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519

대장경 테마파크 안에는 (경남.합천) 가야산국립공원 자원봉사차 가야산에 왔다가 태풍 "링링"으로 인하여 봉사활동 대신 주변에있는 대장경 테마파크를 견학 관람 하는걸로 대체되어 테마파크 안 곳곳을 둘러봤다. 이곳은 경남 합천군 가야면 야천리 943(가야산로 1160) 2011년 고려대장경 간행 천년을 맞이한 해에 팔만대장경의 우수성과 역사성을 알리고 새롭게 다가올 천년을 준비 하고자 세계문화축전을 개최하며 이곳에 테마파크를 조성 하였다. * 고려대장경판.제경판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2007년도 등재되었다. 2019.9.7 * 뒤쪽으로 구름으로 가려진 가야산이 보이며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폭격 하지 않았던 김영환 공군 조종사가 비행했던 기종인 비행기도 전시되어있다. 세찬 바람으로인해 버드나무 가지가 오른쪽으로 휘어진 모습이 태풍의 도착을 예고.. 2019. 10. 2.
문소루(聞韶樓)경북.의성 경북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 87 구봉공원내 제9봉에 서있는 누각으로 규모가 영남 4대 누각에 속한다 하는데 원래 의성을 문소(聞韶)로 불러오다 고려태조12년 서기929년에 후백제 견훤을 맞서 싸우다 전사한 김홍술의 충절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태조는 옳을 의(義)와 성성(城)의 의로운성 의성이라 명명 하였다고한다. 019.9.10 문소루(聞韶樓) * 해발 211m 구봉산(九峰山)에 위치한 문소루가 있는곳은 원래는 구성산(九城山)이라 불렀다고 하며 문소루는 고려 중엽에 창건하여 임진란때 소실되어 조선숙종20년 서기1694년에 중건하고 6.25동란때 한번더 소실되어 1983년도에 현 위치에 복원하게 되었다. 영남4대누각은 - 진주:촉석루. 밀양:영남루. 안동:영호루. 의성: 문소루 구봉공원 초입에 서있는 문소.. 2019. 9. 12.
문익점면작기념비(文益漸棉作紀念碑)경북.의성 일반적으로 목화씨를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가져온 사람으로 잘 알려진 문익점 선생은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간단하게 소개된걸로 기억된다. 이곳 의성에도 문익점과 연관된 곳이 있음을 처음 알았다. 목화를 처음으로 시험 재배한 곳은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로 1363년도에(공민왕12) 문익점이 중국 원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3년동안 귀양살이를 하다 고국으로 돌아오며 목화씨를 붓뚜껑에 가져와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재배한 곳이다.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는 1965년도에 사적 108호로 지정 되었으며 이곳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에는 조선 태종때 문익점의 장인 정천익(鄭天益)이 산청에서 시험 재배하고 그후 손자 승로(承魯)가 의성현감으로 부임하며 당시 면화를 파종한 원전(元田)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019.9.10 2019. 9. 12.
소문국사적지(召文國史蹟地)경북.의성 삼한시대 초기 국가였다고 전해지는 의성군 금성면 일대(탑리리.학미리.)의 금성산 주변에는 374기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다. 이곳은 1998년 4월13일 경북기념물 128호로 지정 되었으며 삼국사기.동국여지승람에 간략하게 이곳에대한 기록이 언급 되었으나 자료가 빈약하여 소문국의 역사를 복원 하기엔 매우 어렵다고한다. 위치: 경북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대리리 일대 2019.9.10 1960년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곳 탑리리고분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가장 큰 고분은 동서 길이가 41m 남북이 30m 높이가 8m 나되는 규모가 큰 고분과 직경 20m 가 넘는 고분도 16기나 되며 금성군 대리리에는 조문국 경덕왕릉(景德王陵)으로 추정되는 무덤은 능둘레가 74m 이며 높이가 8m 나된다 * 삼국사기 기록에 .. 2019. 9. 12.
의성탑리리 오층석탑(義城搭里里五層石搭)경북.의성 그리 먼 거리에 있지않으면서도 잘 가지않는 지역. 가끔씩 지나치기는해도 딱히 목표를 정해 가본 기억이 별로 없는곳 의성군. 국보77호인 탑리오층석탑을 시작으로 문화답사를 해보기로하고 오후 1시에 집을나섰다. 집에서 의성까지는 평균 1시간 20분거리다. 석탑의로인해 이곳 지명의 중심을 차지한다고하니 이 지역으로서는 석탑의 중요성과 생활속 그리고 역사성에 비중은 엄청 크다고 볼수 있을거같다. 인쇄물로만 보았던 의성탑리리오층석탑을 찿았다. 주소지: 경북 의성군 금성면 오층석탑길 5-3(탑리리) 2019..9.10 탑리리오층석탑전경(국보77호) 탑의 높이는 9.6m 이며 지붕돌의 윗면이 층단을 이루는 모전석탑(模塼石塔)양식으로 이 석탑으로 인해 이전에 목탑과 전탑이 존재 하였음을 추정 한다고 한다. * 정면서 .. 2019. 9. 12.
