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지리농원 주변문화는.

한강.정구선생묘소(寒剛.鄭逑先生墓所)

by 애지리 2016. 5. 1.

한강 정구 선생의 묘소는 경북 성주군 성주읍 금산1리 인산(仁山)부락

들머리 오른편 언덕에 자리 있습니다.

이곳은 성주읍에서 초전.김천방향 초전면과 성주읍 경계지점 못미쳐

좌측마을로 자연부락명 인산(仁山)은 인현산(仁賢山) 밑에 있는 마을로

인산이란 부락명은 성주의 鎭山牧使(진산목사) 交替時(교체시) 이산에서 交印(교인)

하였다하여 印山.印賢山 이라 하였으나 顯宗時 한강정구(寒剛鄭逑)의 묘(墓)를 이곳으로

이장하고 부터는 仁賢山. 仁山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합니다.

 

한강정구 선생은

경학을 비롯해 산수·의약·풍수·역사·천문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에 정통했으며, 특히 예학에 뛰어났다. 이후경·서사원·황종해 등 많은 제자를 배출하여 영남 남인학파의 한 줄기를 이루었다. 7세 때부터 <논어>·<대학>을 배웠고, 12세 때 종이모부인 오건 밑에서 공부했다. 1563년에 이황·조식에게서 성리학을 배웠다. 1580년 창녕현감에 부임했으며, 이때 베푼 선정으로 생사당이 세워졌다. 1608년 대사헌이 되었으나 임해군의 옥사가 일어나자 이에 관련된 사람을 모두 용서하라고 상소한 뒤 고향으로 돌아갔다. 고향에 백매원을 세워 유생들을 가르쳤다. <심경발휘>·<오선생예설분류> 등의 예학서와 안과 의서 <의안집방>, 산아와 육아에 관한 <광사속집> 등을 저술했다. 당대의 명문장가로서 글씨도 잘 썼다.

정구

정구의 글씨, 〈근묵〉에서,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소장

경학(經學)을 비롯해 여러 분야에 통달했으며, 특히 예학(禮學)에 뛰어났다.

그의 문하에서 많은 제자가 배출되어 영남 남인학파의 한 줄기를 이루었다.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도가(道可), 호는 한강(寒岡). 아버지는 사중(思中)이다. 김굉필(金宏弼)의 외증손이다. 성주이씨(星州李氏)와 혼인하여 성주에 정착했다. 7세 때 〈논어〉·〈대학〉을 배워 뜻을 통했으며, 12세 때 그의 종이모부이며 조식(曺植)의 고제자였던 오건(吳健)이 성주향교의 교수로 부임하자 그 밑에서 공부했다. 1563년(명종 18)에 이황(李滉)·조식에게서 성리학을 배웠다.

1564년 상경하여 과거장까지 갔다가 시험에 응하지 않고 돌아와 그뒤로는 과거를 단념하고 학문에만 열중했다. 1573년(선조 6) 예빈시참봉에 이어 1578년 사포서주부, 그뒤 삼가·의흥·지례 등지의 현감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1580년 비로소 창녕현감에 부임했고, 이때 베푼 선정으로 생사당(生祠堂)이 세워졌다.

이듬해 지평이 되고 동복현감을 거쳐 1585년 교정청(校正廳)의 교정랑(校正郞)으로서 〈경서훈해 經書訓解〉를 교정했다. 1591년 통천군수가 되었는데, 그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각 군에 격문을 보내 의병을 일으키도록 했다. 그뒤 우승지·강원도관찰사·성천부사·충주목사·공조참판 등을 역임했다. 1608년(광해군 즉위) 대사헌이 되었으나 임해군(臨海君)의 옥사가 일어나자 이에 관련된 사람을 모두 용서하라고 상소한 뒤 고향에 돌아갔다. 1613년 계축옥사가 일어나자 영창대군(永昌大君)을 구하기 위해 상소를 했다.

고향에 백매원(百梅園)을 세워 유생들을 가르쳤다.

그는 경학을 비롯해 산수·병진(兵陣)·의약·풍수·역사·천문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면에 정통했으며, 특히 예학에 뛰어났다. 그는 전통적인 영남학풍을 계승했는데, 그의 〈심경발휘 心經發揮〉는 이황의 〈심경후론 心經後論〉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심경〉을 중요시한 이황의 학문을 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오선생예설분류 五先生禮說分類〉는 정호(程顥)·정이(程)·장재(張載)·사마광(司馬光)·주희(朱熹)의 예설을 분류한 것으로 예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예를 통하여 이웃과 사회, 그리고 국가생활을 이롭게 한다는 도덕지상주의적 태도를 보여준다. 〈예기상례분류 禮記喪禮分類〉·〈가례집람보주 家禮集覽補註〉·〈오복연혁도 五服沿革圖〉·〈심의제도 深衣制度〉 등도 예학에 관한 저술들이다.

이밖에 역사서로 고금의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정치의 득실과 그 요체를 밝힌 〈고금충모 古今忠謨〉·〈고금치란제요 古今治亂提要〉 등이 있으며, 〈고금인물지 古今人物志〉·〈고금명신록 古今名臣錄〉 등과 같은 전기류도 있다. 안과 의서인 〈의안집방 醫眼集方〉과 산아와 육아에 관한 〈광사속집 廣嗣續集〉도 저술했다. 수령을 맡을 때마다 그 고장의 산천·물산·고적·인정·풍속 등을 조사·수집하여 7종의 읍지를 간행했는데, 그중 〈함주지 咸州誌〉가 남아 있다.

그밖의 저서로 〈한강집〉·〈성현풍 聖賢風〉·〈태극문변 太極問辨〉·〈수사언인록 洙泗言仁錄〉·〈무이지 武夷志〉·〈곡산동암지 谷山洞庵志〉·〈와룡지 臥龍志〉·〈역대기년 歷代紀年〉·〈고문회수 古文會粹〉·〈경현속록 景賢續錄〉·〈관의 冠儀〉·〈혼의 婚儀〉·〈장의 葬儀〉·〈계의 稧儀〉·〈갱장록 羹墻錄〉 등이 있다.

인조반정 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성주 동강서원(東岡書院)·회연서원(檜淵書院)·천곡서원(川谷書院), 충주 운곡서원(雲谷書院), 창녕 관산서원(冠山書院), 성천 학령서원(鶴翎書院), 통천 경덕사(景德祠) 등에 제향되었다. 제자로는 이후경(李厚慶)·서사원(徐思遠)·황종해(黃宗海)·허목(許穆) 등이 있는데 이들은 김성일(金誠一)·유성룡(柳成龍)·장현광(張顯光)의 문하와 함께 영남 남인학파를 이루었다. 한편 그의 사상 가운데 경세론 분야는 허목 등 근기학파(近畿學派)에 속한 학자에게 계승되어, 이익(李瀷)·안정복(安鼎福)·정약용(丁若鏞) 등에 의해서 더욱 심화·발전되었다.

당대의 명문장가로서 글씨도 잘 썼다. 시호는 문목(文穆)이다.

출처: adum 백과사전

 

한강선생 묘와 인산부락

도래솔

 

 

한강정구선생 묘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