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성주애지리문화농원2410 남한산성 성지(경기.광주) 2024.7.27남한산성성지 이곳은 신해박해(1791년). 신유박해(1801년). 기해박해(1839년)병인박해(1866년)까지 약 300 명 정도가 참수형. 교수형. 장살형 등으로 순교를 한 곳으로병인박해 때에는 백지사 형벌이 시행 되기도 하였다.구산성지의 아홉명의 순교자도 이곳에서 문초를 받고 순교를 하였고이천 단내에 거주 하였던 정은(바오로)과 재종손인 정베드로는 1866년 12월 8일백지사형으로 순교하였다.한 덕운(토마스)은 광주 의일리(현 의왕시 학의동)에 살다가남한산성 옛길이 지나는 곳을 처형터로 이용되었으며 참수당하기 전 망나니에게 "내 머리를 한 칼에 베어주시오"라고 말했다는일화가 전해진다.남한산성은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 때 쌓은 주장성의 옛 터를 활용하여 16.. 2024. 8. 12. 마재 성가정성지(경기.남양주) 2024.7.27마재성가정 성지는 복자 정약종(아우구스티노 1760~1801) 부인 성녀 류선임(체칠리아 1761~1839)아들 성인 정하상(바오로 1795~1839) 아들 복자 정철상(가롤로 ~1801) 딸 성녀 정정혜(엘리사벳 1797~1839) 가족을 기념하여 봉헌된 성지로이곳 마재는 정약현. 정약전. 정약종(아우구스티노). 정약용(요한). 정약황. 5형제와누이 3명의 고향 이기도 하며 한국 천주교의 요람지의 하나라 할 수 있다.정약전은 1779년 권철신(암부로시오) 이 주도하는 천진암. 주어사 강학회에 참석하여이벽(세례자요한)으로부터 천주교 교리를 습득은 했지만 세례는 받지 못하였다.정약종은 1786년 세례를 받고 주문모 신부로부터 명도회 회장으로 임명되며1800년 처 류체칠리아. 아들 정.. 2024. 8. 9. 양지리 향나무(천연기념물232호)경기.남양주 2024.7.27향나무로서는 보기 드물게 오래되고 큰 향나무로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에 거창 신씨 선조 묘소 옆에자리를 잡고 있으며 나무 옆에는 거창 신씨 내력에 관한 비석이세워져 있다.원줄기에서 약 2m 높이에서 가지가 7개로 갈라져 수형을 이루고 있다.수령은 500년. 높이 13m. 둘레 3.8m. 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되었다.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 530 2024. 8. 7. 봉선사 느티나무(경기.남양주) 2024.7.27경기도 남양주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 입구에 서있는 노거목 느티나무는 봉선사 사찰을 중창 시 심었다고 전해지며 사찰을 위해 심었다고 한다.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 봉선사길 32봉선사 느티나무수령:500년. 수고: 21m . 둘레: 5m. 보호수 지정일자: 1982.10.15 2024. 8. 7. 봉선사 연꽃축제(경기.남양주) 2024.7.27봉선사를 순례하는 날 봉선사 연꽃 축제가 열리고 있어봉선사 연지(연못)를 들러 보았다. 매년 7월 중순경 개최한다고 하는데올해는 당초 7월19일에서 7월 21일까지 개최 계획에서 7월 26일에서 7월 28일로연기를 하게 되어 연꽃 축제 광경을 구경할 수 있는 행운을 누릴 수 있었다..올해로 (2024년) 22회째 행사라 한다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 2024. 8. 7. 봉선사(奉先寺) 경기.남양주 2024.7.27대한불교조계종 제25 교구 본사찰인 경기 남양주 운악산(275m) 봉선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총 25개 본사 중 25 교구에 속하는 사찰이다.순례차 방문한날이 올해로 22번째 연꽃 축제 기간 중이었다.운악산 봉선사를 순례로 25 교구 전체를 순례를 한 마지막 사찰이 된다.이곳 봉선사는 다른 사찰과 달리 차별함과 특별함이 있는 곳이다.봉선사의 역사는 969년(고려광종20)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며 당시에는 이곳산 이름을 딴 운악사라 칭하다 1469년(조선예종1년 1450~1469)) 조선 세조 (1417~1468) 의 비 정희왕후 윤씨가 광릉의 세조를 추모하여 89칸을 중창하면서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奉先寺)로 개칭하였다고 한다.1551년(명종6년 1534~1567 ) 문정왕후에 의.. 2024. 8. 7. 부소산성(扶蘇山城) 충남.부여 2024.7.20충남 부여 주변 천주교 성지를 순례 중 부여읍에 소재한 낙화암을 들러보기 위해부여읍 북쪽 방향에 있는 부소산을 찾았다.신 증동국여지승람에 부여의 진산이라 불렀다는데 명칭 유래는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소나무를 뜻하는 "풋소"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부소라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부소산은 높이 106m로 낮으막한 산으로 약 2.2km의 부소산성으로 이루어져부소산성은 평소에는 궁성의 정원 형태로 사용되다가 전쟁이나 환란이 닥쳤을 때 방어지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곳은 사적 5호로 지정이 된 곳이다.