에서 가장 큰 규모였다고 한다.6.25 전쟁 시 또 불에다 중건 (1986년)을 하게 되며 현재의 위치에 동무와 서무구분 없이 오성(五聖) - 공자. 인자. 증자. 자사. 맹자. 과 송조 6현 가운데4현(주돈이. 정이. 정호, 주자.)과 동국 18 현을 대성전에 봉안하였으며위치를 정할 때 5성을 제외한 현인들에 대해 국적을 구별하지 않고 연차에 따라봉안하였다고 한다.주소: 경북 안동시 향교길 65 (송천동 1211) 청아루명륜당 2025. 1. 10.
월영교 .月映橋 (경북.안동) 2024.12.11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목책교라 알려진 경북 안동시 안동댐 아래에 있는 월영교(月映橋)를 안동에 계시는 지인분을 만나는 장소가 부근이라 찾았다.이 다리는 안동시 상아동과 성곡동을 이어주는 안동호에 놓인 목책교로 월영공원과안동민속촌을 연결해주는 역할도 해 주는 길이 387m에 너비 3.6m의 인도 다리다.현재의 다리는 2001년 착공하여 2003년 4월에 준공하여 개통을 하였지만 월영교의 역사는 조선 중기부터 시작이 된다.1908년 고성 이씨 문중 묘 이장중 관에서 "원이 엄마 편지" 가 나와원이 엄마와 남편사이 (이응태 부부)의 아름답고 숭고한 사랑의 사연을 간직하고 있다.먼저 간 남편을 위해 머리카락을 뽑아한 켤레의 미투리를 지은 지어미의 애절하고 숭고한 사랑을 기념하여 미투리 모양의 .. 2025. 1. 9.
권정생(權正生) 선생 생가 (경북.안동) 마지막 생을 마감할 때까지 5평짜리 집에서 검소한 삶을 살았던 권 정생 선생이 살았던 집을 찿았다.마을 이름이 조탑리 5층 전탑으로 인해 조탑리란 마을명이 주어졌다는 조탑리뒤편에 초라한 모습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대한민국의 동화작가. 수필가. 시인으로 그리고 1982년까지 마을 교회 종지기로살아왔던 선생의 대표작으로는 1969년에 발표된 강아지똥과 몽실언니가 있으며140여 편의 단편동화. 5편의 장편동화. 100 편이 넘는 동시. 동요가 있다. 강아지똥 작품으로 제1회 기독교 아동 문학상을  수상 하였고 제1회 한국 아동 문학상도수상 하였다.1937년도 일본 도쿄 시부아에서 출생하여 2007년 71세로 대구가톨릭 병원에서사망을 하였다.주소: 경북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 몽실언니 - 1981년 울진의 작.. 2024. 12. 12.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 경북.영주 조선시대 4대 임금 세종(1397~1422)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 씨의 6남인 금성대군(1426(세종 8)~ 1457(세조 3)이 1455년(단종 3) 모반 혐의로 삭녕에 유배되어광주로 옮겨 졌다가 1456년(세조 2)에 사육신과 단종 복위운동을 하다 실패하고 연루되어경상도 순흥으로 유배가되며 이곳에서 단종 복위를 계획하던 중 거사 전에 관노의 고발로 반역죄로 처형을 당한 곳이 이곳 금성대군신단이 있는 곳으로 그의 혈흔이 묻은 돌을 발견하여단을 쌓고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금성대군은 이름은 이유(李瑜). 시호는 정민(貞愍). 호는 승은정(承恩亭)으로단종의 숙부가 되며 문종과 세조의 친동생이 된다. 1433년(세종15)에 금성대군에 봉해졌으며  1437년에 태조의 여덟째 아들인 방석(芳碩. 의안대.. 2024. 6. 22.
지례향교(경북.김천) 2024.4.6 경북 김천시 지례면에는 가끔씩 경유하거나 들리는 곳이지만 지례향교는 처음 들려 봤다. 항상 향교 건물의 공통점은 마을 뒤쪽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명이 교촌(敎村) 또는 교리(敎里)라 불려지고 있다. 이곳도 역시 주소가 김천시 지례면 교리 729 번지 문이 잠겨있어 향교 안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사반루(思泮樓)라는 현판이 걸린 건물 담장 너머로 기웃 거려 본다. 생각할 사(思) 에 학교 반(泮)이라 한자의 뜻은 생각하는 학교란 의미 자료에 의하면 1426년(세종8)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한 향교로 임진왜란 때 전소되고 1690년(숙종16) 에 현감 유후광(柳後光) 이 중수하였고 일제 말 금산향교로 폐합되었다가 1946년 다시 복원. 1973년 중수를 하였다. 경내 건물로는 .. 2024. 4. 9.
금척리(金尺里)고분군(경북.경주.건천) 2024.3.30 경주 시내에만 고분(古墳) 이 있는 줄 알았는데 건천읍에도 제법 큰 규모의 고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4번 국도변 금척리 고분을 들렀을 때에는 갑자기 우박이 잠깐 쏟아져 당혹스러운 요즈음의 날씨다. 고분(古墳) 이라하면 오래된 무덤. 사람의 시신을 매장한 시설물을 지칭하건만 일반적으로 역사적. 고고학적 자료가 될 수 있는 무덤만을 고분으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며 학술적 가치가 있다면 모든 옛 무덤을 고분이라 할 수 있다고 한다. 이곳 금척리 고분은 5~6세기 신라의 고총 고분으로 대릉원 일대 고분 다음으로 고총이 많으며 당초 52기 규모의 무덤에서 현재는 32기가 남아 있으며 규모는 127,406㎡ 에 1963년 1월 21일 자로 사적 43호로 지정이 되었다. 주소: 경북 .. 2024. 4. 2.
