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앙유적지를 찿아(불교)94

봉미산.신륵사(鳳尾山.神勒寺)경기.여주 신륵사는 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천송리 남한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株寺)의 말사로 신라 진흥왕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고려 고승 나옹선사가 입적한 곳으로도 유명 합니다. 사찰 이름을 "신륵"이라 한데는 미륵(彌勒) 또는 왕사 나옹(懶翁)이 신기한 굴레로 용마(龍馬)를 막았다는 전설에의한 설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봉미산.신륵사일주문 신륵사경내 은행나무(여주군 보호수) 다층전탑(多層塼塔) 국내에서 유일하게 완성된 형태로 보존된 전탑으로 보물 226호로 지정 대장각기비(大藏閣記碑) 이색과 나옹의 제자들이 대장경을 보관 하기위해 대장각을 세운 연유를 기록한 대장각기비 나옹의 화장지에 세워진 삼층석탑 나옹선사를 추념하여 세운정자 강월헌(江月軒) 목조아미타 삼존불이 .. 2015. 1. 19.
청량산.청량사(淸凉山.淸凉寺)경북.봉화 청량산은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1982년 경상북도 도립공원으로 지정 되었습니다. 청량사가 있는 청량산은 영남의 소금강이라 불리며 금탑봉을 비롯한 12 봉우리와 많은 동굴.계곡.폭포등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퇴계를 비롯하여 원효.의상.최치원.김생 등이 찿아와 수도한 명산으로 신라 문무왕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청량사가 있으며 연대사 등 한때는 20 여개의 암자를 거느렸던 불교의 요람으로 중심전각인 유리보전의 공민왕 친필 현판과 금탑봉의 응진전과 석탑. 골짝.골짝마다 역사와 철학이 스며있는 곳 입니다. 청량지문(淸凉之門) 청량산입구 솟을대문에 걸려있는 편액은 김생의 글씨를 집자했다고 합니다. 학소대방향 어풍대에서 바라본 청량사 화장실 청량산 산꾼의 집-왼편 건물은 청량정사 청량정사 연.. 2015. 1. 17.
은해사 거조암(銀海寺 居祖庵)경북.영천 거조암 영산전(居祖庵 靈山殿)은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이며 아미타 부처님이 상주하는 기도처로 잘 알려진 영천 은해사의 부속암자로 경북 영천시 청통면 신원리 622번지에 위치하며 영산정 건물은 1962년 12월 20 일자로 국보 14호로 지정 되었으며 고려시대 국보급 건물 네곳중 하나로 영주 부석사의 무량수전과 조사당 안동봉정사의 극락전(국보15호).예산수덕사의 대웅전은 고려시대의 건축물로 아주 소중하고 가치있는 문화재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영산전이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영취산)에서 묘법연화경(妙法連華經)을 설(說)하신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중심으로 지은 법당으로 이 건물은 건물 전체가 경판고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으나 건물 내부에는 석가여래.문수보살.보현.오백나한이 모셔져 있고 간결하고 단순한 맛배.. 2015. 1. 13.
인각사(麟角寺)와 삼국유사(경북.군위) 인각사는 경북 군위군 고로면 화북리 612번지에 소재하며 인각사는 신라 선덕여왕때 창건 되었고 .고려 충렬왕이 왕명으로 중건하고 토지를 내려 보각국사 일연의 하산소로 정한 곳 입니다.화산과 기린의 전설이 서린 학소대가 병풍처럼 둘러있고 앞에는 위천이 서쪽으로 휘감아도는 아름다운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일연 스님은 이곳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비롯한 불교서적100 여권을 기술 하였고 구산문도회(九山門都會)를 두번이나 열었으며 일연스님이 이곳에서 완성하신 삼국유사는 우리의 건국신화인 단군신화를 전해주고 고조선을 대한민국의 정통으로 삼아 우리 민족이 4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간직한 우수한 민족임을 깨우쳐 주었습니다. 인각사 극락전 인각사 보각국사정조지탑과 석불좌상 보각국사정조지탑(보물428호) 석불좌상(경북유형문화.. 2015. 1. 13.
군위.삼존석굴(軍威三尊石窟)경북.군위 삼존석굴은 경북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산 15번지에 위치 하고 있으며 국보 제 109호로 지정 되어 있습니다. 팔공산(八公山)자락 북쪽 계곡 학소대의 천연절벽 자연 동굴안에 모셔진 미타 삼존석불로 경주 토함산 석굴암보다 조성연대가 1세기쯤 앞선 것으로 석굴 사원의 효시라 할수 있습니다. 아미타불의 본존불 좌.우에는 관세음보살님과 대세지보살님을 모시고 있으며 본존불 높이가 2.88m로 이 석불은 손의 모양이 항마촉지인을 하고있는 아미타불로 7세기 말의 작품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항마촉지인이란: 깨달음에 이르기 직전 악마의 유혹을 받은 석가모니가 땅의 신을 가리키며 마군을 물리쳤음을 증명 하는 자세로 깨달음의 순간을 상징하는 항마촉지인은 "촉지인"또는 "지지인" 이라고도 하며석가모니만 취하는 수인으로 왼손.. 2015. 1. 13.
