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성주애지리문화농원2410 소낙비가 와도 쇠파리는 고사리 밭에 풀과의 전쟁은 계속 이어 진다.고사리밭의 잡초 제거는 제초제도 .멀칭도. 예초기도 다 사용 할 수가 없다.오직 뽑는수 밖에 방법이 없다. 새벽부터 제초 작업을 하다보면 어김없이 나타나는 쇠파리는 주위를 선회하며 비행음은 공포 이상의 위협감을 주며조금 이라도 동작이 정지되면 송곳으로 찌르는 정도로 아프게 문다.소낙비가 쏟아져도 쇠파리의 비행은 멈추지를 않는다. 도대체 쇠파리의 날개는 방수 처리나 코팅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궁금 하다어학 사전에 쇠파리의 날개는 가늘게 세로로 주름이 많고 다리는 비교적 연약한 편이라 되어 있다.주위를 맴돌던 쇠파리 한 마리를 나뭇 가지를 꺽어 때렸더니 섣불리 맞고 땅에 떨어져 정신은 잃었지만 생명에는 지장이 없어 가까이서 촬영을 해봤다. * 쇠파리가 사람을 공격 할.. 2024. 7. 11. 제주 한림공원(분재원.민속촌) * 분재와 돌을 소재로 하여 구성된 테마 공원으로 다양한 분재작품과 희귀한 자연석을함께 감상할 수 있는 즐거움이 있는 곳이다.분재 수령이 10년에서부터 많게는 300년에 이르며 남미 아마존 강에서 채취한대형 기암괴석 등이 분재작품들과 어우러져 멋을 연출하는 곳이다.* 재암 민속 마을은 현대문명의 발전과 함께 점점 사라져가는 제주 전통초가의 보존을위해서 제주도 중산간 지역에 있던 실제 초가를 원형 그대로 이설 복원하고 옛 제주인들이사용하던 민구류를 함께 전시함으로써 제주의 옛 모습을 재현해 내고 있다. 2024. 6. 26. 제주 한림공원 (재암수석관) 화산섬인 제주도는 화산 폭발 시 형성된 다양한 형상의 화산탄. 현무암과 각종용암석 등 진귀한 돌이 많은데 이곳 재암수석관에는 제주도 특유의 수석들을 비롯해서 국내외의 다양한 수석과 화산석 .광물.화석 등을 전시하고 있다. 2024. 6. 25. 봉정사(鳳停寺) 경북.안동 2024.6.16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극락전이 있고1999년에는 영국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다녀간 사찰.근래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으로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가 되며 역사적. 문화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사찰인 안동의 봉정사를 오랜만에 지역 향토사연구회 회원들과 찾았다.1352년 전 672년에 능인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전해지고 있으며 능인대사가 접은 봉황을 날려머무른 자리에 터를 잡고 봉황 봉(鳳) 자에 머무를 정(停) 자를 따서 봉정사라 하였다고 한다.주소: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봉정사 일주문 일주문 天燈山鳳停寺(천등산 봉정사) 현판일주문 들어가기 전 바닥에 설치한 동판 유네스코 세계유산등재 기념판일주문을 지나면 봉정사 .. 2024. 6. 23. 금성대군신단(錦城大君神壇) 경북.영주 조선시대 4대 임금 세종(1397~1422)과 소헌왕후(昭憲王后) 심 씨의 6남인 금성대군(1426(세종 8)~ 1457(세조 3)이 1455년(단종 3) 모반 혐의로 삭녕에 유배되어광주로 옮겨 졌다가 1456년(세조 2)에 사육신과 단종 복위운동을 하다 실패하고 연루되어경상도 순흥으로 유배가되며 이곳에서 단종 복위를 계획하던 중 거사 전에 관노의 고발로 반역죄로 처형을 당한 곳이 이곳 금성대군신단이 있는 곳으로 그의 혈흔이 묻은 돌을 발견하여단을 쌓고 제사를 지내게 되었다고 한다.금성대군은 이름은 이유(李瑜). 시호는 정민(貞愍). 호는 승은정(承恩亭)으로단종의 숙부가 되며 문종과 세조의 친동생이 된다. 1433년(세종15)에 금성대군에 봉해졌으며 1437년에 태조의 여덟째 아들인 방석(芳碩. 의안대.. 2024. 6. 22. 한림공원 (제주.한림) 2박 3일간의 제주해안 일주 여행 중 마지막 코스 한림공원을 찾았다.아주 오랜만에 찾은 한림 공원은 참 많이도 변했다.한림공원을 야자수 씨앗으로 탄생한 녹색의 낙원으로 부른다.작년 (2023)에 작고한 창업인 송봉규(1930~2023) 선생이 50여 년간 조성한 공원으로15km의 거리에서 2천 트럭의 흙을 운반 개토하여 지금의 한림공원을 탄생시켰다고 하며 장쩌민 중국 전 국가 주석과 나까소네 전 일본 수상도 방문한 곳이다.