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교자11

서짓골 성지 (충남.보령) 2024.7.13충남 보령호를 끼고도는 도로와 접하고 있는 서짓골 성지는 1866년(병인년) 3월 30일 보령 오천 갈매못 성지에서 참수형으로 순교한 5 명중 4명의 유해가 안장되었던 곳으로 안토니오 다블뤼주교. 루카 위행 신부. 베드로 오 매트르 신부. 장 주기 요셉 신부. 4위의 시신은 서짓골 신자들에 의해 9월 1일 날 이곳에 묻혔다.나머지 1위의 시신 황석두(루카)의 시신은 가족들에 의해 삽티에 안장이 되었다.그로부터 16년 후인 1882년 순교자 유해 발굴 수습에 의해 유해는 일본 나가사키오우라 성당에 12년간 모셔지게 된다.그 후 1894년 서울로 유해가 모셔져 용산 신학교를 거쳐 1900년 명동성당에 모셔졌다.다시 1967년에 서울 절두산에 안장이 되었다.2016년도엔 하부 내포성지 주관으로.. 2024. 7. 27.
홍주순교성지(충남.홍성) 2023.4.16 충청남도 홍성읍에 위치한 홍주순교성지는 읍 소재지 대부분이 순교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섯 곳에 분포되어 있다. 이곳 홍주성지의 대표적인 특징은 전국에서 두 번째로 순교자가 많은 성지이며 또한 충청도의 첫 순교터에 6곳의 순교 터와 증거 터가 있으며 예비 신자들의 모범 성지라고 한다. 이곳에서 212명이 순교를 하였고 기록되지 않은 순교자만 1000여 명이 넘는다고 하니 순례객들을 숙연하게 만든다. 내포의 사도라 불려지는 이 존창(李存昌.루도비코 곤자가)에 의해 복음의 씨앗이 뿌려진 홍주 성지를 읍성 안에 위치한 순교1터(증거 터 목사 동헌)부터 순례를 시작해 본다. * 홍주 6곳 순교터 - 순교1터(증거 터 목사 동헌) - 순교 2 터(순교 터 홍주옥(獄) - 순교 3 터(증거 터 .. 2023. 5. 18.
합덕성당.순교사적지(충남.당진) 이곳은 천주교 교구에서 정한 순교사적지(殉敎史跡地) 로 1990년 기준으로 합덕성당에서 사제30명. 수녀54명. 수사 5명을 배출 하였다고 한다. 합덕성당(合德聖堂)은 충청도 지방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로마네스크 양식의 벽돌조 성당이다. 뛰어난 건축미와 지역민의 근대 의식 성장에 기여함으로 충청남도 기념물 제145호로 지정되었다. 당초에는 충남 에산군 고덕면 상궁리에 1890년에 양촌 성당으로 건립하여 1899년에 초대 본당신부 퀴를리에 신부가 현 위치 대지를 매입하여 건물을 신축하고 합덕성당으로 이름을 개칭하였다가 1961년 합덕읍 운산리에 신합덕 성당이 신설되면서 구 합덕이라 부르다 1997년 다시 합덕성당 이름을 돼찾았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929년에 새로 지어진 건물이다. 이곳은 조선시대 내포.. 2023. 4. 7.
강원감영(순교사적지)강원.원주 감영은 조선시대 천주교 신자들의 순교지 인 곳이 많다. 이곳 강원감영도 이곳에서 순교한 순교자 세 분이 2014년도에 시복(諡福)되었다. 김강이(시몬)는 충청도 서산 출신으로 입교 뒤 전라도 고산땅에 살다가 1801년 신유박해 때부터 피신 다니며 복음을 전하다가 1815년 을해박해 때 강원도 울진(현. 경북)에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고문으로 옥사를 하였고 최해성(요한)은 최경한 성인의 일가로 신유박해 때 조부가 유배된 충청도 다락골(청양) 에서 원주 서지론으로 이주하여 교우촌을 이루었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고문을 닿한뒤 참수 치명 당 하였다. 최 바르지 타는 황사영 알렉시오를 숨겨 준 죄목으로 유배당한 남편이 죽자 오빠가 사는 서지 마을에 와서 살다가 강원 감영에 갇힌 조카 최해성을.. 2023. 3. 8.
공세리성당(충남.아산) 가톨릭에서는 성스러운 성지로 그리고 일반인들에게는 유명한 영화. 드라마 촬영 장소로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진 충남 아산 공세리 성당을 아주 오랜만에 찿았다. 초입부터 만나는 노거수가 유구한 역사를 말해준다. 앙상한 나뭇가지만 남아있는 나무들 덕택에 고딕양식(Gothic) 건물인 성당 건물을 멀리서도 볼 수 있어 겨울만의 계절에 느낄 수 있는 모습이다. 이곳은 이중환의 택리지에 충청도에서는 내포(內浦)가 가장 좋은 곳이다. 산이 험하지 않고 평야가 넓으며 바다가 있어 농수산물이 풍부하고 예술과 음식 문화가 발달한 곳이다라고 한다. 또한 이쪽 지방에서 한국의 가톨릭사제 1대(김대건.金大建) 신부와 2대(최양업.崔良業) 신부를 탄생시킨 지역으로 한국천주교회 역사의 중심지라 할 수 있다. 아산만을 바라보는 공세리.. 2023. 2. 5.