낙화암을 어학사전에는 부여읍 부소산에 있는 큰 바위라 하며지식백과에는 부소산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의자왕과 관련된 바위라 한다.주소: 충남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678-2부소산문 (부소산 입구)낙화암백마.. 2024. 8. 7. 정림사지(定林寺址)오층석탑 (충남.부여) 2024.7.20백제탑 형식 중 석탑의 시조(始祖)라 할 수 있고 한국 석탑의 계보를 정립시키는데아주 소중한 가치를 가진충남 부여읍 동남리에 위치한 정림사지 5층 석탑을 찾았다.산지가 아닌 시내 평지에 자리 잡은 정림사지는 면적이 59,245㎡(약 17,900평)으로5층 석탑은 1962년에 국보 9호로 지정받았고 정림사지 일원은 사적 301호로1983년 3월 26일 자로 지정되었다.그리고 2015년 7월 4일 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부여에4 곳이 (관북리유적. 부소산성. 능산리고분군. 정림사지)유네스코세계유산에 선정 등재 되었다주소: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번지정림사지 5층 석탑 (높이 8.33m ) 국보 9호목조탑의 구조를 석재로서 변형 표현한 탑이라 한다.정림사지 박물관* 초청 탑.. 2024. 8. 4. 미암사(米岩寺) (충남.부여) 2024.7.20충남 부여에서 보령 방향 약 16 km 거리 계향산(480.7m) 중턱에 충남 기념물로 지정된 쌀바위 아래쪽 안내 표지판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와불이라 칭한금불상 와불을 볼 수 있다.이 와불은 3년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와불의 모양은 열반에 드실 때의 자세라 한다.와불의 크기는 길이 30m 높이 7m 손가락 길이는 3.5m에 달한다.열반상은 머리를 북쪽 방향으로 서쪽을 바라보며 오른쪽 옆구리를 땅에 대고 누운 모습이며금불상 와붕 안에는 2만 개의 불상을 모신 법당이라 하는데 문이 잠겨져 있었다.2020년에 완공한 밀양 영산정사 와불은 크기가 길이가 82m이며 높이는 21m 주변에 세워놓은 금불상은 196개가 세워져 있다고 한다.주소: 충남 부여군 내산면 성충로 미암길 128 (저동리 21-.. 2024. 8. 4. 원머리 성지 (충남.당진) 2024.8.3원머리란 지명은 갯벌을 개간하여 논으로 사용하려고 둑을 쌓은 언(堰)의 첫머리에서 유래한 이름이란다.도로에 세워놓은 원머리성지 표지판에는 순교자 두 분의 이름과 세례명이 새겨져 있으며바로 옆 마을 중심부에 묘소가 보이며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알려준다.이곳은 1785년부터 조선 교회의 시작과 함께 천주교 교우촌이 형성된 아주 오래된 지역이다.1866년(병인박해) 20여 명의 이곳 신자들이 홍주. 해미. 수원에서 순교 하였으며1868년(무진박해) 에는 박선진(마르코). 박태진(마티아)이 순교하여 이곳에 안장을 하였다.원머리 성지에는 박해시대 순교자 20명. 근 현대 순교자 2명으로 22명이 모셔져 있고 현재 시복 시성을 위하여 기도를 바치고 있다고 한다.이곳에서 원머리공소.. 2024. 8. 4. 쇠파리와 등에 쇠파리와 등에는 날아다닐 때는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날지 않을 때는 외형은 육안으로 바로 차별화가 되며 등에는 벌처럼 보이며 벌처럼 보임으로 인해 적의 공격을 막기도 하는 곤충이다.쇠파리는 주로 초식가축의 피를 빨아먹으면서유충은 소나 말의 피하에 기생하는데 등에는 피부에 기생하지 않고 피만 빨아먹는다고 한다.쇠파리는 파리목에 쇠파리과이며 등에는 파리목에 등에과에 속한다.등에류는 모기처럼 암컷만 초식동물의 피를 빨아먹는데 수컷과 짝짓기 하지 않은 암컷은 꽃의 꿀이나 꽃가루를 먹는다고 한다.수컷은 화밀이나 감로 식물즙을 먹고살아간다고 한다.소크라테스의 등에에 대한 일화로 소크라테스가 누명을 서게 된 재판정에서 아테네는 커다랐지만 움직임이 굼뜬 말과 같아서 등에(gadfly)가 끊임없이 말에게 달라붙어야말이.. 2024. 8. 2. 구산(龜山)성지 (경기도.하남) 2024.7.27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하고 있는 구산 성지는 뒷산의 지형이 거북이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고 이곳 천주교 성지를 은총과 치유의 성지라고도 부른다. 박해 시대 이래로 천주교 교우촌이자 순교 성지라 할 수 있다.1841년 4월 교수형을 받고 순교한 성 김성우(안토니오) 가족 7명이 순교한 곳이다.첫 째 동생 덕심(아우구스티노). 둘째 동생 윤심(베드로알칸드라). 김성우 아들성희(암브로시오). 덕심의 아들 차희. 윤심의 아들 경희.사촌 김주집(스테파노)의 아들 윤희. 최지현. 심칠여(아성 김성우는 1836년 모방 베드로 신부를 모셔와 성사를 받고 공소회장으로 봉사를 하다1841년 4월 29일 47세 나이로 교수형으로 죽음을 맞이했다.* 모방베드로신부(1803~1839) - 프랑스 바시에서.. 2024. 7. 31. 이전 1 ··· 3 4 5 6 7 8 9 ··· 2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