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경상도314 만산고택(경북.봉화) 경북 봉화군 춘양면 소재지에 위치한 만산고택은 조선시대 중추관 의관을 지낸 만산 강용(姜鎔) 1846~1934 이 1878년도에 지은 사대부 가옥으로 바로 옆 춘양성당 뒤편 언덕에 망미대(望美臺)란 비석에는 을사늑약(을사조약) 후 귀향한 만산이 경술국치(1910.8.29)로 나라를 잃은 설움과 임금을 향한 안타까운 충정을 담은 내용의 글이 후세에 전하고 있다. 현재는 만산의 4대손 강백기씨 부부가 거처하며 관리를 하고 계신다. 2022.10.1 * 이 건물은 별당으로 현재는 민박 고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일곱 그루의 버드나무가 있는집이라 하여 칠류헌이란 현판을 달았으며 이는 중국 송대의 시인 도연명을 흠모해 쓴 현판으로 독립운동가인 서화가 오세창(1864~1953)의 글씨라 한다. 2022. 10. 12. 법흥사지 칠층전탑(경북.안동.국보16호) 신세동 칠층 전탑이라고도 불려지는 법흥사지 칠층 전탑은 옛 표지석에는 지금도 신세동 칠충 전탑이라 표시되어 있다. 이곳의 위치는 안동댐으로 올라가는 도로변 고성이 씨 탑동파 종택 앞에 있는 탑으로 한국 최고 최대 전탑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의 탑은 1487년(성종 18) 개축된 탑이다. 이곳을 찿아 갈 때 내비게이션을 신세동 칠층 전탑으로 치면 엉뚱한 곳으로 안내를 해줘 법흥사지 칠층 전탑이나 주소를 입력하여 찾아가야 현 위치로 안내를 해준다. 통일신라시대(8세기경)에 창건된 법흥사에 있던 탑으로 알려진 이 탑은 1930년 일제강점기 중앙선 철로를 놓으며 심각한 손상을 입었으며 1914년 보수 시 기단의 윗면에 시멘트를 발라 하단부는 흉칙한 몰골이 되어 버렸다. 주소: 경북 안동시 법흥동 8-1번지 2022. 10. 12. 농월정(弄月亭)경남.함양 경남 함양군 안의면에서 전북 장수 방향 26번 국도 약 4km 지점 국민관광지라 부르는 곳 계곡 건너편에 위치한 농월정은 화림계곡 상류로부터 거연정. 군자정. 동호정에 이어 비교적 하류쪽에 위치하고 있다. 농월정은 이곳 안의면 성북마을 출신 지족당 박명부(知足堂 朴明榑) 1571~1639가 조정에서 부당함을 주장하다 파직되어 고향인 이곳에 돌아와 1637년 농월정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였다고 한다. 인조반정 후에는 예조참판과 강릉 도호부사를 역임한 바 있다. 농월정 건물은 1899년 다시 건립하였는데 2003년 화재로 소실되며 현 건물은 2016년 복원된 건물이다. 농월정이란 달을 희롱하며 노는 정자로 선조들의 풍류 사상이 깃든 곳으로 정자 앞 너럭바위는 월연 암이라 부른다. 농월정을 가려면 국민관광지 주.. 2022. 10. 6. 동호정(東湖亭)경남.함양 경남 함양 화림동 계곡에서 가장 크고 화려 하다는 동호정은 함양 안의면에서 26번 국도 전주 방향 7km 지점 남강천 담소 중 하나인 옥녀담에 위치. 이 정자는 선조 임금을 등에 업고 의주로 피난(의주몽진)을 했다는 장 만리 선생을 기리기 위해 가선대부 오위장을 지낸 9대손 장재헌을 중심으로 1895년에 건립한 정자라고 한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 단동 중층 누각 건물에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정자 천장의 그림에 물고기를 입에 물고 있는 용의 조각이 있는데 보통 여의주를 물고 있는데 이곳의 그림의 의미가 궁금하다. 정각 앞 냇가에는 노래 부르는 장소라 칭하는 영가대. 악기를 연주하는 곳이라 하는 금적암. 술을 마시며 즐기는 장소인 차일암이란 넓은 바위가 일품이다. * 동호정은 문화재 자료 381호 .. 2022. 10. 4. 거연정(居然亭)경남.함양 화림 동천 계곡 화림동은 경남 안의에서 전북 장수 방향 26번 국도를 따라 육십령 올라가는 계곡에 암반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 자연 친화적인 누각의 건축물을 볼 수 있다.