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92

초기 흑백 텔레비젼 텔레비젼이 처음 보급될때 특히 농촌마을에 그래도 좀 경제적으로 나은 집에 텔레비젼이 들어오면 동네사람 모두 모여 들었던 시절이 생각납니다. 그때 그시절 "여로"라는 드라마가 인기 절정 이었었지요. 채널 손잡이도 로타리 식으로 앞면에는 여닫이식 문이 달려 다 보고 나면 문을 닫아 아주 소중하게 생각하여 안방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여 부의 상징 이었답니다. 2011. 5. 11.
철제 국수틀 철제로 만든 수동식 국수기계 입니다. 밀가루를 반죽을 해서 로라 방향에 밀어놓고 손잡이를 돌리면 얇고 납작한 모양의 밀가루 떡을 톱니바퀴를 다른곳에 물려 밀어놓고 다시 손잡이를 돌려주면 국수가락이 나오는데 아주 실용적이고 정교하게 만든 국수빼는 기계로 생산된 년도는 확실하지 않고 재활용 자원(고물상)업을 하시는 분이 애지리 농경생활 전시관에 기증해 주셨습니다. 2011. 5. 11.
5월의 애지리농원 5월 초순의 애지리문화농원 풍경 입니다. 농원 뒷편 매적산 자락의 나무들은 연초록에서 짙은 초록으로 바뀌어 가고 농경 생활사 전시관 건물엔 "성주 애지리 문화농원"이란 노란 바탕의 간판이 달리어 졌습니다. 2011. 5. 10.
애지리에 이름표가 붙여집니다. 애지리문화농원에 이름표가 달려지고 있습니다. 애지리를 처음 찿아 주시는 래방객 분들께 이젠 좀 도움이 될거 같습니다. 30번 국도에서 들어오는 진입로와 농장으로 올라오는길 그리고 전시관 건물위에 우선 세군데에 안내 표지판을 세워 봤습니다. 세워지고 있는 간판 세개도 철거된 간판을 얻어와 재활용을 해 보았습니다. 철거된 간판이 아깝기도 하지만 사실은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위한 쪽이 더 비중이 클겁니다. 그리고 이젠 중고품들이 더 정감이 가네요. 2011. 5. 1.
할미꽃 노지에 심겨진 할미꽃도 고개를 숙이고 긴 수염을 드러내며 씨방을 만들기위해 늦은 오후 햇쌀을 받으며 마지막 자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애지리농원 늦은 오후에. 2011. 4. 30.
자연산고사리 애지리농원 고사리밭 주변 매적산 자락에서 올해 처음으로 고사리를 꺽어 봤는데 꺽는 시기가 좀 늦어 이미 잎으로 형성 되버린 것도 있습니다. 2011. 4. 28.
적은량의 곡식을 담아 검불이나.티끌을 날려보내고 알곡식만 처지도록 하여 구분하는 도구 입니다. 그리고 지금의 어른들. 옛 어린이들에겐 그렇게 좋은 추억만을 가진 물건은 아니지요. 잠자다 입은 옷에 오줌을 싸면 부모님들은 이른 새벽 키를 머리에 씌우고 이웃집에 소금을 꿔러 보내는 풍속이 있었는데 지금의 기성세대들 모두 한.두번은 그런 부끄러운 추억을 간직하고 있지 않을까.... 2011. 4. 26.
둥구미 이젠 우리들 주변에서 완전히 사라진 짚으로 만든 그릇 용도로 사용 되었던 도구 입니다. 왠지 정감이 가고 애틋함이 스며나올것 같은 그런기분 그리고 시골 엄마.할매가 생각나게 만드는 물건이지요. 우리 조상님들의 대표적인 짚문화의 유산 이랍니다.여기에 크기에 따라 마른 곡식을 담아 보관하면 짚이가진 보온.보습.통풍이 자연 스럽게 조화를 이루면서 장기간 보관이 아주 용이 했던걸로 기억이 됩니다. 옛 어른들은 둥구미가 쭈그러지면 "어떤 장수가 와도 일으킬수 없다"던 말씀 을 하셨는데 아래 둥구미도 영원히 쭈그러진 상태가 유지될거 같습니다. 2011. 4. 26.
망개꽃(청미래덩굴) 갈매나무과 낙엽교목으로 4~5월에 꽃이 피어 가을이 되면 빨간색의 열매가 달리는데 길이가 20m까지 뻗어나는 덩굴성 식물로 청미래덩굴 로도 많이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별 맛은 없지만 열매를 따 먹을수도 있는데 시골에서 소먹이며 따먹던 추억의 망개열매가 최근에 가짜 고추가루로 둔갑되어 시중에 유통되어 참 웃기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2011. 4. 25.
으름나무꽃 숲속에서 자라는 갈잎덩굴 식물로 길이가 3~5m 까지 뻗으며 잎은 어긋나고 4~5월 쯤이면 어두운 자주색 꽃을 피우는데 9~10월 쯤 되면 열매가 자갈색으로 익어 터지면서 흰색의 과육을 먹을수 있는데 일명 한국산 바나나로 칭하기도 합니다. 으름은 으름덩굴과로 잎은 먹통차라 해서 차로 만들어 먹을수있고 뿌리.줄기.열매 모두 약재로 쓰여 지기도 합니다. 2011. 4. 25.
돌 민속품 전시 농경 생활사 전시관 건물 외부 마당에 석조물(확.멧돌.다듬이돌.돌절구 등) 을 정리 전시를 해 보았습니다. 2011. 4. 22.
수련이 올라 옵니다. 깨어진 단지를 이용하여 작년에 수련을 심어 봤는데 무사히 월동을 하고 수면 위로 올라 오고 있네요. 2011.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