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는 양다리용 디딜방아와 우리 민족이 발명한
세계 유일의 우수한 연장의 하나로 우리 농경문화의
애환이 어린 농기구라 볼수 있습니다.
지게의 유래에 대한 기록은 1690년(숙종16) 역어유해(譯語類解)에
당시에는 청나라 말 교본으로 지게의 뜻을 배협자(背狹子)로 적었고
1748년(영조24)에 출간된 동문유해(同文類解)에도
만주말 자습서의 저자도 같이 기록하였으며
지게를 우리말에 가깝게 적은 책은 1766년 종보산림경제 지에
부지기(負持機)로 기록되어 지기에 진다의 뜻 부(負)를 덧붙이어
18세기에 지게라는 용어로 정착 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지게의 종류에는 쪽지게.옥지게.거지게.물지게.가 있었고
요즈음 현대문명에서도 사용되는 지게차도 있습니다.
미군들이 우리나라에 와서 지게를보고 A자 모양을 닮았다고"Aframe"라고
불렀다고 하네요.일본에서는 우리 지게를 "조센가루이"라 부르며
사용하고 있으며 대마도 지방에선 우리이름 그대로 "지케".또는 "지케이"라고
부른답니다. 6.25전쟁때는 어디든 보급품을 운반했던 지게부대가 유명했고
피난민들이 지게에 가족(노부모.어린이)을 짊어지고 가는 모습이
빛바랜 옛 사진에서 가끔 볼수있었던 슬픈 역사도 간직하고 있습니다.
지게의 명칭은 지게의 좁아진 맨 윗부분을 "새고자리"
지게의 두짝을 서로 짜여 있도록 가로질러 박은나무를 "세장"
세장은 4개에서 6개 정도로 제작되는데 맨위의 세장을 윗세장으로
윗세장 바로 아래를 밀삐 세장으로 멜빵 위 끝을 매며
가운데 세장은 허리세장으로 등태를 받쳐주는 기능을 합니다.
짐을 떠받치는 두가지의 나무를 "지게가지"라 하며
지게를 질때 등이 닿는곳이 "등태"
지게의 아래부분 양 두 다리를 "목발"이라 부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