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ㅇ성주애지리문화농원2410

조씨 형제 순교자 묘 (부산.강서구) 2024.4.7 병인박해(1866년)가 일어난 2년 후 전교중 가락면 상덕리 편도 부락에서 체포되어 김해읍 왜장대에서 참수형을 당한 조석빈(曺錫貧 1825~1872)과 조석증(曺錫曾 1834~1872) 순교자 두 형제는 사학죄인(死學罪人) 이라 하여 문중의 반대로 시신을 조씨 문중의 선산에 묻히지 못하고 배문한(裵文漢) 신부의 3대조 배정문(裵禎紋) 집 뒤 (부산시 강서구 생곡동) 배 씨 가문의 선산에 안장되었다. 배문한 신부 본가에서는 4대에 걸쳐 묘를 보호 관리 하고 있다. 배문한 신부 본가 바로 뒤에 묘지가 위치하고 있다. 주소: 부산시 강서구 생곡길 26번 길 9-19 이곳은 1989년 6월 부산 교구에 의해 묘지 발굴 확인 작업이 이루어졌고 1995년 5월 교구장 이갑수 주교 집전으로 형제 묘소.. 2024. 4. 9.
지례향교(경북.김천) 2024.4.6 경북 김천시 지례면에는 가끔씩 경유하거나 들리는 곳이지만 지례향교는 처음 들려 봤다. 항상 향교 건물의 공통점은 마을 뒤쪽 높은 지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지명이 교촌(敎村) 또는 교리(敎里)라 불려지고 있다. 이곳도 역시 주소가 김천시 지례면 교리 729 번지 문이 잠겨있어 향교 안에는 들어가지 못하고 사반루(思泮樓)라는 현판이 걸린 건물 담장 너머로 기웃 거려 본다. 생각할 사(思) 에 학교 반(泮)이라 한자의 뜻은 생각하는 학교란 의미 자료에 의하면 1426년(세종8)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한 향교로 임진왜란 때 전소되고 1690년(숙종16) 에 현감 유후광(柳後光) 이 중수하였고 일제 말 금산향교로 폐합되었다가 1946년 다시 복원. 1973년 중수를 하였다. 경내 건물로는 .. 2024. 4. 9.
생명의 계절 2024. 4. 9.
해송 (곰솔) 이식 작업 2024. 4. 8.
고사리 첫 수확 (2024) 2024.4.4 2024. 4. 8.
애지리 봄꽃이 (2024년) 할미꽃 할미꽃 수술과 암술 미선나무꽃 돌단풍꽃 얼레지 금낭화 수선화 자주광대나물 고사리 진달래 수 련 제비꽃 쇠뜨기 2024. 4. 2.
금척리(金尺里)고분군(경북.경주.건천) 2024.3.30 경주 시내에만 고분(古墳) 이 있는 줄 알았는데 건천읍에도 제법 큰 규모의 고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았다. 4번 국도변 금척리 고분을 들렀을 때에는 갑자기 우박이 잠깐 쏟아져 당혹스러운 요즈음의 날씨다. 고분(古墳) 이라하면 오래된 무덤. 사람의 시신을 매장한 시설물을 지칭하건만 일반적으로 역사적. 고고학적 자료가 될 수 있는 무덤만을 고분으로 정의하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며 학술적 가치가 있다면 모든 옛 무덤을 고분이라 할 수 있다고 한다. 이곳 금척리 고분은 5~6세기 신라의 고총 고분으로 대릉원 일대 고분 다음으로 고총이 많으며 당초 52기 규모의 무덤에서 현재는 32기가 남아 있으며 규모는 127,406㎡ 에 1963년 1월 21일 자로 사적 43호로 지정이 되었다. 주소: 경북 .. 2024. 4. 2.
