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ㅇ성주애지리문화농원2410

수리산 성지 14처 수리상 성지 십자가의 길은 성 최경환(프란치스코) 묘소 올라가는 길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길은 수리산 최고봉인 태을봉(489m) 을 오르는 길목 이다 태을봉은 오르다 오른쪽 표지판을 따라 오르면 되는데 묘 입구에서 약 1km 거리로 약 40분이 소요 된다. 2023. 10. 26.
수리산(修理山)성지 (경기도.안양) 성지순례 답사자 우리 일행은 거주하는 곳에서 자동차로 3시간 이상을 달려 조금 여유 있게 도착하여 수리산 성지 주임 신부님과 같이 기념사진도 찍고 고택성당에서 집례하는 미사에 참례하고 답사를 시작해 본다. 이곳은 천주교 성지이면서 2009년 7월16일 자로 경기도 도립공원으로 지정이 되었고 안양 9경중 6경에 선정된 곳이기도 하다. 성지로서 대표적인 의미는 최양업 신부 부친인 최경환 (프란치스코 1805~1839) 성인의 내외분 묘소가 이곳에 안장되어 있고 조선시대 기해박해 때 천주교 신자들이 숨어 살던 산골 마을이다. 수리산 성지에는 성지성당(순례자성당)과 성인고택. 최경환 내외분 묘. 십자가의 길. 성모동굴이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2006년 6월 4일 고택 성당을 완공하여 작은 성당이 마련되었다. .. 2023. 10. 26.
오도산(吾道山)전망대(경남.합천.거창) 한국에서 표범이 마지막 서식지였다는 오도산은 그리 많이 알려진 산은 아니지만 1982년도에 한국 통신이 오도산 정상(1134m) 에 중계소 설치로 접근이 용이 해지면서 일출과 일몰 운해의 풍경을 보며 사진을 찍기 위하여 찿는 이들이 점차 늘어나는 산이다. 공식적인 통계 인지는 몰라도 국내에서는 차량으로 갈 수 있는 가장 높은 산 이라고도 불린다. 경북 고령에서 거창 방면 26번 국도로 가다보면 오른편에 산꼭대기에 kt 중계탑이 보이는 곳이다. 네이비게이션을 오도산으로 치면 주소가 경남 합천군 묘산면 반포리 680으로 나오고 오도산 전망대 (kt 오도산 중계소) 를 검색하면 경남 거창군 가조면 도리 산 61-2로 안내를 해준다. 이곳 정상을 기점으로 합천과 거창군이 경계를 이루고 있어 정상 부근 산 모퉁이.. 2023. 10. 26.
옥전고분군 (경남.합천) 합천옥전고분군(陜川玉田古墳群)은 1985년부터 6년간 5 차례의 발굴조사에 의해서 가야국 최고지배 집단의 공동묘지임이 밝혀졌다. 황강 변 해발 50~80m 야산 정상부에 형성 되어 있으며 고분의 총수는 약 1.000기 정도를 추정한다고 한다. 가야는 기원 전 후 562년까지 한반도 남부에 번성한 작은 나라들의 연합체라 볼 수 있으며 금년 (2023년 9월 17일) 45차 세계유네스코 유산위원회에서 한국에서는 16 번째로 가야고분군이 유네스코세계유산에 등재가 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주된 등재 사유는 가야문화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유적으로 주변국과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독특한 체계를 유지 하였고 고대 문명의 다양한 증거가 된다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받았다고 한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가야고분군은 .. 2023. 10. 20.
호연정 (浩然亭) 경남.합천 명예와 물욕을 버린 채 호연 히 돌아와 물에서 해방된 자유로운 마음을 나타내는 호연지기에서 "호연정(浩然亭)" 이라 이름 지었다는 호연정은 조선 시대 정자중 특이한 작품 중의 하나로 다양한 양식이 혼합된 건축물이라 한다. 앞면 3칸에 옆면 2칸의 다포계 건물로 단층 팔작 지붕 이다. 본래의 정자는 임진난 때 불타고 지금의 정자는 후손들이 주이를 기리기 위하여 다시 지었다고 하는데 흰 목재를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창방(昌枋)이 부채곡선으로 특이하게 휘어진 나무를 사용하였다. 호연정 정자는 1981년 12월 21 일 자로 경남 유형문화재 198호로 지정이 되었으며 2018년 12월 20일 자로 명칭을 합천호연정으로 변경하였다. 이 정자는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 예안 현감을 역임한 이 요당 주이.. 2023. 10. 20.
초계향교 (草溪鄕校)경남.합천 조선후기(1628년. 인조 6)에 건립된 경남 합천의 초계 향교는 1983년 8월 12일에 유형문화재 227호로 지정 되었다. 현재의 건물은 1800 년대 초에 현 자리로 옮겨 왔다고 한다. 1819년에 대성전이 중수되었고 1843년(현종 9) 에는 현감 김선영(金善永)이 명륜당을 중수. 1993년 동재. 서재가 건립되었다. 현존 건물로는 5칸의 대성전. 4 칸의 동무(東廡)와 서무(西廡). 내삼문(內三門). 7칸의 명륜당. 입구에 5칸의 풍화루(風化樓)가 있다. 건축 형태는 전학 후묘(前學後廟)로 앞쪽은 명륜당. 뒤쪽에 대성전이 자리 잡고 있다. 대성전에 모셔진 위패는5성(五聖). 10 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이 모셔져 있으며 동무. 서무에는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있다 * 오성(五聖.. 2023. 10. 20.
