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추8

고추가 익어간다. 빨간 고추가 마당에 널려있으면 가을이 시작되었음을 알려 준다고 했는데 요즈음에는 품종 개량에 조기 재배를 하다보니 이미 여름부터 홍초가 수확된다. 수확기쯤 되면은 가장 골치 아픈 적은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가 농부를 괴롭힌다. 농약을 쳐도 사실상 퇴치가 잘 안 되는 벌레들이다. 성충의 몸길이가 1.4mm 밖에 안 되는 작은 파리 모양의 생명체가 식물체의 즙액을 빨아먹으며 잎과 새순의 성장을 저해시키며 배설물은 감로에 의해 그을음병을 유발해 광합성을 저해하고 바이러스의 매개체로 간접 피해를 주는 곤충이다. 이 온실 가루의 좀벌은 95% 이상이 암컷으로 교미를 하지 않고도 알을 낳는 처녀생식으로 보통 약 300개의 알을 낳으며 성충의 수명은 10일 정도라고 한다. 2022. 8. 14.
고추 본밭에 심다. 올해는 고추를 비닐하우스를 지어 재배할 계획이었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하우스 작업을 하지 못하고 올해도 노지 재배를 하기로 하였다. 품종은 하이 칼탄. 칼라병과 탄저병에 강한 품종이라고 종묘상에서 붙인 이름이다. 얼마나 효과가 있을는지는 모르겠지만 가격은 포기당 400원으로 고액이다. 금년에는 1.000포기를 심기로 하고 이랑사이 150cm. 에 포기사이 45cm. 이랑 두둑 높이는 관리기 날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좀 깊게 파 두둑을 높여줬다. 2021.5.5 (정식) 2021. 5. 10.
고추(苦草) 본밭에심다. 예전에는 고추는 각자 농가에서 모종을 길러 심고 길렀는데 요즈음에는 거의 모든 작물을 육묘장에서 구입하여 농사를 짓는다. 또한 귀촌하는 분들도 소규모지만 텃밭에 심을 작물은 육묘장에 의존하여 구입하다보니 그 양이 만만치 않을 것이다. 농업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어제(2020.5.8)는 인근 육묘장에서 새로운 품종이라는 "칼탄잡이" 고추 모종을 포기당 400원씩 500포기를 구입하여 미리 준비된 본밭에 심었다. 작년에는 이랑 사이를 130cm 에 포기사이 45cm 였는데 올해는 이랑 사이를 150cm 로 20cm를 더 넓혀 주었다. 2020.5.8 * 모든 작물의 본밭심기 환경 조건은 심은후 비가 내려주면 가장 좋은 조건인데 운좋게 심은후 하루만에 가랑비가 내려줘 인위적으로 물을 주는 수고도 덜어 주었.. 2020. 5. 9.
고추를 수확하다. 400 여 포기를 심었던 고추의 익은(붉은)고추를 지난 8월2일자에 첫 수확을 시작으로 1주일 간격으로 홍초를 따서 약 3일정도 그늘에서 숙성과 건조를 시켜 세척후 건조기에서 마지막 건조 작업으로 마무리가 된다. 고추는 다른 작물에 비하여 병충해의 피해가 아주 심한 작물로 균과 충을 방제할 수 있는 약제를 살포하지 않으면 사실상 제대로된 수확이 어렵다. 허나 수확기 적정 이전에만 약제를 살포해주면 잔류농약 성분이 그리 남지 않으며 세척후 건조기에서 고온에 건조가 이루어 지므로 막연하게 농약에대한 두려움은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된다. 고추는 원산지가 남아메리카로 다년초로 가지과에 속하며 대표적인 맛은 매운맛으로 캡사이신(capsaicin)이란 성분으로 신경통.근육통에도 효과적이라 한다. 우리나라에 고추는.. 2019. 8. 14.
고추 지주세우기 요즈음은 잘 사용하지않는 굵기가 22mm 철제 파이프를 가지고 고추도복방지 지주로 활용을 해봤다. 본지주는 길이2m 짜리 파이프를 약 180cm 간격으로 깊이가 약40~50cm 박히도록하였고 가로대는가장 아래에 30cm로 짤라 십자가 모형으로 고정을 시켰다. 그리고 고추의 생육에따라 가로대 파이프를 50cm 길이로 짤라 다시 고정을 시켜 양 끝부분에 줄을 매어준다. 가로대 파이프 끝에는 고추따기 작업이나 제초작업시 다칠 염려가있어 사용 못하는 작업용 장갑 손가락부분만 짤라 끼워주었다 모든것은 다 재활용이다. 2019. 7. 8.
고추와 들깨 고추 400포기를 포기당 200원씩 구입하여 4월28일날 이랑사이 130cm. 포기사이 45cm로 심어놓고 5월25일날 고추 지주대를 4포기 간격으로 세워 주었다. 뻐꾸기가 울면은 들깨씨를 심어야 한다는 들깨는 5월16일날 파종하여 발아되어 속잎과 이제 본잎이 나와 조금 지나면 정식할 밭에 옮겨도 될거같다. * 2019년 5월27일 촬영 2019. 5. 31.
고라니 만행 각종 농작물을 뜯어먹어 피해를주는 동물을 농사꾼들은 고라니의 소행으로 본다. 노루의 개체수는 매우 적고 눈에보이는 동물은 개체수가 많은 고라니라고 생각한다. 고추를 정식한지 2일만에 고추밭에 들어와 멀칭비니루를 망쳐놓고 보드러운 고추를 잘라 먹어 버렸다. 작년에는 무우와 배추를 다 뜯어먹어 아예 포기를 해 버렸는데 또다시 고라니와 전쟁이다. 가끔 인터넷을 검색 하다보면 고라니 멸종위기라는 글들을 보는데 어떤 근거로 그런지 모르겠지만 멸종위기가 아니라 천적이 거의없는 관계로 너무많은 고라니로인해 농민들에게는 골치덩어리 고라니임을 알아야 할거같다. 일단 고추밭 주변 울타리를 세워본다. 고추 생장점 부분을 뜯어 먹어 버렸다. 울타리 작업을 할수밖에 대부분 사람들은 고라니를 노루라 부른다. 노루와 고라니의 큰 .. 2019. 5. 8.
고추모 정식(3.29) 애지리 채소 재배 비닐 하우스에 고추묘를 육묘장서 접목한 묘를 포기당 350원에 사오고 다른모종 (토마토.오이.가지.상추)묘는 친구 후배한테 얻어와 심는데 많이 남을것 같아 이웃과 나눠도 충분한 양이 될거 같습니다. 이 면적이면 오시는 손님 접대용과 자급자족이 될지 모르겠네요.. 2012.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