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승.자연과 문화를 찿아(국내)/전라도45

해남.땅끝마을(전남.해남) 땅끝. 일명 토말(土末)이라 부르는 한반도 끝자락. 어쩌면 한반도의 시작 일수도.. 땅끝마을에서 하룻밤을 지내고 이른 새벽녘 고산 윤선도의 채취를 곳곳에 남겼다는 보길도 배를 타기 위해 여객선 선착장을 향한다. 해남 관광안내 리후렛에 이곳이 북위 34도 17분 32초라 기록되어 있고 땅끝 전망대가 세워진 사자봉 정상은 해발 156.2m 이곳에서 노화도 까지는 배편을 이용하고 노화도에서는 노화도와 보길도를 이어주는 보길교를 이용하여 차량 이동이 가능하여 렌터카도 함께 배에 실어 본다. 2022.2.12. 맴섬 * 선착장 옆에 위치한 맴섬은 일년에 두 번 두 개의 맴섬 사이로 떠오르는 일출이 최고의 비경이라 한다 ( 한번. 2월15~17일 두 번째. 10월 25~27일) 형제섬(맴섬 앞쪽에 위치) 땅끝 표지.. 2022. 3. 15.
무주구천동 33경 일반적으로 무주구천동으로 알려져있는 덕유산에서 설천면으로 흘러내리는 계곡에는 경관이 뛰어난곳을 무주구천동 33경이라하여 1경 나제통문에서 33경인 해발 1614m의 덕유산 향적봉 까지를 말한다. 무주리조트를 같다오다 33경중 3곳을 들려봤다. 시작 지점인 1경 나제통문과 11경 파회. 12경 수심대를 찿아봤다. 2019.8.25 나제통문(羅濟通門) 언제 만들어 졌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다고 한다.삼국시대에 신라와 백제 경계 지점으로 신라.백제 뒷자를 따와 나제통문이라 부르게 되었다고하며 높이는 3m 길이는 10m. 현재는 설천면과 무풍면의 경계선이다. 나제통문은 33경중 제 1경이다. 나제통문에서 백련사 까지의 길이 20km를 무주구천동계곡이라 부른다. 수심대(水心臺) 주소는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로 무주구.. 2019. 8. 29.
하멜기념관 (전남.강진) 하멜표류기의 저자로 잘 알려진 네덜란드사람 헨드릭하멜. 이곳 강진땅에도. 하멜의 흔적을 전라병영성 맞은편 건너 하멜기념관에서 찿아볼수있다. 이곳은 전남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80에 위치하고있다. 우리나라를 서양에 최초로 알린 하멜보고서의 저자 헨드릭하멜을 기리는 전시공간이다. 2019.6.8 강진하멜풍차 * 하멜은 1653년 배를타고 네덜란드를 출발하여 제주도 서귀포시 안덕면에 표착 조선에 13년간의 억류생활이 시작되어 1657년 강진의 전라병영에 이송되며 7년간을 강진 병영에 살게된다. 1663년도에 전라좌수영에 배치되며 잡역에 종사하다 1666년9월 탈출을 시도하여 일본 나가사키를 거쳐 1668년도에 본국으로 귀국하여 13년간의 한국억류기간의 하멜표류기를 저술 하게된다. 기념관 앞에 세워진 하멜동.. 2019. 7. 8.
전라병영성의 이곳 저곳. 전남 강진의 전라병영성안 고태스러운 노거목과 연못이 운치를 더해주며 남문 진남루옆 노송 한그루의 품격은 아주 멋스럽다. 아직 공사가 진행중이며 관리가 제대로 되지는 않았지만 성과 4개의성문.성안의 푸른 초원과 연륜이 뭍어나는 거목들의 풍경은 아름답다. 어수선 하지만 있는 그대로의 모습도... 2019. 7. 2.
강진전라병영성 (康津全羅兵營城)의 성문 (전남.강진) 1997년 4월18일자로 대한민국 사적 397호로 지정된 전라병영성. 이곳은 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병영성로 175번지. 조선조 500년간 호남.제주의 53주 6진을 통할한 육군 총지휘부였던 병영성은 1417년(태종17) 초대 병마절도사였던 마 천목 장군이 축조 하였다고 한다. 병영성의 규모는 성곽길이가 2820척(1060m). 높이가10척8촌(3.5m ). 성안에는 9개의 우물.5개의 연못.하마비.3개의 병사 선정비가 있다고한다. 면적은 93.139평방미터(약28.000평). 성곽을 한바퀴돌며 동.서.남.북 아름다운 성문을 모아봤다. 동문 * 성문의 앞을 가리어 빙 둘러쳐 성문을 방어하는 작은성은 옹성(甕城)이라 부른다. 동문 안쪽 동문서 바라본 남문(진남루) * 성위의 낮은 담장은 여장(女墻)이라 부.. 2019. 7. 1.
