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 병악로 166(상창리271)에 위치하며
카멜리아 힐은 30년 열정과 사랑으로 제주의 자연을 담은 동양에서 가장 큰
동백수목원이라 그럽니다.
6만여 평의 부지에는 가을 부터 봄까지 시기를 달리해서 피는 80개국의 동백나무
500 여품종 6000 여 그루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또 향기가나는 동백8종 중
6종을 보유 하고 있고 제주자생식물 250 여종을 비롯해 모양과 색깔 향기가 다른
다양한 꽃이 동백과 어울어져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해 주는 곳 입니다.
와룡연지
유럽동백숲
유리온실
온실속 동백꽃
보순연지
구실잣밤나무
남해안에서부터 제주도에 이르는 난대림에서는 늘푸른 구실잣밤나무를 흔히 만날 수 있다. 참나무과라는 큰 집안에서 잣밤나무속이라는 일가를 이루어 독립한 제법 뼈대 있는 족보가 눈에 띈다. 속(屬)이라고 해봐야 구실잣밤나무와 모밀잣밤나무라는 달랑 두 식구인데, 이 둘은 너무 비슷하게 생겨서 전문가도 헷갈리는 난형난제다.
구실잣밤나무는 후박나무와 함께 난대 상록수 숲에서 활동력이 왕성한 터줏대감이다. 다 자라면 키 15~20미터, 지름이 1미터에 이르는 큰 나무가 된다. 나무껍질은 오래되면 세로로 길게 홈이 생기지만 갈라짐이 고와 편안한 느낌을 준다. 손가락 길이의 도톰하고 좁은 잎은 늘푸른 넓은잎나무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며, 잎 뒷면에 연한 갈색의 짧은 털(鱗毛)이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때문에 짙은 금빛이 나므로 구실잣밤나무는 비교적 쉽게 찾아낼 수 있다. 때로는 흰빛을 띨 때도 있다.
구실잣밤나무의 한창 때는 5월 말쯤 꽃이 피는 시기다. 암수 꽃이 같은 나무에 피면서 꽃대가 모두 길게 늘어지며, 수꽃이 훨씬 더 길다. 연노랑의 수꽃은 나무를 뒤덮다시피 잔뜩 피어 멀리서도 금방 찾아낼 수 있다. 조금은 칙칙한 봄날의 상록수 숲을 화사하게 밝혀서 늦둥이들의 잠을 깨워주는 봄의 전령사다. 꽃은 강한 향기가 있는데, 아직 다른 꽃이 충분히 피지 않은 계절이라 벌과 나비의 천국이 된다. 대체로 참나무과는 원시적인 형질이 조금 남아 있는 식물들로서 풍매화가 많은데, 구실잣밤나무는 특별히 충매화로 진화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대부분의 열매가 같은 해 가을에 익는 것과 달리 구실잣밤나무는 해를 넘겨 다음해 가을에 익는다. 새끼손가락 첫 마디만 한 갸름한 열매는 껍질이 우툴두툴하고 끝이 셋으로 갈라진다. 열매껍질 안에는 도토리같이 생긴 길쭉한 씨앗이 들어 있다. 껍질을 벗겨내면 씨앗이 나오는데, 날로 먹어도 밤처럼 고소한 맛이 난다. 옛날 제주도에서는 열매를 주워 모아 저장해두었다가 흉년에 대비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與地勝覽)》각주[1] 이나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의 옛 문헌에는 가시율(可是栗, 加時栗)이란 이름이 나온다. 앞뒤 설명으로 보아 지금의 구실잣밤나무나 모밀잣밤나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적율(赤栗)이란 이름도 같이 쓰였는데, 아마도 밤나무의 한 종류로 생각한 것 같다. 오늘날 우리가 부르는 구실잣밤나무란 이름은 ‘가시밤나무’가 변형된 것이 아닌가 짐작해본다.
구실잣밤나무 이야기에는 모밀잣밤나무가 항상 따라 다닌다. 식물학적으로는 구실잣밤나무가 원종(原種)이고 모밀잣밤나무는 변종으로 취급하였으나, 최근에는 둘 다 별개의 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이러한 구분은 학문적인 이야기이고, 실제로 이 두 나무의 차이점을 찾아내기는 쉽지 않다.
구실잣밤나무는 도토리가 크고 달걀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가지가 굵고 줄기 껍질도 일찍 갈라지며 더 오래 산다고 한다. 반면에 모밀잣밤나무는 도토리가 작고 짧은 타원형이며, 가지가 좀 가늘고 껍질이 늦게 갈라지며, 병충해에도 약하여 대체로 100년을 넘기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최근의 자료에는 구실잣밤나무의 표피세포는 2층, 모밀잣밤나무는 1층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것도 명확한 기준이 못 된다. 더욱이 이들은 서로 교배까지 이루어지다 보니 혼혈종이 생기기도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난대림과 일본에 걸쳐 자라는 것은 대부분 구실잣밤나무이며, 모밀잣밤나무는 매우 드물다. 기록상으로 모밀잣밤나무가 가장 많이 자라는 숲은 통영 욕지도의 천연기념물 343호로 지정된 모밀잣밤나무 숲이다. 그러나 1984년에 지정된 이후, 한 번도 제대로 조사한 적이 없어 신빙성은 떨어진다.
옥편을 찾아보면 구실잣밤나무와 모밀잣밤나무를 합쳐서 ‘모밀잣밤나무 가(柯)’라고 했다. 그러나 잣밤나무 종류의 대표로 표기하려면 ‘구실잣밤나무 가’가 올바르다.(백과사전에서)
와룡연지
제주전통초가
잔디욕장
용소폭포
만남의광장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설록티뮤지엄(OSULLOC TEA MUSEUM) (0) | 2016.02.07 |
---|---|
산방연대(제주.서귀포.안덕) (0) | 2016.02.07 |
금오름(금악.검은오름)제주. (0) | 2016.02.06 |
하멜상선전시관 (0) | 2016.02.05 |
용머리 해안(제주.서귀포.안덕) (0) | 201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