한티가는길.5구간(순교자묘지구간) 사랑의 길 5구간 순교자 묘지 입구에서 한티마을 사람 최종 도착점까지는 약 2.6km 소요 시간은 1시간 20분 정도 예상. 1815년(순조15) 을해년에 경상도에서 벌어진 천주교 박해사건으로 추정하는 37분의 무명 순교자와 한티마을 사람들을 만나러 가본다. 도랑을 건너면 무명 순교 묘지를 만난다. 십자가에 29번 첫 묘지를 만난다. 무덤 앞에서 간단한 묵념이라도.. , 순교자 묘지에는 석물 십자가와 둘레에는 영산홍을 심어 놓았다. 숯가마터는 오른쪽으로 옹기골 옹기골에서 도로아래 터널용 통과한다. 터널을 나와 오른쪽으로 숯가마 방향으로 가면 31번 묘지를 만난다. 숯가마터 숯가마를 지나 이젠 한티마을 사람들을 향해서. 다시 도로 밑 터널을 건너간다. 여기서 한티마을 사람들 방향으로 십자가의 길 14처중 .. 2022. 1. 28.
한티 순교자 성지(37기 묘지)경북.칠곡 한티 순교 성지는 순교자들이 살고. 죽고. 묻힌 곳으로 1815년경부터 박해를 피해 모여 살던 천주교 신자들이 병인박해가 한창인 1868년에 모두 순교하고 묻힌 거룩한 땅이다. 현재까지 확인된 37기의 순교자 묘는 오솔길을 따라 참배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묘지에 부여된 고유 번호와 상관 없이 오솔길 방향에 따른 순교자의 무덤이다. * 4기 (조 가롤로(8번). 최 바르바라(7번 조 가롤로의 아내). 조 아기(6번. 조 가롤로의 동생) 서 태순(16번. 베드로) 의 묘는 신원을 알 수 있고 33기의 묘는 무명 순교묘다. 주소: 경북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5 2022.1.21 1번 묘지 아래 높이 14m 대형 십자가. 이곳이 "한티가는길" 마지막 45.6km 지점 "한티마을 사람" 마지막 스탬프가 있.. 2022. 1. 22.
성지. 김 범우(金 範禹) 묘역 순례(경남.밀양) 대한민국 천주교 순교자 역사에서 박해의 시발점에서 중심 인물 이었던 김 범우(1751~1786) 묘역을 순례 하기위해 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산 102번지 만어산(670m) 중턱을 찿았다. 김 범우는 조선시대 역관 이었던 김 의서(金 義瑞)의 아들로 1773년 역과에 합격하여 종6품인 한학주부 벼슬을 역임 한 인물로 지금의 서울 명동성당의 전신인 명례방의 주인으로 바로 이 명례방에서 모임을 갖던 천주교인들이 형조의 금리(禁吏) 들에게 적발되어 체포되는 사건 을사추조적발사건(乙巳秋曹摘發事件)으로 도배형(徒配刑)을 받으며 유배지에서 옥살이 후유증으로 죽음을 맞이한 한국 천주교 신자 최초의 순교자(증거자)가 된다. 공식적으로 조정의 사형 선고를 받고 형 집행당한 최초의 순교자는 윤지충(바오로 1759~1.. 2021. 1. 4.
순교자 이도종(李道宗)목사 성지(제주.대정읍) 이곳은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안성리 1639번지에 위치 하고 있다. 바로 옆에는 추사 김정희 기념관이 있고 대성성지와 접하고 있다. 대정교회는 제주출신 1호 목사이며 1호 순교자인 이도종(李道宗)1892~1948 목사의 유해와 순교기념비가 봉안되어있는 제주 기독교 성지다. * 독립운동가로서 국가유공자이며 목회자로 삶을 살아간 이곳에 "순교자이도종목사" 성지라는 안내판을 세워 놓았다. 2020. 2. 21.
부산 오륜대(五倫臺)성지(聖地) 부산오륜대 순교자성지는 부산시 금정구 부곡동 1-4번지(오륜대로 106-1)에 순교자성당.순교자박물관.십자가의 길.로사리오길.성모동굴로 이루어져 있으며 병인박해(1868년)때 부산 장대골에서 동래지역 선교회장 이정식(요한) 가족등 8명이 처형 당했으며 처형자중 이정식(요한)과 양재현(마르티노) 는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에 포함 시복과 시성대상에서 2014년 2월9일자로 시복이 결정 되었다. 또한 순교자성당에는 순교자 26위 성인 유해가 모셔져 있는곳이다. 성지를 알리는 오륜대 순교자성지 표지석 성지 입구에 들어서면 왼쪽 벽면에 순교복자 이정식(요한) 양재현(마르티노) 흉상을 볼수있다. 순교자박물관 앞에 세워놓은 대원군 척화비(斥和碑) 이 척화비는 복제로 서울 절두산순교성지에도 복제 척화비가 세워져 있으.. 2019. 5. 17.
전주전동성당(全州殿洞聖堂)전북.전주 사적 제288호로 지정된 전동성당은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전동에 위치 이 성당은 조선시대 천주교도의 순교터에 세운 성당으로 정조15년(1791)에 최초의 순교자 윤지충(바오로).권상연(야고보)그리고 순조 원년(1801)에 호남의 첫 사도 유항검(아우구스티노)과 윤지현(프란치스코)등이 풍남문 밖인 이곳에서 박해를 받고 처형 되었으며 이들이 순교한 뜻을 기리고자 1908년 프랑스 신부 보두네(Baudou net)가 성당 건립에 착수 1914년에 완공. 웅장하고 화려한 로마네스크 복고 양식의 이 건물은 인접한 풍남문.경기전과 더불어 전통 문화와 서양문화 융합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전동성당(殿洞聖堂)전경 예수성심상 전동성당정면 성당입구 전동성당 안 성당제대 성당뒷모습 사제관 성모상 성모자상 윤지충과 권상연(한.. 2015.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