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국립공원에는95 가야산 석조여래입상(石造如來立像)보물264호 이 석조여래입상은 가야산 18경인 봉천대 가기전에 탐방로에서 오른쪽 약50 여m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이곳에서 상왕봉 까지도 그리 멀지 않은 거리라 발품을 팔지 않으면 갈수 없는 곳 입니다. 보물 제264호인 이 석조여래입상은 얼굴 신체의 양강 그리고 옷 주름에서 통일 신라시대 불상의 특징이 엿 보이기는 하나 균형을 잃은 경직된자세 평면적이고 소극적인 조각수법등 형식화 경향이 현저한 여래상이다. 제작시기는 통일 신라 말에서 고려시대 초기로 짐작된다고 합니다. 2016. 1. 4. 가야산(伽倻山)유상곡수(流觴曲水) 가야산 해인사나 팔만대장경전을 갈려면 가야산 해인사 일주문을 통과 해야 되는데 일주문 들어 가기전 오른쪽 공터에 보면 돌로 설치된 둥근 도랑같은 구조물이 방치 되어 있어 해인사를 찿을때마다 표지판도 없고 가야산 해인사 관련 책자에도 기록이없어 궁굼하던차에 해인사에서 발행하는 월간 해인지 2015년(불기2559년.단기4348년) 6월(400호) 뒷표지에 실려있어 올려봅니다. * 1625년 가야산과 유람한 뒤 남긴 허돈의 "유가야산기"에 유상곡수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눈썹이 진하고 흰 머리의 늙은 승려가 나와 말머리에서 인사를 하엿다. 일주문을 통하여 들어 갔는데.일주문 위에는 석천(石泉)임억령(林億齡)이 지은 오언절구가 있어서 지금도 사람들 사이에 회자되고 있다. 문 밖에는 돌을 깍아 빙 돌아가게 하여.. 2016. 1. 4. 사명대사 석장비(四溟大師 石藏碑)가야산.해인사(보물1301호) 이 비석은 임진왜란때 승장으로 나라를 지킨 사명대사 일대기를 기록한 비석으로 1612년에 건립 되었다가 1943년에 일본인이 깨트린 것을 1958년에 다시 복원 한 것으로 이 비문은 "홍길동"전으로 유명한 석학 허균이 지었으며 광해군 2년에 광해군은 스님의 열반을 애도하여 자통홍제존자(慈通弘濟尊者)라는 익호(謚號)를 내리고 이곳 홍제암에 비를 세웠다고 하는데 그 뒤로부터 스님의 익호를 따라 이 암자를 홍제암 이라 하였다고 합니다. 2015. 10. 3. 부도(浮屠)가야산.해인사 부도는 승녀의 사리나 유골을 안치한 묘탑을 말 하는데 또한 승탑.사리탑.부두.포도(蒲圖).불도(佛圖) 라고도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은 가야산 해인사 일주문 가기전 오른편 백련암. 지족암 방향으로 조금 들어가면 좌측 길과 접하고 있는 사리탑 입니다. 2015. 10. 2. 윤고암대종사.백용성조사 사리탑(가야산.해인사) 이 사리탑은 외나무 다리를 건너 왼편 홍제암 방향으로 가다보면 윤고암대종사리탑과 백용성조사 사리탑이 모셔져 있는 산아래 잔디밭이 보입니다 . 윤고암대종사리탑(尹古庵大宗舍利塔)-전 조계종 종정 백용성 조사 사리탑(白龍城 祖師 舍利塔)-3.1 독립운동 민족대표 2015. 10. 1. 해인사 외나무다리(경남.합천) 해인사 외나무 다리는 승유억불 정책이 행해진 조선 시대에 말을 탄 양반이 법당 앞까지 들어오는 행패를 막기위해 만들어 졌다 하며 언제 부턴가 이 다리를 건너야 극락에 도달 한다는 속설이 정해 지고 있다고 합니다. 외나무 다리를 건너면 돌 표지석에 아래와 같은 게송이 쓰여 있습니다. 橋 忌 通 馬 牛 (교기통마우) 다리에 소와 말이 지나는 것을 꺼림이니 後 人 信 此 規 (후인신차규) 후세 사람들은 이를 본보기 삼을 지니라 古 來 架 一 條 (고래가일조) 옛날부터 한 가닥으로 건너 지름이니 愼 勿 加 添 補 (신물가첨보) 삼가 첨가 하거나 덧붙이지 말도록 하라 다리 건너에 있는 표지석이 불기 2975년에 세워 졌으니까 서기로 1948년이 되네요. 2015. 