거연정은 중추부사를 지낸 전시서(全時敍)가 지은 정자로 거연(居然)은 물과 돌이 어울린 자연에 편안하게 사는 사람이 된다는 뜻. 이곳은 빼어난 경관으로 2012년에 명승 86호로 지정되고 건물은 경남 유형문화재 433호로 지정되었다. 영남의 명승중 안의삼동이 가장 빼어나다 하는데 그중에서도 이곳 화림동 계곡이 가장 으뜸이라 한다. 거연정 건물은 중층 정각으로 1칸의 판방을 갖춘 유실형(有室形) 정자임이 특이하다. 화림교(花林橋)라는 홍교(虹橋.무지개다리) 를 건너야만 볼 수 있다. * 동천(洞天)-산천으로 둘러 쌓인 경치 좋은 곳 *.. 2022. 9. 28. 군자정(君子亭)경남.함양 26번 국도변 경남 함양 화림계곡변에 위치한 군자정은 정선 전 씨 입향조 화림재 전시서 공의 5대손 전 세걸. 세택이 일두 정 여창을 기념하기 위해 1802년 정자를 짓고 군자가 머무르던 곳이라 하여 군자정으로 이름 지었다고 한다. 이곳은 정 여창 선생 처가 마을이며 이 건물은 홑처마에 팔작지붕으로 단청은 하지 않았고 기둥은 모두 원주를 사용한 천연 암반위에 단동 중층 누각 건물이다. * 2005년 10월 13일 문화재 자료 380호 지정 * 주소: 경남 함양군 서하면 봉천리 2022. 9. 27. 금원산의 폭포(경남.거창)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와 북삼면 그리고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에 걸쳐있는 금원산(1353m)은 남덕유산(1507m )과 이어진 산으로 1993년도 개장한 금원산 자연휴양림이 자리 잡고 있다. 이곳 휴양림 입구와 휴양림 안에는 3개의 폭포가 상류로부터 유안청 1 폭포. 유안청 2 폭포. 아래쪽에 미폭 폭포가 위치하고 있다. 2022.8.18 2022. 9. 6. 지리산 불일폭포(경남.하동) 지리산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고 알려져 있는 불일폭포는 쌍계사 사찰 입구에서 약 3km 거리로 지리산 해발 720m에 위치한 폭포로 폭포 바로 옆에는 불일암자가 위치하고 있다. 안내판에는 높이가 60m 폭이 3m로 상하 2단 폭포라 소개되어 있다. 찾은 날에는 수량(水量)이 그리 많지 않아 웅장함은 느낄 수 없었지만 자연의 깊은 신비스러움은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2022. 6. 27. 화개장터(경남.하동) 해방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5대 시장 중 하나였다는 화개장터를 찾았다. 경상남도와 전라남도가 맞닿은 곳에 있는 화개장. 이곳은 지리산에서 흘러 내려온 맑은 물과 섬진강이 만나는 지점이다. 7년 전에 왔을 때는 황량한 화개장터였건만 참 많이도 달라졌다. 가수 조영남의 노래 화개장터로 되살아났다고도 하건만 이곳은 또한 작가 김 동리의 소설 "역마"의 무대 이기도 하다. 이른 아침부터 많은 사람이 붐비는 화개장 곳곳을 기웃 거려 본다. 주소: 경남 하동군 화개면 쌍계로 15 2022.6.6 화개장터에 세워놓은 표지석과 시비 새로 단장한 화개장 모습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이어주는 섬진강 다리 섬진강 다리에서 바라본 화개장이 위치한 마을 모습 화개장 호떡은 엄청 크다 한 개 2,000원 별미 15,000원짜리 2022. 6. 10. 한국의 화폐(영양산촌박물관) 2022. 4. 24. 영양 산촌박물관 (경북.영양) 2022. 4. 24. 영양산촌박물관.야외(경북.영양) 지역의 독특한 산촌 문화를 조사. 연구. 전시. 교육함으로써 보존 및 전승하기 위해서 건립 되었다는 경북 영양 산촌생활박물관은 경북 영양군 입암면에 위치 하고 있으며 실내전시장과 야외전시장으로 나뉘어 있어 야외전시장에는 서낭당. 투방집. 굴피집 등 전통생활 체험장을 둘러보았다. 주소: 경북 영양군 입암면 영양로 963 2022. 4. 12. 이전 1 2 3 4 5 6 7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