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시내를 투어 하기 위해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여 6 인용 벤츠에 나눠 타고
바티칸의 라오콘이 발견된 장소. 콘스탄티노 개선문이 보이는 에스퀴리노 언덕 부근에서
출발하여 포로로마노가 한눈에 보인다는 카피톨리노 언덕을 향한다.
* 라오콘(Laokoon) - 안테노르의 아들로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포세이돈 신전의 사제 트로이전쟁 막바지에
그리스군이 거대한 목마를 해안에 남겨 놓고 거짓으로 철수하였을 때 라오콘은
그리스 인들이 두고 간 목마를 절대로 성 안으로 들여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며 목마를 향해
창을 던지며 트로인들에게 목마를 불태워 버려야 한다고 경고 하다가
신들의 노여움을 사 바다에서 나온 뱀에게 목숨을 잃어버린다.
* 안테노르(Antenor) - 그리스 로마 신화에 트로이의 장로로 트로이 전쟁 당시
화평을 주장. 그리스 사절단을 보호해 주었으나 후대 작가들에 의해
트로이를 배신한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 트로이 섬으로 운반되는 목마
라오코온 군상(Laokoon)
* 1506년 로마의 한 농부가 에스퀴리노 언덕 포도밭에서 일하다가 공중목욕탕
유적에서 라코온의 최후를 표현한 조각상을 발견하였다.
이 조각상을 로마의 역사가 플리니우스 가 박물지에서 극찬했던 조각상 작품이며
미켈란젤로는 이 조각품을 "예술의 기적"이라 하였다고 한다.
* 라오콘 군상은 헬레니즘 시대 기원전 200년 대리석 조각 작품으로
바티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라오콘의 최후 모습
카피톨리노 언덕을 가기 위해 차에서 내려 도보로 이동 중.
* 1) 꽁꼬르디아 신전 (Templum Concordia)
기원전 367년 평민들도 집정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리키니우스 섹스티우스법의
제정을 기념해 세워진 신전.
* 리키니우스 섹스티우스법 - 고대 로마의 법으로 호민관이었던 리키니우스(BC 4세기)와
섹스티우스의 제안으로 BC 367년에 통과된 법.
정치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 두 가지 내용.
2)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Arcus Septimius Severus)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가 자신의 재위 십 년과 그의 두 아들이 메소포타미아와
아라비아에서 가장 승전한 것을 기념하여 204년 세운 개선문.
*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 로마 제국 20대 황제 (145~211)로
로마 황제 자리의 세습제를 사실상 시작한 황제.
3) 원로원(Curia)
기원전 670년 처음 세웠으며 303년에 보수하여 현재의 모습 대리석 장식 바닥.
4) 라피스 니제르(Lapis Niger)
검은 대리석이란 뜻으로 로마를 세운 로물루스의 무덤으로 추정.
* 로물루스(Romulus) - 로마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전설적인 로마의 초대 왕으로
쌍둥이 동생 레무스와 함께 티베리스 강에 버려졌으나 암 늑대의 젖을 먹으며 자라나
팔라티누스 언덕 기슭에 새 도시 로마를 건설하였다.
5) 사투르누스신전(Templum Saturnus)
주피터의 아버지인 땅과 농업의 신 사투로 누스에게 바쳐진 신전으로
기원전 497년 건축 국가의 중요 보물 보관.
남아있는 8개의 기둥 4세기 때 증축 주랑 현관의 기둥.
* 사투르루스(Saturn) - 로마 신화에 나오는 농경신(農耕神)으로 이름은
"씨를 뿌리는 자"라는 뜻으로 로마인은 그리스 신화의 제우스의 아버지인
크로노스와 같은 신으로 본다고 한다.
6) 포카황제 기념원주(Colonna di Foca)
동로마 제국의 포카 황제를 기념하여 608년에 세워졌으며
포로로마노의 유적 중 가장 늦게 세워짐.