박목월 생가(경북.경주.건천) 학교 교과서에 자주 등장했던 귀에 익은 시들의 주인공 박목월 선생(1915~1978) 생가를 들렸다. 청록파 시인으로 잘 알려지고 청록집으로 유명하며 시인으로 교육자로 시문학 대표적 작가로서 작품 도서를 67건이나 후세에 남겨준 분이다. 필명인 목월(木月) 은 어느날 밤 나무에 걸린 달의 모습이 너무 고와 목월로 지었다고 한다. 청록이란 "청노루" 란 시의 마지막 구절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에서 따왔다고 하며 이 시는 이상화된 공간 속에서 탈속적인 세계 평화를 뜻한다고 한다. 이곳 생가는 박목월 선생이 유년기를 보낸 장소로 태어난 곳은 경남 고성군 고성면 수남리로 1919년 이곳 경주군 서면 모량리 (현 건천읍 모량리 571번지)로 이주하여 1929년도에 건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5년 대구계.. 2024. 4. 2.
간월재 (울산.울주) 울산시 상북면에 있는 간월산과 신불산을 이어주는 고갯마루를 간월재라 부른다. 간월재 안내판에는 삶의 길이었다고 하며 영남알프스의 관문이라 칭 한다. 죽림굴 천주교 성지를 순례하기 위해 가던 길에 들리는 경유지며 코스다. 영남의 알프스란 무엇을 말하는지 알아보자. 경남 밀양의 산내면.양산시 하북면.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걸쳐있는 해발 1000m 이상의 9개 산을 말한다. 9개의 산은 가지산(1,241m) 간월산(1,069m) 신불산(1,159m ) 영축산(1,082m) 천황산(1,189m ) 재약산(1,119m ) 고헌산(1,033m ) 운문산(1,195m ) 문복산(1,013m) 전체 면적은 255㎢ * 간월재 휴게소에는 간단한 식품을 판매하는데 카드 결재만 가능하다고 한다. .. 2024. 3. 18.
청마(靑馬) 유치환(柳致環) 기념관 (경남.거제) 학창 시절 한번쯤은 읊어봤던 "이것은 소리없는 아우성" 으로 시작하는 "깃발" 이란 시를 생각나게 하는 청마 유치환.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에 소재한 유치환 기념관을 들렸다. 출생지로 인해 거제와 통영이 민감한 대립을 보이며 거제시에는 청마 기념관과 청마 거리를 만들어 놓았고 통영시는 청마문학관을 설치해 놓았다. 2004년 대법원에서 출생지가 거제라고 보기에는 어렵다는 판결이 나오고 유치환 자작시 해설집 "구름에 그리다"에서 출생지가 통영임이 밝혀지며 그 당시에는 진남군 서면. 현재는 통영시 태평동 출생으로 정리가 되지 않았나 싶은데 지금도 간혹 거제와 통영으로 표기된 글들을 보게 된다. 청마 유치환 (1908~1967) 은 일제 강점기 시절 시인 겸 교육자로 사신 분으로 1931년 문예 월간에 첫 등단을.. 2024. 3. 11.
눈내린 가야산맥 가야산(경북.성주) 가야산(1433m) 북쪽 방향 경북 성주에서 바라본 가야산과 가야산맥 능선의 눈 덮인 풍경을 오랜만에 오전 일찍 카메라에 담아 봤다. 주봉인 칠불봉(1433m )과 상왕봉(1430m)을 중심으로 가야산의 북쪽의 모습이다. 행정구역상으로 칠불봉은 경북 성주군 가천면 법전리 산 162번지. 상왕봉은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1-1 번지 접근 거리를 보면 대구에서는 71km. 합천읍에서는 38km. 고령은 34km. 성주읍에선 27km 거리다. 2024.3.2 칠불봉.상왕봉과 가야산 능선 가야산과 경북 성주군 가천면 소재지 가야산과 경북 성주군 가천면 창천 3리 들판 가야산에서 수도산 방향 능선 상왕봉(1430m) 2024. 3. 3.
성주호 둘레길 (경북.성주) 2024.1.23 성주호(星州湖) 는 경북 김천시 증산면에 소재한 수도산(修道山 1317m ) 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대가천 계곡을 타고 무흘 구곡을 구비 구비 흘러 잠시 머무는 곳이 성주호라 볼 수 있다. 수도산은 - 가야산맥(伽倻山脈) 상고봉의 하나로 가야산맥은 소백산맥의 대덕산(大德山 1290m) 에서 동쪽으로 뻗어나간 한 지맥이다. 집에서 자동차로 약 15분 정도의 거리에 있는 성주호 둘레길을 전구간을 한 번도 완주하지 못해 성주호 둘레길 1코스 중 호수 둘레길 (12.45km)을 걸어 보기로 했다. 이 구간은 아라월드에서 광암교 까지 3km 구간은 숲 속 길이며 광암교에서 강정교 까지 7.7km는 30번. 59번 국도를 따라 수변길로 이루어져 있고 강정교에서 아라월드까지 1.75km는 댐 진입로로.. 2024.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