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ㅇ성주애지리문화농원2410

은광폭포(성주독용산비경) 독용산계곡 겨울 의 은광폭포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 시여골(水力谷)부락 입구에서 계곡을 따라 약2km지점 은광폭포 높이는 약25m정도로 시여골 부락입구에서 걸어서 50여분 소요됨.최근에 계곡 주변에 장뇌삼을 심어놓아 소유자가 입산을 통제하고 있어 사전에 승낙을 얻어야 입산이 가능함 2010. 12. 15.
만귀정폭포(성주가야산비경) 만귀정폭포 폭10m 높이 7m 정도로 한말 名 宰相 이 짓고 은둔한 晩歸亭(만귀정)에서 유래 만귀정 폭포는 적십자 수련원이 있는 가천면 신계리 새마(교동)부락에서 용사리 금암(金岩)부락 방향으로 가다 오른쪽 갈곡(葛谷)방향으로 500 m쯤 올라가면 포천계곡의 마지막 포천구곡인 홍개동 표지판이 있으며 만귀정 폭포 중심으로 그일대가 포천구곡이다. 2010. 12. 15.
겨울죽전폭포(성주가야산비경) 성주군 가천면 마수리에 위치하고 있는 죽전(竹田)폭포 흔히 마수폭포라고 부르기도함 폭포높이는 9m정도로 맞은편엔 조그만 동굴이 있는데 여기에 죽전대라 음각이 되어 있으며 신계용사리 방향으로 오면 용사리 금암(金岩)을경유 법전2리 모래재 부락을지나 100 m 쯤 가면 오른쪽 방향으로 가야산 임도를 따라 800 m쯤 지점 (2009 . 12.) 2010. 12. 15.
용수폭포(성주가야산비경)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에 있는 용수폭포 성주군 가천면 신계리 에 있는 용수 폭포는 신계리 독산 부락과 신계리 새점부락 중간 가야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에 있는 폭포로 아직도 일반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고있으나 수직은 아니지만 높이가 약 40m정도로 주변폭포중에 규모는 가장 크다고 볼수있다. 접근성이 좋지않아 찿아가기가 매우힘들며 신계리 부락에서 걸어서 30여분 정도 소요됨. . 2010. 12. 15.
백운정(白雲亭) 원래 백운정이 있던곳은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사치(舍致) 대가천 냇가 절벽위에 있었는데 성주호가 담수되면서 윗쪽으로 옮겨 다시 복원 현재의 자리에 있게 되었다. 30번 국도 도로변에 접하고 있으며 절벽의 아름다움과 흐르던 물소리 대신 지금은 담수된 성주호수를 볼수있다. 이 백운정은 운봉 현광호(雲峯 玄光昊)와 그제자들이 수계(修契)하여 1937년 백운정을 짓고 매년 봄 가을로 모여 도의를 닦던 곳이다. 참고문헌:성주대관 2010. 12. 14.
배를 매는 말뚝 소나무 성주군 대가면 도남리 뒷개(後浦)마을과 갈밭(新安.蘆田)마을 중간지점 대천 금수간 도로변 갈밭마을 진입로 초입에 있는 노목으로 높이5m.둘레가 약4.5m 뻗은 가지가 동서와 남북이 각 15m로 지상 1.5m에서 부터 가지가 뻗어 우산 모양을 형성 하고 있습니다. 수령은 390년 정도로 추정하고 있답니다. 이마을에 서암 배덕문(書岩 裵德文)이 480년전 처음 들어와 살때 마을 형상이 풍수설에서 말하는 행주형(行舟型)이라해서 갯포(浦)자를 붙여 뒷개라 했는데 배가 있으면 포구(浦口)가 있듯이 이곳 배씨들 마을은 모두 포와 관련된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자리섬(全仁:席島).청룡(靑龍)등 바닷가에서 볼수있는 이름이지요. 이 소나무는 배덕문의 손자 등암 배상룡(藤菴 裵尙龍) 이 행주형 마을에 배를 묶어둘 말뚝이 있.. 2010. 12. 14.
백농 최규동(崔奎東)선생 생가 경북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소재지에 있는 서울 종합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 했던 최규동 선생 생가 입니다. 관리인 한분이 거주하고 계시는데 위치는 면 소재지 농협 하나로마트 옆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2010. 12. 14.
성주호의 늦은오후 해지기직전 성주호(2010.12.11) 한낯의 성주호(2010.12.11) 2010. 12. 14.
백농 최규동(崔奎東)선생 묘원 서울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 했던 백농 최규동 선생의 묘는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선생의 고향 광봉산 에 안치되어 있는데 위치는 가천면 소재지에서 북동쪽 대가천 개울 건너편 광봉산으로 일명 지역에서는 개곡이라 칭하고 있다. 묘원 진입로 묘원 표지석 백농 최규동 선생 묘 2010. 12. 13.
백농 최규동(崔奎東)선생 신도비 민족 계몽의 선구자 최규동 선생은 호는 백농이고 본관은 영천이며 1882년(고종19년)에 성주군 가천면 창천리 에서 태어나 서울 광신 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신학문을 배웠으며 1905년 을사보호조약이 체결되는해 평양의 대성학교를 세우고 안창호.조정환과 함계 교편생활 1909년 휘문.기호.융희.중앙.오성.기명 학교 등에서 후세교육 전념. 1918년 5월 중동학교 설립 교장 취임 1919년 2월 우리나라 최초의 중등학교 수학신교과서를 지어 수리교육의 새로운 기원 마련 세계적인 육서심원 편찬 1945년 미군정 학무국 자문기관 한국교육위원회 조직 일반교육분야 대표위원. 1947년 조선교육연합회 초대회장. 1949년1월 국립 초대 서울대학교 총장취임 조선 전기공업중학교 설립 향교재산위원.국회선거위원.법전편찬위원.역임.. 2010. 12. 13.
무침회 독용산 야간산행 무침회(붓글씨 쓰는 성주 사람들의 모임) 가 오랜만에 함계모여 야간 산행을 가졌습니다. 한 은사님으로부터 수년간 글을 배웠던 성주지역에 거주하는 좋은 사람들이지요. 만나면 반갑고 마냥 즐거운 그런 사람들 대부분 참외농사를 짓고있어 낯에는 너무 바쁜 철이라 가끔씩 야간 산행을 하는데 어제는 관내에 있는 독용산에 밤 산행을 하였습니다 밤에 왠 산 이라고 의아해 하는사람. 도무지 이해가 안된다는 사람. 대부분인데 가보지 않으면 이바구가 되지 않는 답니다. 적막함 속에 낙엽소리 고요함속에 상큼한 밤공기. 환상적인 야경은 우리들을 충분히 매료 시키거든요. 나무가지 사이 달빛이 있을때 소중하고 좋은님들과 함께라면 더욱.......!!!! 독용산 정상(955.8m) 성주야경을 뒤로하고 성위에서 정상 헬기장에서 제 .. 2010. 12. 13.
독용산에서본 성주야경 2010년 12월 12일 저녁 9시쯤 성주군 가천면 금봉리에있는 독용산(955.8m) 정상에서 성주방향 야경 모습 입니다. 끝자락 불빛이 퍼져 보이는곳은 대구시 성서 부근이 아닌가 싶습니다. 독용산 정상서 본 성주야경 독용산성 동문 에서 본 성주야경. 2010.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