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392 지석리 성지(충남.부여) 2024.8.3지석리 성지를 찾아가기 위해 내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지석리 성지를 입력하였더니 지석리 성지 약 700 m 전방에서 목적지에 다 왔다고 하여 한참을 헤매다 다시 주소로 입력하니 정확하게 지석리 성지 앞에 안내를 해준다.지석리 성지는 도로와 접하고 있어 대체적으로 찿기가 쉬운 곳이다.이곳은 1866년 병인박해 때 손선지(베드로 1820~1866)와정문호(바르톨로메오 1801~1866)의 고향으로전주 숲정이에서 순교를 하여 1984년 교황 요한바오로 2세에 의해 성인품에 올랐다.손 선 지 정문호는 1866년 병인박해 무렵 전주지방 대성동 신리골에서같이 생활을 하였고 두 성인의 무덤은 천호성지에 안장되었다.이곳은 손 선 지 성인 종씨들이 성지 관할 성당인 홍산 성당에 밭을 기증해주어이곳 지석리에 선.. 2024. 8. 25. 최양업 신부 생가 터(충남.청양) 2024.8.3조선의 천주교 두 번째 사제인 최양업 신부 (1821~1861)의 생가 터를 새터 성지또는 성가정 성지라고도 칭 하기도 한다.이곳은 다락골 성지에서 남쪽 방향 1km 아래에 있는 곳으로 박해시대에는천주교 교우촌이 있었으며 최양업 신부의 아버지인 성 최경환(프란치스코 1805~1839)이태어났고 복자 이성례(마리아 1801~1840)와 결혼하여 다섯 형제들을 낳아 성가정을이루고 살던 곳이다.최양업 (토마스) 신부는 1849년 12월 귀국하여 12년간 진천. 배티를 거주지로매년 127개 공소 7천 리를 숨어 다니며 박해받는 교회를 일으켜 세우려 했던길 위의 사제로 불리어진다.주소: 충남 청양군 화성면 다락골 길 78-6 최양업 신부 생가터최양업 신부 탄생 기념성당* 최양업 신부 탄생기념 성당.. 2024. 8. 25. 다락골 성지 (충남.청양) 2024.8.3다락골이란 지명의 뜻은 "달을 안은 골짜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하며이곳은 천주교 병인박해(1866년) 시절 충남 홍주와 공주 감영에서 치명하신무명순교자들의 시신을 교우들이 죽음을 감수하면서 다락골에 옮겨 모시게 되며줄무덤이란 한 봉분 속에 황급히 줄을 지어 가족끼리 시신을 묻었다 해서 "줄무덤"이라했다고 한다.다락골 줄무덤 성지에는 현재 40기중 37기가 제1줄 무덤에 14기. 제2줄 무덤에 10기제3줄 무덤에는 13기가 모셔져 총 37기가 모셔져 있다.그리고 대성당과 성체조배실에는 다섯 분(성 최경환 프란치스코. 성 앵베르 범 라우렌시오 주교.성 모방 나 베드로 신부. 성 샤스탕 정 야고보 신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의성인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다.주소: 충남 청양군 화성면 다.. 2024. 8. 25. 장전리 은행나무(강원도.주문진) 2024.8.3쥐라기시대(공룡시대 1억 3천5백만 년~1억 8천만 년 전) 이전부터 존재하였다는 은행나무는 현재에는 극동아시아 대륙에만 생육이 가능 하다고 한다.우리나라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는 총 813그루이며 이 중에 천연기념물로지정된 은행나무는 22 그루로 장전리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166호로 1964년 1월 31일 자로지정이 되었다.지상 1.8m 와 2.5m 높이에서 8개의 가지로 갈라졌으며 이곳 은행나무는 수나무로열매가 달리지 않는다고 한다.일반적으로 은행나무는 암나무가 오래 산다고 하는데 장전리 은행나무는수령이 800년으로 수나무 로서는 상당히 오래 살아 생물학적 보전 가치가매우 높다고 한다. 높이 26m. 둘레 10m. 수령은 800년극동아시아 - 아시아대륙 동쪽 끝 부분으로 중국.몽.. 2024. 8. 20. 해미읍성 회화나무(충남.서산) 2024.8.3해미읍성 안에 있는 이 회화나무는 조선시대 천주교 박해의 아픔을 간직한 나무로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이 되었다.1790년에서 1880년대까지 나무 옆에 있던 해미 옥사에 수감되었던 천주교 신자들이이 나무에 매달려져 고문을 받았다고 전해진다.충청도 지방에서는 회화나무를 일명 호야나무로 불리어 지며수령은 약 300년으로 추정되는 나무다. 2024. 8. 20. 해미읍성 느티나무 (충남.서산) 2024.8.3아래의 느티나무는 충남 서산시 해미면의 해미읍성 안 동헌 앞에 있으며1982년 10월 15일 자로 보호수로 지정이 되었다.수령은 200년. 수고는 15.9m 2024. 8. 20. 해미읍성(海美邑城) 충남.서산 2024.8.3이곳 해미 읍성은 조선시대 1417년(태종 17)부터 1421년(세종 3)까지 쌓아완공한 성으로 충청도의 전군을 지휘하던 병마절도사영 성으로왜구에 효과적으로 막기위한 성벽으로 둘레는 1,500m. 