박목월 생가(경북.경주.건천) 학교 교과서에 자주 등장했던 귀에 익은 시들의 주인공 박목월 선생(1915~1978) 생가를 들렸다. 청록파 시인으로 잘 알려지고 청록집으로 유명하며 시인으로 교육자로 시문학 대표적 작가로서 작품 도서를 67건이나 후세에 남겨준 분이다. 필명인 목월(木月) 은 어느날 밤 나무에 걸린 달의 모습이 너무 고와 목월로 지었다고 한다. 청록이란 "청노루" 란 시의 마지막 구절 "청노루 맑은 눈에 도는 구름"에서 따왔다고 하며 이 시는 이상화된 공간 속에서 탈속적인 세계 평화를 뜻한다고 한다. 이곳 생가는 박목월 선생이 유년기를 보낸 장소로 태어난 곳은 경남 고성군 고성면 수남리로 1919년 이곳 경주군 서면 모량리 (현 건천읍 모량리 571번지)로 이주하여 1929년도에 건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 1935년 대구계.. 2024. 4. 2.
가산산성 복수초 꽃이 활짝(2024년)경북.칠곡 2024.3.22. 작년(2023년) 에는 3월 18일 날 찾았던 경북 칠곡 가산산성 복수초 군락지를 올해는 5일 늦은 날인 22일날 가산산성을 찾았다. 팔공산에 속한 가산산성은 작년까지 도립공원에서 팔공산 국립공원으로 승격을 하여 여러 가지 모습들이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복수초가 만개한 모습을 보려면 입구에서 3.2km 떨어진 동문 부근까지 발품을 팔아야 한다. 2009년도 가산산성의 복수초 군락지가 발견되면서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서식지라 하는 걸 보면 식물 중에서도 참 번식이 느리고 어려운 식물인가 보다. 2012년도에 tvn 방송 " 노란 복수초" 란 제목의 드라마에서 주인공 설연화(雪蓮花)란 이름은 복수초의 다른 이름 설연화를 모티브로 하였다고 하는데 설연화란 눈 속에 피는 연꽃을 뜻 한.. 2024. 3. 23.
석남사(石南寺) 울산.울주 2024.3.17.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통도사의 말사. 비구니 사찰 석남사. 이곳의 일주문은 배내골로 넘어가는 도로와 바로 접하고 있다. 가지산석남사 (迦智山石南寺) 란 현판이 속세와의 경계임을 알려준다. 그런데 가지산 정상 표지석과 어학사전에는 한자로 가지산의 가 음이 加(더할 가) 였는데 석남사 현판과 백과사전에는 막을가(迦) 자로 쓰여 약간의 혼동을 준다. 석남사란 이름은 석남사 홈피에는 가지산을 석면산(石眠山)이라고 하는데 산의 남쪽에 있다 해서 석남사란 명칭이 주어 졌다고 하며 또 다른 기록에는 창건 시 화관보탑(華觀寶塔)의 빼어남과 각로자탑(覺路慈塔)의 아름다움이 영남 제일 이라고하여 석남사(碩南寺)라 하였다고 한다. 당초 사찰 건물은 임진왜란 때 전소되고 1674년(현종 15)에 탁령(.. 2024. 3. 22.
석남사 소나무 (울산.울주)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에 소재한 석남사 사찰 입구 일주문 바로 옆에 서있는 늘씬한 몸매에 표피가 아름다운 노송 한 그루. 울주군에서 보호수로 지정하여 이름표를 세워 놓았다. 이곳 석남사는 일주문에서 사찰까지 약 700 여 m의 진입로 양쪽 전체 노거목들 모두가 사실은 보호수로 지정 받아도 될 거 같은 연륜과 풍치를 보여 주고 있다. 2024. 3. 18.
구량리 은행나무 (울산.울주) 천연기념물 64호 구량리 은행나무는 울산시 울주군 두서면 구량리 860번지에 있는 660년생 노거수다. 오래된 고목나무에는 항상 전설이나 설화가 따르기 마련 아들을 낳지 못하는 여인이 이 나무를 향해 정성껏 빌면 아들을 낳는다는 전설. 조선 초기에 이 지대 선생이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 시 연못가에 심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은행나무 높이는 22m. 가슴높이 둘레가 12.9m (1962년 12월 3일 천연기념물 지정) 2024.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