적상산.안국사(赤裳山.安國寺)전북.무주 적상산은 전북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상산 내에는 안국사 사찰과.적상산성.양수댐발전소 전망대와 적상호수가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고 가을 이면 단풍이 유명하여 많은 사람이 최근에 찿는 명소가 되었으며 적상산 안국사에는 문화재로서 보물1점과 전라북도 유형문화재3점.그리고 유형문화재자료 1점이 있습니다. 보물은-영산회괘불탱(靈山會掛佛탱)보물 제1267호 전북 유형문화재-안국사극락전(安國寺極樂殿)제 42호 적상산호국사비(赤裳山護國寺碑)제 85호 목조아미타삼존불상(木造阿彌陀三尊佛像)제 201호 유형문화재자료- 안국사 범종(安國寺梵鐘) 제188호 극락전은 극락 세계의 주재자인 아미타불을 주불로 모시는 불전으로 아미타전 또는 무량수전 이라고도 하며 아미타전이라 할때는 아미타여래를 주불로 모신 불전임을.. 2015. 1. 12.
가야산 폐사지(伽倻山 廢寺址)탐방(경북.성주) 지난 2014.11.15일 성주문화원 문화유적 답사반 회원들이 가야산 국립공원의 안내와 도움을 받아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소재 가야산에 있는 옛 폐사지 답사를 하게 되었습니다.법수사지.가야산성.용기사지.백운암지.일요암지를 둘러보며 그당시 왕성했던 사찰의 규모를 상상하며 역사의 흔적을 담아 봤습니다. 법수사지가 있는 백운리 중기부락 법수사지 삼층석탑 법수사지에 대하여 해설해주는 국립공원 직원 용기골 계곡을 오르다 오른편 가야산성 용기사지의 유물 확.맷돌등 용기사찰이 있던 용기사 터 용의 귀라 불려지는 용각대 바위 용각대 바위앞에서 기념촬영(성주문화원 유적답사회원) 2014. 12. 22.
통도사.영취산(通度寺.靈鷲山)경남.양산 신라27대 선덕여왕 15년 646년 자장율사가 창건 통도사는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 가져온 석가모니의 사리와 가사를 봉안하여 불보사찰이라 부르며 해인사(경남.합천)는 부처님의 말씀인 (法)팔만대장경을 간직하여 법보사찰(法寶寺刹)이라하고 송광사는 보조국사 이래 열여섯명의 국사를 배출하여 승보사찰(僧寶寺刹) 이라 불려지고 있지요. 통도사 대웅전에는 불상이 없는 사찰로 유명합니다. 통도사 대웅전은 실제로 부처님이 살아 숨쉬고 계시는 공간으로 다른 사찰의 대웅전과는 다른 종교적 상징을 가져 정자형(丁字形) 법당 사면에는 동쪽은 대웅전(大雄殿) 서쪽은 대방광전(大方廣殿) 남쪽은 금강계단(金剛戒壇) 북쪽은 적멸보궁(寂滅寶宮)이라 쓰여 있습니다. 영축산 통도사는 이산의 모양이 불법을 직접 설하신 인도 영축산과 통한다 .. 2014. 12. 8.
청암사(靑巖寺)경북.김천 경북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번지에 소재한 불영산청암사(佛靈山靑巖寺)는 신라 현인왕3년(859)에 도선국사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 말사로서 조선 인조 25년(1647)허정혜원조사에 의해 제1중창이 있었고 제2중창.제3중창 이후 1905~1912년에 대운병택조사에 의해 제4중창과 .제5중창이 1987~2005년 까지 의정지형.의진상덕.강벽에의해 제6차 중창이 완성되어 현재의 가람이 갖추어 졌다고 합니다. 청암사는 1711년경부터 회암정혜조사에 의해 강원으로 오다가 1970년대 중단 되었다가 1987년 의정지형.의진상덕.강벽에 의해 비구니 승가대학을 설립하여 현재 130 명의 학인대중이 부처님의 경전을 공부 하고 있으며 청암사 내에는 지정된 문화재로는 청암사대웅전(도문화재자료.. 2014. 12. 4.
해인사(海印寺)경남.합천 가야산 법보종찰 해인사(法寶宗刹 海印寺)는 신라시대 화엄종의 정신적인 기반을 확충하고 선양 하기위해 세워진 화엄 십찰(華嚴十刹) 가운데 하나로 신라 40대 임금인 애장왕 3년 (서기 802년)에 창건된 고찰(古刹)으로 불보사찰(佛寶寺刹)통도사).승보사찰(僧寶寺刹)송광사).와 더불어 해인사가 법보종찰인 것은 한국 화엄종의 근본도량이자 우리 민족의 문화 유산인 고려 팔만대장경을 모신 사찰이기 때문이다. 해인사의 "해인"은 일렁임이 없는 바다에 만물의 형상이 그대로 비치는 것과 같이 번뇌가 없는 마음에는 만물의 이치가 그대로 드러난다" 는 의미로 화엄경의 "해인삼매(海印三昧)에서 따온 이름이다. 해인사는 930년경 희랑(希郞) 대사에 의하여 크게 중창 되었으며 1398년 고려대장경이 강화에서 해인사로 옮겨 오.. 2014.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