무주구천동 33경 일반적으로 무주구천동으로 알려져있는 덕유산에서 설천면으로 흘러내리는 계곡에는 경관이 뛰어난곳을 무주구천동 33경이라하여 1경 나제통문에서 33경인 해발 1614m의 덕유산 향적봉 까지를 말한다. 무주리조트를 같다오다 33경중 3곳을 들려봤다. 시작 지점인 1경 나제통문과 11경 파회. 12경 수심대를 찿아봤다. 2019.8.25 나제통문(羅濟通門) 언제 만들어 졌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다고 한다.삼국시대에 신라와 백제 경계 지점으로 신라.백제 뒷자를 따와 나제통문이라 부르게 되었다고하며 높이는 3m 길이는 10m. 현재는 설천면과 무풍면의 경계선이다. 나제통문은 33경중 제 1경이다. 나제통문에서 백련사 까지의 길이 20km를 무주구천동계곡이라 부른다. 수심대(水心臺) 주소는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로 무주구.. 2019. 8. 29.
내암 정인홍(來庵 鄭仁弘)묘지는. 내암 정인홍(來庵 鄭仁弘)1535~1623 하면 남명 조식(曺植)1501~1572 선생의 문인으로 경상우도의 남몀학파 대표 인물이며 북인의 대표적 인물로 인조반정때 참수형을 당한 인물로 알고있다. 단재 신채호 선생은 한국 역사상 3걸(三傑)을 꼽는다면 을지문덕과 이순신장군. 그리고 정인홍이라 했건만 삼정승을 지낸 묘지로 보기엔 상대적으로 보는이로 하여금 너무나 초라하다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근래에 묘지 입구에 조그만 주차장을 공사를 하는것 같아 묘지를 찿아봤다. 2019.8.13 묘지는 아직 벌초전이라 군대군데 망초꽃이 피어있으며 풀들이 우거져있다. 가장 앞족에 망두석 2개가 세워져있고 안쪽으로 문인석 2개가 마주보고 서있다. 봉분 좌측에 세워져있는 묘비는 내암 정 인홍의 묘소를 알려주고있다. 묘 비 .. 2019. 8. 15.
장전폭포(경북.김천) 경북 김천시 증산면 장전리에 소재한 장전폭포를 태풍 다나스가 다녀간이후 오랜만에 찿아봤다. 7월 22일 오후 흐르는 물 수량이 많아지며 장관을 이룬다. 2019. 7. 22.
주왕산(周王山)국립공원 경북 청송읍에서 동남쪽으로 13.5km 지점에 위치한 주왕산은 높이는 722.1m . 1976년도에 우리나라에서 12번째로 국립공원에 지정된 곳이다. 주왕산국립공원의 안내를 받아 주산지와 주방계곡 방향 폭포와 기암들을 볼수 있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면적은 106평방키로미터에 서식하는 동물은 21종.양서류.파충류가20종. 조류가 65종. 담수어류27종. 식물이 749종에 곤충은 728종이라 한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계곡은 주방계곡.노루용추계곡.절골계곡으로 나누어진다. 주로 주방계곡에 비경이 많은데 기암.아들바위.주왕굴.시루봉.망월대.신선대. 연화봉.급수대.학소대.향로봉.복암폭포.연화굴.좌암 등을 두고있다. *주왕산 국립공원의 깃대종은 솔부엉이와 둥근잎꿩의비름. 기암 단애 * 기암단애는 주상절리및 판.. 2019. 7. 19.
주왕산 주방계곡 폭포(경북.청송) 이곳 주왕산국립공원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서 24개소의 지질명소가 있으며 주방계곡 용추협곡은 응회암에 발달하는 수직절리의 침식으로 형성된 폭포와 협곡이 신선세계로 들어가는 관문을 연출 한다고한다. 2019.7.6 용추폭포 용연폭포 2단으로 구성된 웅장한폭포로 하식동과 연계한 폭포의 후퇴 과정을 설명 해주는 폭포다. 절구폭포 주왕산 깃대종 솔부엉이 둥근잎꿩의비름 2019. 7. 18.
주산지(注山池)경북.청송 오랫만에 다시 찿아본 주산지. 가야산국립공원 자원봉사자 시민대학 과정에서 생태탐방을 이곳 주왕산국립공원으로 오게되어 가장 먼저 주산지에 들리게 되었다. 청송군 부동면 소재지(이전리)에서 약 3km 지점에 위치하고있는 이 저수지는 1720년 8월에 착공하여 1721년 10월에 완공 하였다고 한다. 이곳 주산지는 1721년 조선시대 경종때 인위적으로 만든 농업용 저수지라고 하며 저수지입구 바위위에는 당시 저수지를 조성헀던 사람의 비석도 세워져있다. 저수지의 규모는 그리 크지는 않지만 저수지 안에서 자생하고있는 왕버드나무의 풍광이 태고적 정취를 자아내며 한폭의 수채화를 연상 시킨다. 또한 이곳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청송에는 24개소 지질 명소가있다. 주소: 경북 청송군 부동면 주산지길 163 (이전리 8.. 2019. 7. 17.
대장경테마파크(경남.합천) 고려팔만대장경 간행 천년을 기념하기 위해 개최된 2011 대장경천년세계문화축전의 주행사장이며 팔만대장경 세계기록유산의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우수성 등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복합테마파크 대장경 테마파크는 경남 합천군 가야면 가야산로 1160 위치로 가야산국립공원 해인사 입구로 가야면 소재지를 막 지나면 오른편에 도로와 접하고있는 테마파크를 볼수있다. 이곳 안에는 크게 천년관.빛소리관.기록문화관으로 나누어져 있다. 아래의 사진은 입장소 밖에 설치된 일부의 모습이다. * 입장료: 성인-3000원(단체-2000원) 청소년-2000원(단체-1500원) 어린이(초등학생)-1500원(단체-1000원) 군인.65세이상-1500원 * 관람시간: 하절기(3월~10월) 09:00~18:00 (매표시간-17:00까지) 동.. 2019.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