10. 1. 길상암 적멸보궁(吉祥庵 寂滅寶宮)합천.해인사 길상암에서 돌 계단을 한참 올라가면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셔 놓은 법당 적멸보궁의 보궁이란 편액이 걸린 건물이 보입니다 적멸이란 번뇌의 세상을 완전히 벗어난 높은경지 이며 보궁이란 보배로운 궁 이라 그러는데 주변의 경관이 번뇌의 세상을 벗어날만 하네요. 적멸보궁은 신라 647년(진덕왕)자장율사가 처음 창건 하여 우리나라의 5대 적멸보궁은 양산통도사.오대산 상원사.설악 봉정암.태백산 정암사.사자산 법흥사. 8대 적멸보궁은 통도사.용연사.상원사.봉정암.법흥사.정암사.건봉사.도리사. 2015. 9. 7. 길상암.吉祥庵(합천.가야산) 아래 길상암은 가야산 해인사 소리길 구간에 있으며 해인사 매표소 입구에서 약 1km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사찰은 1972년에 영암 스님께서 창건 하였고 부처님의 사리가 모셔져 있는 적멸보궁이 있는 사찰 입니다. 미륵불.약사여래불.불광보탑 길상암 입구 위에서 내려다본 길상암 오르는길 길상암 오르는 계단 종 각 삼성각 대웅전 대웅전 본존불 나한전 길상암전경 2015. 9. 7. 다비장(茶毘場)가야산.해인사 아무런 표지판도 없이 고요함속에 정적만이 감도는 이곳 삶과 죽음을 생각해보게 하는 곳이네요. 이곳은 스님들의 마지막 생을 정리하는 가야산 해인사 다비장 입니다. 다비(茶毘)를 백과사전을 찿아보니 범어 자피타(jha-pita)를 음역한 말로서 분소(焚燒).연소(燃燒)등으로 의역되며 유해를 화장하는 일을 뜻하는말이며 순수한 불교 말로서 일상용어는 아니라고 합니다. 2015. 9. 7. 가야산 해인사 원표(元標)표지석(경남.합천) 경남.합천.해인사 일주문 들어가기전 10 여m 전방에 사각형 이정표 표지석이 서있는데 한자로 원표(元標)라 음각되어 있으며 4면에는 합천군.거창군.진주군.고령군.대구부는 거리가 표시되어 있는데 김천군.성주군은 거리 표시가 없네요. 합천군은 九里 三十三町 진주군은 二十二里 九町 거창군은 十二里 十三町 고령군은 八里 대구부는 十七里 二十四町라 음각 되어 있는데 1리는 지금의 10 리에 해당되며 1정은 360자로 약 109m 정도 된다고 하면 합천군은 9리 33정으로 환산하면 약 40km 정도의 거리가 됩니다. * 아래 글은 2005년 7월호 월간해인지에 실린 글 입니다. 해인사 일주문 옆 원표元標를 아시나요! 이 달의 이야기 - 종현 / 해인지 편집장 2005년 07월 281호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스님들.. 2015. 6. 17. 해인사묘길상탑(海印寺吉祥塔)경남.합천(보물1242호) 이 길상탑은 경남 합천 해인사 일주문 가기전 약 50 여m 전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보통 일반적인 탑은 일주문 안 사찰 경내에 서있고 또한 층수에 따라 구별하여 보통 명사로 불리어지고 하는데 이 탑은 일주문 밖에 있고 탑의 명칭도 고유명사로 칭하고 있는점이 좀 특별함을 알수 있습니다. 이 탑의 첫번째 지석 앞면에는 해인사묘길 상탑기가 기록되어 있는데 고운 최치원이 지었습니다. 내용에는 진성여왕9년(895) 7월에 전란에서 사망한 원혼들의 명복을 빌기위해 삼층석탑응 세운다는 기록이 있으며 지석뒷면에는 운양대길상탑기(雲陽大吉祥塔記)가 기록. 내용은 탑의높이.소요자재와 경비 공사관련 인물들의 설명이 기록되어 이 탑은 보물 1242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2015. 6. 7. 이전 1 ···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