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 자연과문화를 찿아(국외)

피사의 사탑.피사대성당(이탈리아)

by 애지리 2024. 11. 15.

2024.10.27

당초 일정에는 없었던 피사의 사탑(斜塔) Leaning Tower of pisa을 관람하기로 하였다.

각종 교과서에 실려 유명세를 떨치고 있어 모든 사람이 한번쯤은 

가보고 싶어 하는 곳이 아닐까?

기울어진 건축물이란 즉 정상이 아닌 비정상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의 관심을 가져다준

참 재미있는 건축물이다. 

단순히 기울어진 종탑을 보기 위하여 간다고 이곳을 찾았건만 의외로 많은 역사와

문화를 간직하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곳이다.

피사(pisa)의 위치는 이탈리아 동부 토스카나 (州. state) 피사 현(縣)으로 피렌체에서

서쪽으로 약 70km 거리에 아르노강 하구 부근으로 피렌체에서 기차로는 1시간 20분이 소요되는

지점이다. 피사의 넓이는 2448㎢ 에 인구는 38만 5천 명 정도 규모의 도시다.

지도상으로는 피렌체와 제노바 중간 정도쯤.

망가져서 유명해진 건축물을 시작으로 피사대성당(Duomo di pisa)과 세례당 성당.

1987년도에 세계문화유산에 지정된 캄포산토(Camposanto)와 광장 남쪽 방향에 위치한

누오보 디 산토 스피리토(Dspedale Nuovo di santo spirito)  그리고 넓은

녹색의 평원 캄포데이 미라콜리(Campo dei Miracoli)를 주어진 시간에 이리저리

외부만이라도 바쁘게 다니며 카메라에 담아 본다.

피사 대성당과 피사의 사탑(대성당 종루)

대형차는 근처에 진입이 어려워 주차장에서 도보로 걸어 이동하여 

"코코 그리피"가 1156년에 건립했다는 성벽을 따라 피사의 대성당 입구로 향하고 잇다.

성벽 입구 이곳을 통과하면 바로 피사의 사탑이 보인다.

피사 대성당(Duomo di pisa)

* 산타마리아 델피오레 대성당으로도 불리는 피사 대성당은 

  피사에 있는 토스카나 풍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팔레르모 해전의 승리를 기념하여 

  부다케스트(Buschetus)가 설계하여 1063년에 착공하여 1118년에 헌당을 하였다고 한다.

  12세기말 서측 부분을 연장하며 라이날 두 스(Raynaldus)가 돔(Dome)을 설치하여 13세기

  파사드가 완성되었으며

  바로 이 성당 안에서 피사 출신 갈릴레이는 성당의 움직이는 램프를 보고 추의 등시성을 직관하여

  대성당 내의 설교단 앞에는 진자의 원리를 발견한 계기를 기념하여 갈릴레이의 램프가

  놓여 있다고 한다.

  대성당 건물의 길이가 약 100 m 정도로 정면의 4단 기둥과 청동문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피사대성당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다.

주소: Piazza del Duomo 5610 pisa

* 팔레르모 해전 - 피사 공화국이 1063년 팔레르모 해전(saccheggio di palermo)에서

  사라센을 물리치고 지중해를 장악 이때 획득한 전리품으로 피사 대성당을 건립.

* 팔레르모(palermo) - 이탈리아 시칠리아주 시칠리아 북서쪽 해안에 위치하며 

  면적은 158.9㎢ 인구는 67만 6천 명(2013년 기준) 시칠리아의 행정 수도

*파사드(facade) - 건축물의 주된 출입구가 있는 정면부로 건물 전체의 인상을 단적으로 나타냄.

*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 - 이탈리아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로 토스카나 지방 피사에서 출생하여 주요 업적으로는 태양중심설과

  지동설을 증명하였으며 고전역학 망원경도 발명한 최초의 위대한 과학자로 칭한다.

본명은 갈릴레오 디 빈첸초 모나아우티 데 갈릴레이(Galileo di Vincenzo Bonaiuti de Galilei)

누오보 디 산토 스피리토 (ospedale Nuovo di santo spirito)

* 광장의 남쪽 지역에 위치하며 새로운 성령 병원이란 뜻으로 1257년 지오반니 디 시몬이

  기존의 작은 병원 위에 지은 이 병원의 기능은 피난처를 제공함으로써

  순례자 가난한 사람. 아픈 사람. 버려진 아이들을 돕는 일을 하였던 곳으로 

  1976년부터 건물 중앙부에 시노파이스 박물관이 있으며 캄포산토 프레스코 벽화의

  원본 그림이 이곳에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피사의 사탑(斜塔) Leaning Tower of pisq

* 망가져서 유명해진 건축물 피사의 사탑을 보기 위해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피사광장을 찾는다.