합천박물관 (경남.합천) 합천박물관은 제2차 가야문화권 정비계획에 따라 사적 제326호로 지정되어 있는 고대 다라국 지배자들의 묘역인 옥전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을 보관 전시하기 위해 건립하였다고 한다. 전시유물의 내용은 본관은 고고관으로서 1층 다라문화실과 2층 다라 역사실에 옥전고분군의 유물을 상설 전시하고 있다. 별관은 역사관으로 합천의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유구한 역사를 알리는 자료를 상설 전시하고 있다. 가야의 역사는 김해의 옛 국명인 "가락"에서 기원 되었다고 하며 가락의 어원은 "개간한 평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 다라국(多羅國)은 삼국시대 가야의 소국중 하나로 양직공도(梁職貢圖)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서 기록이 등장하며 다른 소국에비해 역사가 짧은 것으로 추정을 하고 있다. 합천 쌍책면 다라리(多羅里).. 2023. 10. 20.
합천성당 (경남.합천) 경남 합천은 도는 달라도 자주 들리는 곳이지만 처음 찾아본 합천성당 관할 교구가 여러번 바뀌었던 경남 합천 성당에 오전 (10시 반) 미사에 참례하고 그리 넓지 않은 성당을 둘러 본다. 종탑의 3개의 종과 성당 안 감실이 인상 적이다. 합천 성당의 역사는 1922년 12월 문산 본당 합천공소 설립으로 시작된다. 1931년에는 공소 건물이 준공되고 이듬해인 1932년도에 대구교구 합천 본당으로 승격이 된다. 관할 구역은 합천.거창.창녕 지역이 되며 관할공소는 어전. 쌍백. 낙민. 학리. 양평리. 박암리로 6개의 공소가 관할 지역의로 운영되다 1940년에 와서는 거창본당 합천공소로 격하되었다가 1964년에는 교구가 부산 교구로 바뀌며 다시 부산교구 합천 본당으로 승격이 된다. 1966년 2월 15일 교황 바.. 2023. 10. 20.
서운동 순교 성지 성당(충북.청주) 충북 청주시에 위치한 서운동 성당은 청주에서 최초로 설립된 성당으로 4 곳의 순교지와 1 곳의 신앙 증거터가 본당 관할 구역 안에 있는 곳이다. 현재의 성당 자리는 청주 진영 순교지로 다섯 진영중 중영이 있던 곳으로 1866년(병인박해) 때 천주교 신자 체포를 주도한 관청 진영 이었다. 서운동 성당은 1933년 6월에 청주시 상당구 중앙로 62번 길 16 (현 가톨릭청소년센터)에 최초 본당이 설립되었고 30년 후인 1963년 7월 25일에 현재의 성당이 완공되어 이전을 하였다 자료에 의하면 서운동 순교지 외 4곳은 남문밖 장터(현 육거리종합시장 전신)로 복자 김사집(프란치스코). 안 루카. 가 조리돌림(회술례) 후 참수형으로 순교하였고 병영순교지(충청도 병마절도사 병영자리)에서는 복자 원시보(야고버)가 .. 2023. 10. 20.
어농성지 (경기도.이천시) 천주교 어농성지는 1987년 9월 15일 김남수(안젤로) 주교가 축복하였고 2002년 8월에는 최덕기(바오로) 주교가 "을묘" "신유" 박해 때 순교하신 선조들을 기리고 현양 하기 위한 기념 성지로 선포를 하게 된다. 이곳 어농성지 순교자 묘역에 잠들어 있는 순교자들은 조선땅에 처음 발을 디딘 성직자의 영입을 주도했던 신앙 선조들의 성지다. 2007년도에는 어농성지를 청소년 성지로 선포되며 17분의 순교 복자가 현양 되어 있다. 성지 안에 들어서면 성당과 형구전시장. 야고보의 별 피정의 집. 생태 농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다른 곳에서는 잘 볼 수 없었던 아버지 상도 설치되어 있다. 주소: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어농로 62번길 148 (어농 3리 322-4) * 윤유오(야고보) 는 윤유일의 동생이고 윤점혜(.. 2023. 10. 20.
단내 성가정성지(경기.이천) 단내 성지를 가족 순교자가 많아 성가정 성지라 부른다. 1866년 병인박해 때 남한 산성에서 순교한 정은(바오로 1804~1866)) 과 정 베드로의 고향이며 유해가 묻혀 있는 곳이다. 현재 두 분은 하느님의 종 품에 올려져 있다. 그리고 아래 다섯 분의 순교 성인을 기념하는 성지 이기도 하다. 이문우(요한) - 1840 년 2월1일 당고개 순교 남이관(세바스티아노) - 1839년 9월 26일 서소문 밖 순교. 이호영(베드로) - 1838년 11월 25일 형조에서 전옥 이 아가타 - 18940년 1월 9일 옥사 조중이(바르바라) - 1839년 12월 29일 서소문 밖 순교 뒷 산에는 은신처였던 검은 바위와 굴 바위가 있으며 이곳을 경유하여 김대건 신부의 사목활동 경로를 따라 약 5.2km 의 순례 코스가.. 2023. 10. 17.
미리내성지 성요셉성당(경기.안성) 미리내 본당의 초대 주임 신부였던 강도영 (마르코) 신부와 미리내 교우들이 직접 돌을 쌓아가며 1907년에 완공한 성 요셉 성당은 미리내 성지 입구 오른편 언덕에 자리 잡고 있다. 제대와 감 실은 완공 당시의 것을 지금도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도 미리내 지역 교우들을 위한 미사가 봉헌되고 있는 성당이며 제대 아래에는 김대건 신부의 발가락 뼈의 유해가 안장되어 있다. 미리내 성 요셉성당 말구우물 2023.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