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강정구6

무흘정사(武屹精舍) 경북.김천 이곳은 한강 정구(1543~1620)선생이 이곳에 터를잡고 무흘정사(武屹精舍)를 세워 여기에 머무르며 저술 활동을 하였고 많은 학자들이 왕래하던 중요한 역사 문화의 터전으로 역사적인 비중과 무흘구곡의 수려한 주변 경관을 고려하여 경북기념물로 지정 되었다. * 무흘구곡1곡인 봉비암에서 대가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면 2곡 한강대를 제외하면 거의다 30번 국도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흘정사가 위치한 곳은 김천시 증산면 소재지에 위치한 6곡 옥류정을 지나 30번 국도를 따라 대덕.무주 방향으로 가다보면 직지사 말사인 청암사 표지판이 보이며 청암사 방향으로 들어서며 바로 좌측 수도암 쪽으로 접어들어 평촌 마을을 지나 200 여m 쯤 도로변에 한강무흘강도지(寒岡武屹講道址)라는 표지판을 따라 계곡을 건너면 허물어져가는.. 2017. 12. 3.
무흘구곡(제1곡 봉비암.鳳飛巖)경북.성주 경북 성주군 수륜면 신정리. 근래에 4차선 도로로 확장된 성주 고령간 33번 국도와 접하고 있는 이곳은 무흘구곡(武屹九曲) 제1곡인 봉비암(鳳飛巖)과 회연서원이 위치 하고있다. 성주에서 33번 국도를 이용하여 자동차로 오다보면 무흘구곡표지판의 거리의 숫자가 이곳 봉비암 또는 3곡인 무학정의 거리를 표시한 이정표가 있어 처음 무흘구곡을 찿는 사람들에겐 좀 헷갈리게 만든다. 이곳 봉비암은 성주에서 약 15km 지점이며 회원서원 뒷편 낮은 산봉우리로 대가천(大伽川)변에 봉황이 나는듯한 형상을 하였다하여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2017년 11월 7일 촬영) 최근에 정비된 무흘구곡 1곡인 봉비암 전경 * 2012년 10월18일 무흘구곡 경관가도 사업 사업설명회와 자문위원회를 거쳐 3대 문화권문화 생태 관광기반.. 2017. 11. 10.
수성리중매댁(水成里中梅宅)경북.성주 이곳은 경북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 856번지에 소재 갓말부락에 있으며 바로 뒷편에는 창평산(蒼坪山)으로 여기에는 한강 정구 선생의 선영 묘소가 있는 곳으로 이마을은 청주 정씨의 집성촌이다. 갓말 부락 맞은편에는 대가천이 흐르고 밎은편엔 한강 정구 선생의 위패가 재향 되어있는 회연서원과 무흘구곡중 제1곡인 봉비암이 자리를 잡고있다. 중매댁 건물은 경북도 민속문화재 제86호로 1989년 5월29일날 지정 되었다. 이 가옥은 1903년(광무7)현 소유자 정발(鄭渤)의 조부인 정재철(鄭在哲)이 건립한 가옥으로 가옥의 이름을 중매댁 이라고 명명한 것은 현 소유자의 조모가 칠곡 매원의 중매 마을에서 시집온데서 연유 한다고 한다. 5동 1곽으로 이루어진 이 가옥은 사랑채.중문채.안채.고방채가 안마당을 사이에두고 전체.. 2017. 11. 6.
한강.정구선생묘소(寒剛.鄭逑先生墓所) 한강 정구 선생의 묘소는 경북 성주군 성주읍 금산1리 인산(仁山)부락 들머리 오른편 언덕에 자리 있습니다. 이곳은 성주읍에서 초전.김천방향 초전면과 성주읍 경계지점 못미쳐 좌측마을로 자연부락명 인산(仁山)은 인현산(仁賢山) 밑에 있는 마을로 인산이란 부락명은 성주의 鎭山牧使(진산목사) 交替時(교체시) 이산에서 交印(교인) 하였다하여 印山.印賢山 이라 하였으나 顯宗時 한강정구(寒剛鄭逑)의 묘(墓)를 이곳으로 이장하고 부터는 仁賢山. 仁山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강정구 선생은 경학을 비롯해 산수·의약·풍수·역사·천문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에 정통했으며, 특히 예학에 뛰어났다. 이후경·서사원·황종해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영남 남인학파의 한 줄기를 이루었다. 7세 때부터 ·을 배웠고, 12세 때 종이.. 2016.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