강진설록다원(전남.강진) 전남 강진 성전면에 있는 백운동별서정원을 돌아 나오면 월출산 기슭 성전면 백운로 93~25 일원에 펼쳐진 설록다원을 만날수있다. 면적이 33.3ha(10만평) 의 규모로 장관을 이룬다. 1980년도부터 이곳을 개발하여 태평양 계열사인 주) 장원산업에서 조성 하였다고 한다. 이곳 강진은 광복 직전까지 "백운옥판차"라는 전차를 생산한 차산지 였다고한다. 10만평중 약 8만평은 일본 품종인 야부키타종이며 약2만평은 재래종이라 한다. 2019. 7. 1.
백운동원림 12경(전남.강진) 2019. 6. 25.
백운동 원림(白雲洞圓林) 전남.강진 근래(2019.3.13)에 명승 제115호로 지정된 숲속의 정원 강진 백운동원림을 찿았다. 이곳은 월출산 자락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안운마을. 호남의 3대정원으로 불리어지는곳. 행정구역 주소는 전남 강진군 성전면 월하리 546번지외 32필지 69.100평방미터(20.900평) 백운동 지명은 월출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다시 안개가되어 구름으로 올라가는 마을 이라고 불려졌으며 현재 백운동 별서정원 주인은 11대인 이승현씨로 백운원림은 내원(內園)과 외원(外園)으로 구분되며 이곳을 최초로 정원으로꾸민 조선중기 처사 이담로가 바위에 새긴글씨 白雲洞(백운동)이란 각자가 남아있다. 백운동정원은 조선중기 처사 이담로가 꾸민 정원으로 호남별서 전통정원으로 원형이 잘 보전 되어 있다고 한다. * 호남의 3대정원은 담.. 2019. 6. 24.
다산초당(茶山艸堂) 전남.강진 지역의 단체인 성주향토사연구회에서 주관하는 행사로 매년 두차례 문화유적답사여행. 이번엔 다산 정 약용(1762~1836)의 자취가 스며있는 전남 강진을 다녀왔다. 먼저 찿은곳은 다산이 귀양살이 18년중 10년(1808~1818)의 세월을 보냈다는 다산초당을 다산이 다산초당서 백련사에 거처했던 해남 대둔사 승려 혜장(惠藏)선사(1772-1811)를 만나기위해 오르내렸던 동백나무 숲길 약 800m 거리를 걸어 유명한 "목민심서"(牧民心書) 의 탄생지 다산초당(茶山艸堂)의 뜰에 올라 다산 정약용의 초상화앞에 서본다. 2019.6.8 다산초당(사적 107호) * 본래 이 건물은 다산초당 아래 귤동마을에 살던 해남윤씨 집안의 귤림처사 윤단의 산정이었다고 한다. 정약용의 어머니는 해남윤씨의 윤두서의 손녀이며 윤두서.. 2019. 6. 19.
백련사 동백숲 (전남) 동백꽃은 지고 없지만 전남 강진군 도암면 만덕산 기슭 동백나무 숲길을 걸어본다. 남쪽으로 와야만 볼수있는 동백나무 이곳은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151호 약 1500 여그루의 동백이 백련사 사찰을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으로 50.000 평방미터(약 15.000평)에 동백나무 숲을 이루고있다고 한다. 동백나무는 차나무과로 상록교목으로 겨울에도 푸른잎을 볼수있고 거기에 꽃까지 볼수있는데 동백꽃은 피는 시기에따라 춘백(春栢).추백(秋栢).동백(冬栢)으로 구분되며 이곳 백련사 동백은 춘백에 해당 된다고 한다. 2019.6.8 우리나라의 동백은 서해안 충남 서천에서 남해안과 동해안으로는 울산까지 자라고 섬지방은 옹진 대청도(천연기념물66호)와 울릉도까지 분포되어 있다. 만덕산 백련사 일주문 우리나라에 동백꽃으로 유명한.. 2019. 6. 13.
고군산군도.선유도(전북.군산) 전북 군산시에서 남서쪽으로 50km 16개의 유인도와 47개의 무인도로 이루어진섬 고군산군도. 이곳의 중심섬인 선유도를 오후 늦게서 신선이 놀았다는 그곳을 향해 가본다. 선유도의 스카이라인. 뒤쪽은 망주봉 선유대교 망주봉(104.5m) 선유도 해수욕장 선유도 해수욕장에서 바라본 선유대교 장자대교(선유도와 장자교를 연결) 장자교. 멀리 망주봉이 보인다. 장자마을 낙조대서 바라본 선유봉줄기 선유봉 장자마을 낙조대 가는길 장자대교 2018. 9. 3.
채만식(蔡萬植)문학관(전북.군산) 채만식문학관은 전북 군산시 강변로 449(내흥동285) 금강변에 위치 하고있다. 강 건너편에는 서천 장항항이 보이며 금강물이 유유히 흘러가는 이곳에 문학관 건물의 모형은 금강변에 정박한 배를 형상화 하였다고 한다. 채남식의 문학은 다작의 작가로 알려져 있으며 장.단편 소설만 200 여편에 달하고 동화나 수필등 모든 장르를 포함하면 1천여편이 넘는 작품을 남겨놓았다. 배를 형상화한 채만식문학관 마당 잔디장에 누워있는 백릉 채만식 소설비 문학관 옥상에서 바라본 금강 2018.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