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지리농원 주변문화는.57 세종대왕 왕자태실 태실의 위치는 성주군 월항면 인촌리 산 8 번지에 있으며 1975년 12월 30일자로 지방 유형문화제 제88호로지정되었다가 2003년도 3월 6일자로 국가지정 제444호로 승격 지정 되었슴 세종20년(1438년)에서 세종24년까지 세종의 적서(嫡庶) 18왕자와 왕손 단종(端宗)등 20 여기의태실이 안치 되었는데 세조(世祖)가 단종의 왕위찬탈이 있은뒤인1457 년(세조3년) 단종 복위에 연류된 금성대군등 다수의 태석(胎石)과 태비(胎는 산아래로 파헤쳐 굴러지고 13기만 남았다. 1975년 보수때 일부태석은 산아래에서 찿아 복원했고 세조의 태석을 알리는 예조판서 홍윤성(洪允成)이 쓴 비문(碑文)은 세조의 잘못을 미워하는 백성이 비석의 글을 매끈하게 깍아 알아볼수 없다.그곳에서 출토된 분청인화문(粉靑印花紋) .. 2010. 12. 15. 백세각(白世閣) 경북 성주군 초전면 고산리 542번지에 있는 백세각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제 제163호로 지정된 곳으로 1919년 3 .1 운동 당시 송준필을 위시한 그 문인들이 성주 장날이 서는날에 배포할 태극기를 제작.보관했던 곳으로 유명한 곳이다. 성주의 유학자들은 3.1운동 .제1.2차 유림단 사건 등에 항일 운동에 적극 가담하여 주도적인 역활을 한 사람이 공산(恭山) 송준필(宋浚弼)과 심산(心山) 김창숙(金昌淑)으로서 1919년 3월1일 성주에서도 만세운동이 3월27일 선남을 시작으로 가천면 동원리를 거쳐 4월2일 성주 장날에는 대대적인 만세 시위가 벌어 졌는데 공산은 "사생은 천명이다. 나라가 회복되면 죽더라도 사는것이요. 나라가 회복되지 않으면 살더라도 죽은 것이다" 라고 선언한후 독립운동에 뛰어 들었으며 만세.. 2010. 12. 15. 백운정(白雲亭) 원래 백운정이 있던곳은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사치(舍致) 대가천 냇가 절벽위에 있었는데 성주호가 담수되면서 윗쪽으로 옮겨 다시 복원 현재의 자리에 있게 되었다. 30번 국도 도로변에 접하고 있으며 절벽의 아름다움과 흐르던 물소리 대신 지금은 담수된 성주호수를 볼수있다. 이 백운정은 운봉 현광호(雲峯 玄光昊)와 그제자들이 수계(修契)하여 1937년 백운정을 짓고 매년 봄 가을로 모여 도의를 닦던 곳이다. 참고문헌:성주대관 2010. 12. 14. 백농 최규동(崔奎東)선생 생가 경북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소재지에 있는 서울 종합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 했던 최규동 선생 생가 입니다. 관리인 한분이 거주하고 계시는데 위치는 면 소재지 농협 하나로마트 옆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2010. 12. 14. 백농 최규동(崔奎東)선생 묘원 서울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 했던 백농 최규동 선생의 묘는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선생의 고향 광봉산 에 안치되어 있는데 위치는 가천면 소재지에서 북동쪽 대가천 개울 건너편 광봉산으로 일명 지역에서는 개곡이라 칭하고 있다. 묘원 진입로 묘원 표지석 백농 최규동 선생 묘 2010. 12. 13. 백농 최규동(崔奎東)선생 신도비 민족 계몽의 선구자 최규동 선생은 호는 백농이고 본관은 영천이며 1882년(고종19년)에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에서 태어나 서울 광신 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신학문을 배웠으며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는해 평양의 대성학교를 세우고 안창호.조정환과 함계 교편생활 1909년 휘문.기호.융희.중앙.오성.기명 학교 등에서 후세교육 전념. 1918년 5월 중동학교 설립 교장 취임 1919년 2월 우리나라 최초의 중등학교 수학신교과서를 지어 수리교육의 새로운 기원 마련 세계적인 육서심원 편찬 1945년 미군정 학무국 자문기관 한국교육위원회 조직 일반교육분야 대표위원. 1947년 조선교육연합회 초대회장. 1949년1월 국립 초대 서울대학교 총장취임 조선 전기공업중학교 설립 향교재산위원.국회선거위원.법전편찬위원.역임.. 2010. 12. 13. 청천서당(晴川書堂) 독립운동과 반독재 선봉에 평생을 바친 심산 김창숙(心山 金昌淑) 선생은 1879년(고종16년) 7월10일.성주군 대가면 칠봉동에서 김호림(金護林)의 장남으로 태어 났으며 자는 문좌(文佐) 호는 심산(心山) 또는 벽옹 이라 "벽"은 앉은뱅이 벽자로 일제의 고문에의해 불구의 몸이되어 이런호를 붙였다고하 며 본관은 의성(義城) 선조때 명신 동강 김우옹(東岡 金宇옹) 선생의 13대 종손으로 1903년 (광무7년)성명학교를 세우고 1905년 (광무9년)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자 매국오적청참소(賣國五賊請斬疏)와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를 성토한 죄로 옥고 1919년 3월 전국유림대표 137명이 서명한 "한국독립청원장서"(韓國獨立請願長書)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만국평화회의에 우송 1919년 4월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으.. 2010. 12. 12. 회연서원(檜淵書院) 경북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新亭里) 양정(羊亭) 마을 258번지에 세워진 회연서원은 1583년 한강의 문도들이 세운 회연초당(檜淵草堂)자리에 1627년(인조5년) 한강 정구(寒剛 鄭逑)를 주향(主享)으로 세운 서원으로 1690년(숙종16년) 에 사액(賜額)되었다 이서원에는 지경재(持敬齋),명의재(明義齋),양현청(養賢廳)등 건물의 현판(懸板)은 한 석봉(韓 石峰)이 쓴 것인데 양현청은 1868년(고종5년) 서원 철페때 없어졌다. 서원 곁에 1670년(현종11년)에 세운 향연사(鄕賢祠)에는 신연 송사이(新淵 宋師이),용재 이홍기(容齋 李弘器), 육일헌 이홍량(六一軒 李弘量),모재 이홍우(茅齋 李弘宇), 동호 이 서(東湖 李서) 를 향사(享祀)했으나 서원 철폐때 향연사 도 철폐 되었다. 서원 앞뜰 백매원(百梅.. 2010. 12. 12. 독용산성(성주팔경) 독용산성 은"조선왕조실록" 독용산성 개축에대한 기록과 1992년도에 실시된 대구박물관 지표조사에 의하면 정확한 축조연대는 알수없지만 1500년전 5세기쯤 성산가야국이 축조한것으로 추정 산성둘레는 7.7km 평균높이 2.5m 평균폭넓이 1.5m로 영남지방에 구축한 산성중 규모가 가장 크다고함. 행정구역으로는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에 속해있으며 금수면 봉두리와 무학리.영천리에 걸쳐 전형적인 포곡식(包谷式)산성으로 이루어져 있음 *매일신문(2008년 4월14일 18면참고) 찿아오시는길 1)중부내륙고속도로 이용시 성주I.C (고령.합천방향 33번국도) - 9.7 km -(고령. 가천 갈림길 삼거리에서59번국도) - 1.7 km - (가천면 소재지 파티마의원 앞 삼거리에서 왼쪽 903번도로)- 0.3 km - (.. 2010. 12. 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