* 포카(Foca) 황제- 폭동을 일으켜 황제 자리를 빼앗은 인물로 출신과 업적이 별로
알려지지 않았으며 재위 8년 동안 반대하는 자들을 아주 잔인한 방법으로 살해했으며
황제 자신도 군중들에게 잡혀 살해당하고 죽은 후 사지가 절단당했다.
7) 성스러운 길(Via Sacra)
포로로마노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중요한 길로 로마에서 가장 오래된 길로
카피톨리노 언덕 꼭대기에 있던 주피터 신전으로부터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 바실리카 -. 티투스개선문으로 이어 진다.
8) 바실리카 에밀리아(Bacilica Aemilia)
포로로마노 가장 중심 지역으로 기원전 179년 에밀리아 가문 건립
금융과 사법등의 일을 했던 중요한 곳.
* 9) 티투스 개선문(Arco di Tito)
로마에서 가장 오래된 개선문 베스파시아노 ( 9~79. 로마 9대 황제)와
아들 티투스( 39~81. 로마 10대 황제)를 위해
세워진 개선문으로 문에 새겨진 부조는 로마군의 전쟁 장면을 묘사.
10) 베스타 신전 (Templum Vesta)
기원전 6세기에 세워졌고 로마 제국 천 년 동안 한 번도 불이 꺼진 적이 없다.
신성한 지역 이곳 성화 로마 제국과 가정의 불멸 상징
6명의 처녀 제관에 의해 관리되었고 제관들은 7~8 세기경 귀족 집안에서 선발하여
30년간 성화를 지키는 의무를 수행하며 황제 대우를 받았다. 순결을 잃으면
생매장 처리 되었고 신전 뒤쪽 제관들이 살던 집터가 있다.
11) 카스토르와 폴룩스 신전 (Templum Castor et Pollux)
주피터의 쌍둥이 아들 카스토르와 폴록스에게 바쳐진 신전으로
기원전 484년에 건립되었고 당초에는 코린트식 기둥이 88개 존재하였는데
현재는 3개만 남아 있다.
* 카스트로(Castor) - 그리스 신화 속에 영웅 제우스와 레다 사이의 아들로
로마 신화에서는 폴록스와 쌍둥이 형제
* 코린트 (Corinth) 양식 - 헬레니즘 미술에서 나타난 화려한 장식이 특징으로
아테네의 올림피에이온. 판테온. 카스트르 신전. 등에 사용
* 헬레니즘 (Hellenism) - 알렉산드로스 대왕 제국 건설 이후 고대 그리스의
뒤를 이어 나타난 문명.
12) 바실리카 줄리아 (Bacilica Giulia)
기원전 54년 시저가 짓기 시작하여 아우구스투스 대제가 완성하였다.
이곳이 로마의 법이 만들어진 법원으로 포로로마노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
* 아우구스투스 (Augustus) - 로마제국 초대 황제 (BC 27~AD 14)
13) 시저 신전 (Templum Caesar)
기원전 44년 시저의 시신을 화장했던 장소로 아우구스트 대제가 시저를
신격화시키기 위해 기원전 29년 세운 신전이다. 인간을 위한 최초의 신전 이다.
* 시저(Caesar) - 율리우스 카이사르 (B.C 100?~ B.C 44)라 하며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으로 영어명은 시저이며 B.C 60년
크라수스. 폼페이우스와 같이 제1차 삼두정치를 행 하였고 이탈리아 폼페이우스를 격파
이집트 클레오파르나를 왕 위에 앉히고 독재정치가로 블루투스 공화파에게 암살을 당 하였다.