높이 5m로성 주변에 탱자나무를 심어 적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였다.1652년(효종 3)까지 230여 년간 병마절도사영 기능으로 있다 청주로 옮겨 가면서해미읍성이 되었다고 한다.천주교 박해 시대에는 내포 지역의 천주교 신자들이 죽임을 당하는 순교지였으며읍성 안에는 동헌. 관아. 객사. 등이 있으며 1579년(선조 12) 에는 이순신 장군이군관으로 10개월간 근무한 적이 있고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이곳 해미에서 유배 생활 중 시를 남기기도 하였다1910년 읍성 철거령에 따라 모든 시설이 철거가.. 2024. 8. 13. 해미순교성지(충남.서산) 2024.8.3천주교 해미순교성지는 1963년 1월 21일 자로 사적 116호로 지정된 곳으로 2014년 가톨릭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가 이곳에서 개최 되면서 로마 프란치스코 교황님이방문하면서 주목을 받고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이 되었다.이곳 성지는 1866년(병인박해) 부터 1872년까지 6년 동안 붙잡힌 천주교 신자가 약 1,000 여명 정도가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조선 초기 충청 병마절도사영이 있던 곳으로 1651년 청주로 옮겨가게 된다.그 당시 해미읍성에서 고문을 당하고 마지막 처형 당하는 곳이 해미읍성 서문 밖과해미천변(여숫골)이었다고 한다. 해미읍성에서 해미성지(여숫골) 까지는 약 1.8km 거리.1935년도 서산성당 범바로(p Barraux) 신부 순교자 유해가 발굴되며 집단 학살이세상에 .. 2024. 8. 12. 남한산성 성지(경기.광주) 2024.7.27남한산성성지 이곳은 신해박해(1791년). 신유박해(1801년). 기해박해(1839년)병인박해(1866년)까지 약 300 명 정도가 참수형. 교수형. 장살형 등으로 순교를 한 곳으로병인박해 때에는 백지사 형벌이 시행 되기도 하였다.구산성지의 아홉명의 순교자도 이곳에서 문초를 받고 순교를 하였고이천 단내에 거주 하였던 정은(바오로)과 재종손인 정베드로는 1866년 12월 8일백지사형으로 순교하였다.한 덕운(토마스)은 광주 의일리(현 의왕시 학의동)에 살다가남한산성 옛길이 지나는 곳을 처형터로 이용되었으며 참수당하기 전 망나니에게 "내 머리를 한 칼에 베어주시오"라고 말했다는일화가 전해진다.남한산성은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 때 쌓은 주장성의 옛 터를 활용하여 16.. 2024. 8. 12. 마재 성가정성지(경기.남양주) 2024.7.27마재성가정 성지는 복자 정약종(아우구스티노 1760~1801) 부인 성녀 류선임(체칠리아 1761~1839)아들 성인 정하상(바오로 1795~1839) 아들 복자 정철상(가롤로 ~1801) 딸 성녀 정정혜(엘리사벳 1797~1839) 가족을 기념하여 봉헌된 성지로이곳 마재는 정약현. 정약전. 정약종(아우구스티노). 정약용(요한). 정약황. 5형제와누이 3명의 고향 이기도 하며 한국 천주교의 요람지의 하나라 할 수 있다.정약전은 1779년 권철신(암부로시오) 이 주도하는 천진암. 주어사 강학회에 참석하여이벽(세례자요한)으로부터 천주교 교리를 습득은 했지만 세례는 받지 못하였다.정약종은 1786년 세례를 받고 주문모 신부로부터 명도회 회장으로 임명되며1800년 처 류체칠리아. 아들 정.. 2024. 8. 9. 양지리 향나무(천연기념물232호)경기.남양주 2024.7.27향나무로서는 보기 드물게 오래되고 큰 향나무로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에 거창 신씨 선조 묘소 옆에자리를 잡고 있으며 나무 옆에는 거창 신씨 내력에 관한 비석이세워져 있다.원줄기에서 약 2m 높이에서 가지가 7개로 갈라져 수형을 이루고 있다.수령은 500년. 높이 13m. 둘레 3.8m. 로 천연기념물로 지정 되었다.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오남읍 양지리 530 2024. 8. 7. 봉선사 느티나무(경기.남양주) 2024.7.27경기도 남양주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 입구에 서있는 노거목 느티나무는 봉선사 사찰을 중창 시 심었다고 전해지며 사찰을 위해 심었다고 한다.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전읍 봉선사길 32봉선사 느티나무수령:500년. 수고: 21m . 둘레: 5m. 보호수 지정일자: 1982.10.15 2024. 8. 7. 이전 1 2 3 4 5 6 7 ··· 2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