  이곳은 이탈리아 토스카나주 피사시에 위치하며 피사 대성당의 종탑으로 칠성사를

상징하는 7개의 종이 걸려 있고 가장 오래된 종은 1262년에 제작을 하였다고 한다.

1173년도에 기공을 하여 1372년에 완공. 규모는 지름이 15m에 무게가 14,453톤으로

높이와 기운 각도는 자료마다 각기 달라서 높이는 55m ~ 58m. 기울어진 각도는 3.97도~5.5도로

표기되어 있는데 2001년 보수공사 후 1993년도에 기운 각도가 4.5도에서 지금은 3.97도에

높이는 57m라는 최근 자료를 참조해 본다.

11년간 보수 공사를 실시하여 2001년 12월 15일부터 관광객 출입이 허용되며 

입장료 15유로(한화 17,000)에 하루에 30명만 제한적 입장이 가능하여 외부에서만

바라볼 수밖에 이 피사의 사탑에서 갈릴레이가 물체가 무게와 상관없이 같은 속도로

낙하하는 실험을 하여 낙제 법칙을 증명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지는데 이 부분도 논란이

된다고 한다. 이 실험은 1586년 네덜란드 수학자. 물리학자. 시몬 스데번(simon stevin) 이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두산백과)라고도 하며 또 다른 자료에는 갈릴레이의 전기

작가이자 신봉자인 비비아니(Viviani)가 지어낸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산 조반니 세례성당(Battistero di san Giovanni)

* 피사대성당 뒤편에 있는 세례성당은 높이 54.86m에 지름이 34.13m의 원형 건물로

  세례당으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세례당이라 한다.

  종루와 동일한 높이로 1152년~14세기말 원추. 반구형 이중 돔으로 건립되어

  세례당 내 설교단은 대성당 내의 설교단과 함께 고딕 조각의 대표작으로 알려져 있다.

  세례당도 대성당 방향으로 0.6도 기울어 있다고 하며 세례당 안 육각형의 설교단은

  6개의 기둥으로 3개의 기둥 기단에는 사자상이 조각되어 있으며 중앙의 기둥 기단에는

  3명의 텔라몬(Telamon) 로마의 시조 아이네이스의 아버지가 조각되어 있다.

  각 면에는 수태고지. 그리스도의 탄생. 양치기들의 경배. 동방박사 경배. 성전봉헌.

  십자가형. 최후의 심판 조각이 되어 있다.

세례당 설교대 (blog.never.com/choindy/223563915588 자료)) 

피사 대성당과 피사의 사탑

피사 대성당 정면 (Duomo di pisa) 

 

파사드 네 모서리 조각상은 조반나 피사노가 작으로 4명의 복음사가 조각 하였다고 한다.

대성당 파사드 꼭대기 성 모자상(안드레아 피사노작(Andrea pisanoca 1290~1348)

* 피사 대성당은 정면의 4단 기둥과 청동문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설교단 앞에는 갈릴레이가 진자의 원리를 발견한 계기가 된  램프가 놓여 있고

제대 오른쪽 기둥 위에는 전설에 따르면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그리스도가 물을 

와인으로 바꿀 때 사용 하였던 항아리라 알려진 로마시대 항아리(Amphora) 도 볼 수 있다.

피사 대성당 정면 세 개의 청동문 위에는 18세기에 만든 모자이크로 중앙문 

이에는 성모마리아 승천이며 왼쪽은 성레파라타(Santa Reparata) 고 오른쪽은 

세례요한이라고 한다.

청동문에는 신약성경 장면 24장의 패널을 조각해 놓았다.

설교단

청동문

로마 항아리

갈릴레이 램프

위에서 내려다본 피사대성당

* 세례자 성당 오른쪽 창문이 없는 건물은 회랑식의 묘지 캄포산토(Camposanto)로

  캄포산토란 이름은 1203년 골고다 언덕의 흙을 여기에 운반했다는 전설에 의거 유래

  되었다고 한다 (종교학대사전 참고) 

캄포산토란 성역. 공동묘지를 뜻하며 고대 로마 중세의 석관(Saccotaghi) 들과

피사 출신 위인들의 기념비가 보관되어 있다고 한다

1987년도에는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으며 건물은 조반니피사노가  설계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