* 1차 삼두정치(三頭政治) - 로마 공화정 말기 율리우스 카이사르(시저).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마르쿠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가 비밀리에 맺어진
정치적 협력 관계를 말한다. (기원전 59년에 설립)
* 카피톨리노 언덕에서 바라본 포로로마노 전경
* 꽁꼬르디아신전(Templum Concordia).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Arcus Septmius Severus)
사투르누스신전 (Templum Saturnus)
꽁꼬르디아 신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사투루스 신전
카피톨리니 광장
카피톨리니 박물관
테베라강의 신
나일강 신
로마여신 미네르바
마르크스 아우렐리우스의 청동 기마상
캄파톨리오 언덕 계단 (미켈란젤로가 역투시도법으로 설계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비토리오 엠마누엘레 2세 기념관. 통일관
로마시내
산타마리아 인 아라 코엘리 성당
* 하늘에 있는 성당이란 뜻으로 성당 안에는 산타밤바노라는 아기 예수상이 있으며
이 예수상을 보면 병이 낫는다는 속설이 있다.
이곳은 결혼식 장소로도 유명하다는 가이드의 설명.
이탈리아 AC 로마의 축구선수 "토티"가 이곳에서 결혼식을 올린 성당으로 유명 .
산타밤바노 아기 예수상 (산타마리아 인 아라 코엘리성당)
산타마리아 인 아라 코엘리 성당의 (아라 코엘라 124 계단.
아라 코엘리의 로마집
옛 아파트 건물 유적.
트레비 분수 입구
트레비 분수. (보수공사 중이라 분수는 작동하지 않았음.)
* 트레비(Trevi) 분수를 로마의 조각 천재들이 만든 걸작이라 그런다.
로마에서 가장 큰 바로크 양식 분수로 반인반수(半人半獸)의 해신(海神) 트리톤(Triton)
2명이 이끄는 전차 위에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Oceanos)가 서있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1732년 이탈리아 건축가 니콜라실비(Nicola Salvi 1697~1751)가 설계하여
1762년 후기 바로크 방식의 이탈리아 조각가 피에트로 부라치(Pietro Bracci 1700~1773)가
완성을 시켰다.
트레비 분수의 아름다운 배경은 나폴리궁전의 벽면을 이용한 조각으로 로마시대
바로크 양식의 마지막 걸작이라 한다.
* 바로크(Baroque) 양식 - 17~18세기 유럽에서 가톨릭 국가에 유행한 예술 양식으로
르네상스 붕괴 이후 유행한 양식이다.
바로크는 원래 "불규칙하게 생긴 진주"를 뜻하는 말로 바로크란 용어는
포르투칼어에서 유래하였으며 최초의 바로크 건축물은 이탈리아의 "제수 성당"으로
제수성당은 로마에 위치하며 예수회의 본당으로 1568년도에 착공하여
1580년에 완공을 하였으며 제수란 이탈리아어로 " 예수의 신성한 이름 성당"
이라는 뜻
* 트리톤(Triton) - 그리스 신화 속에 바다의 신으로 포세이돈 (Poseidon)의 아들로 상반신은
인간이고 하반신은 물고기 모습이다.
* 오케아노스(Oceanos) - 하늘의 신 우라노스(Uranus)의 아들 태초의 신 가이아가
홀로 낳았으며 그리스 천지창조의 앞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영어 오션(Ocean) 바다는 대양의 신 오케아노스(Oceanos)에서 명명.
* 트레비 분수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것은
등을 돌린 채 첫 번째 동전을 던지면 로마에 다시 올 수 있고
두 번째 동전을 던지면 사랑이 이루어지고
세 번째 동전을 던지면 그 사랑이 깨진다는 전설이 있어
한 해 동안 던져진 동전이 2023년에는 23억 원이나 되어 가톨릭 자선단체
까리따스에 기부를 한다고 한다.
'명승 자연과문화를 찿아(국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티칸 성베드로성당 (이탈리아) (1) | 2025.01.02 |
---|---|
로마의 유적 (이탈리아) (0) | 2025.01.02 |
로마를 가다. (이탈리아) (0) | 2024.12.17 |
아말피타나 (Amaltitana)이탈리아 (0) | 2024.12.06 |
아말피(Amalti) 해안 (이탈리아)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