크게 9개 테마로 이루어져 있다.1) 야자수 길. 2) 제주석분재원. 3) 재암 민속마을. 4) 쌍용굴 5) 협재굴5) 아열대 식물원. 6) 사파리조류원. 8) 연못정원 9) 산야초원주소: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한림로 300 (협재리 2487) 야자수 길성모상* 야자수 길을 들어서면 끝.. 2024. 6. 22. 봉선화 잎에 이런 애벌레가 2024. 6. 4. 들깨모종 속잎이 나오다. 2024.5.205월 8일 파종한 들깨가 12일 만에 속잎이 나왔다.작년 까지는 별다른 생각을 갖지 않고 노지에 씨를 뿌려 크기가 적당하면 본밭에 정식을 해 왔었는데 올해는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육묘를 관리를 해 본다. 2024. 5. 22. 수월봉(水月峰) 제주.한경 제주도 해안을 따라 한 바퀴 돌아보는 2박 3일 여행 중 마지막 날 세계 지질학 교과서에 실려 있다는 제주 서쪽 끝. 모슬포 북서쪽에 위치한 수월봉을 향해 렌드카 차량이 제주에서 가장 넓은 들판이라는 한경면 고산리 들판을 가로질러가본다 이곳을 넓은 들의 의미로 한 장 밭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들판 끝 해안가 봉우리가 바로 수월봉 이다.제주에는 2010년도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지정이 되며 12곳의 핵심 장소가 있다.이곳 수월봉은 그중에 하나로 2009년 12월 11일 자로 천연기념물 513호로 지정이 되었다.260만 년 전에 형성되었다는 수월봉은 화산쇄설층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어제 (2024.4.17) 수월봉 해안 일부가 붕괴되어 해안가는 탐방을 아쉽게도 하지 못하였다.* 세계지질공원 지정 12곳 .. 2024. 5. 22. 송악산(松岳山) 제주.서귀포 제주도에 갈 때마다 꼭 들렸던 송악산 이건만 송악산 절벽길만 걸어보고정상은 한번도 올라보지 못해 올라 본다. 이곳은 오르는 길 내려오는 길이일방통행이다. 특이하게 이중 분화구로 형성된 송악산은 99개의 작은 봉우리가 모여있는 산이라고 하는데 높이는 104 m 둘레는 3,115 m 면적은 585,982 ㎡(177,258 평)송악산을 절울이 오름. 저 별이 오름. 솔 오름 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절은 파도의 제주도 방언이고 울은 울다는 제주어이며송악산 정상 분화구를 암메창. 가메창이라 부르며 이중 분화구 중 1분 화구의 규모는 둘레가 500m에 깊이가 80m이며 2분 화구는둘레가 400m에 깊이는 69m에 달한다.이곳은 제주 올레길 10코스 구간으로 송악산 둘레길은 2.8km 라 하는데 아직 2.8km .. 2024. 5. 15. 용머리해안 (제주.서귀포)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사계리에 위치하고 있는 산방산 아래에는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암석으로 알려진 용머리해안은 날씨가 허락해야만 탐방이 가능한 곳이다.여러 번 왔다가 한 번도 탐방의 행운이 주어지지 않은 사람도 간혹 있다고 한다.용머리 해안은 지질학 적으로 해안 대부분이 현무암질 응회암(凝灰巖)으로 수성화산체의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180만 년 전 수중 폭발로 형성된 곳이라고 한다.해안 길이는 약 600m 정도로 높이는 20m 탐방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30분.한국의 그랜드캐년 이라고도 불리어지는 용머리 해안은 2011년 1월 13일 자로 천연기념물 526호로 지정되었다.용머리 해안이란 이름은 해안을 끼고 있는 모습이 바닷속으로 들어가는용의 머리를 닮았다고 용머리 해안이라 부른다고 한다.주소: 제주.. 2024. 5. 15. 들깨 파종 올해는 육묘판에 들깨 모종을 키워 보기로 하였다.육묘장에서 105 구용 육묘판을 권유하여 100 개를 구입하여 80개 판에파종을 하면 8,400 포기가 되는 셈이다.옛 어른들께서 뻐꾹새가 울면 들깨 파종을 하면 된다고 했는데 올해는들깨 파종을 하고나니 이튿날 뻐꾹새가 울어댄다. 참 묘한 기분이다.옛 어른의 지혜와 경험이 곧 기준이 되는 지식이 아닐까? 2024. 5. 10. 이전 1 ··· 5 6 7 8 9 10 11 ··· 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