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문화유산8

고창 고인돌 유적.박물관(전북.고창) 사적 제391호로 지정된 고창지석묘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2000년 12월 2일 자로 등재되었다. 또한 고창군 전 지역이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이 되기도 하였다. 고인돌 유적은 세계에서 가장 밀집 분포된 고인돌 군집으로 알려져 있다. 탁자식. 바둑판식. 개석식 등 다양한 형식의 고인돌이 고창천을 따라 도산리. 죽림리. 상감리 일원에 약 500 여기의 고인돌이 약 1.8km 구간에 분포되어 있다. 죽림선사마을 고인돌 유적은 박물관에서 약 600m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도보나 탐방열차를 타고 이동할 수도 있다고 한다. 주소: 전북 고창군 고창읍 고인돌공원길 74 고인돌 박물관 입구 고인돌 박물관 2023. 9. 30.
강화 고인돌(인천.강화) 아침부터 비가 오더니 우산을 쓰지 않으면 옷이 젖을 만큼 온다. 카메라 앵글에 빗방울이 튀어 촬영 하기에는 아주 악조건이지만 소나기가 내리는 것보단 그래도 위로가 된다. 15여 년 전에 답사를 했던 이곳은 우리나라 고인돌중에 가장 대표적이며 크기도 가장 큰 고유번호 18번 화강암 북방식 고인돌이다. 15년 전보다 주변이 많이 변했다. 지방자치제가 되면서 조금만 유명세를 띄거나 지명도가 있으면 경쟁적으로 시설이 들어서고 여러 각도로 개발하는 풍경을 볼 수 있다. 강화는 대다수 탁자식 고인돌인데 이곳 부근리 고인돌은 모두 10기(基) 중 비 지정된 128번 고인돌을 제외하곤 9기가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지만 현재는 4기만 남아 있다. 선사 청동기 시대에 이루어졌으며 면적은 69,293평방 미터에 달한다. 1.. 2022. 11. 18.
대흥사 느티나무(전남.해남) 전라남도 해남읍에 대흥사 경내에 위치한 이곳은 명승 제66호이며 1979년도에는 전남 도립공원으로 지정되고 2018년에는 한국의 산지 승원 7곳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조계종 22교구 본사 이기도 하다. 범종각 옆.대웅보전을 가다 오른쪽 약간 경사진 언덕에 뿌리가 이어진 느티나무를 볼 수 있다. 연리근(連理根)이라 하여 "행운이 오는 나무" "사랑나무" 또는 "천년의 인연" 이라고도 불려지는 나이 500살의 느티나무다. 일반적으로 줄기가 겹쳐지면 연리목이라 부르며 가까이 자라는 두 나무가 서로 만나 합쳐지는 현상을 연리(連理)라 부른다. 주소: 전남 해남군 해남읍 삼산면 대흥사길 400 2022. 2. 14.
하회(河回)마을 (경북.안동) 한국의 역사마을 안동하회마을은 우리나라에서 10번째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민속마을로 풍산류씨가 600여 년간 대대로 살아온 한국의 대표적인 동성마을로 와가와 초가가 잘 보존된마을. 조선시대 대유학자인 류운룡 선생과 임진왜란때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형제가 자라난 마을이다. 유구한 역사와 함께 마을에서 보유한 문화재가 22점이나 된다. 부용대에서 바라본 하회마을전경 * 마을 이름을 하회(河回)라고 한 것은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감싸않고 흐르는데서 유래되었다. 하회 마을은 풍수지리적으로 태극형.연화부구형.행주형에 해당하며 사람이 살기에 가장 좋은곳이라 한다. 섶다리 당상목 600년생 삼신당 느티나무 엣 풍남국교터에 보호수 소나무 2019. 7. 15.
종묘 영녕전(永寧殿) 서울 이곳 영녕전은 추존된 선왕의 부모나 복위된 왕을 모시는 곳으로 건축물이 정전과 구분이 된다. 16개의방에 34위가 모셔져있다. 영녕전은 세종때(1421년)에 종묘에 모시던 태조의 4대 추존왕인 목조.익조.도조.환조와 그 왕비들의 신주를 옮겨 모시기 위해 세워진 별묘로 왕실의 조상과 자손이 함께 길이 평안 하라는 뜻을 담고 있다고 한다. 영녕전 전경 영녕전에서는 봄과 가을에 종묘제례를 두번 봉행 하고 있으며 정전에서는 사계절의 각 첫달에 정해진 날과 섣달을 합쳐 일년에 다섯번 봉행 되고있다. 영녕전은 보물 제821호로 지정되어 있다. * 종묘는 1995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 되었으며 종묘제례는 국가무형문화제 제56호로 지정되었으며 종묘제례악과 함께 2001년도에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었다. .. 2019. 5. 30.
낙안읍성(樂安邑城)전남.순천 낙안읍성을 흔히 이렇게 말한다. 과거와 현재가 만나는 아름다운 동행 이라고. 이곳의 주소는 전남 순천시 낙안면 충민길 30(동내리 437-1 네비게이션은 순천시 낙안면 평촌리 10-2로 안내가 되어있다. 낙안읍성은 조선시대 전기부터 600 여년의 역사를 오롯이 간직하고있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계획도시로 성곽.중요민속자료.등 다양한 문화재와 소리의 고장으로서 가야금병창.판소리등 유무형의 자연자원들이 잘 보존되어 있으며 성내에 주민이 직접 살고있는 대한민국 대표적인 민속마을이다. 낙안읍성의 면적은 223.108평방미터(67500평) 98세대가 228명이 거주하며 문화재 현황은 25종으로 (국가지정10종. 도지정 15종) 2016년도 방문객수는 86만명. 2011년 3월11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 등재.. 2017. 12. 9.
도동서원(道東書院)대구.달성 도동서원이 있는 위치는 대구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35(구지서로 726)에 소재하며 사적 제488호로 지정된 곳으로 우리나라 5대서원에 속하며 한훤당(寒喧堂) 김굉필(金宏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 하기위하여 설립된 서원으로 이곳 도동서원은 1868년(고종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때 없어지지않고 전국 650개 서원중 존속한 47개 서원중의 하나다. 1605년 (선조38)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되어 김굉필 위패를 배향했고 1678년(숙종4) 한강 정구(鄭逑)의 위패가 추가로 배향 되었다. * 우리나라 5대서원 - 도산서원. 사적170호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680(도산서원길 154) 병산서원. 사적260호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30(병산길386) 옥산서원. 사적154호 경주시 안강읍 옥산리7 (옥산서원길2.. 2017. 10. 30.
팔만대장경전.수다라장(修多羅藏)법보전(국보52호) 해인사 대적광전 뒷편 위에는 장경판전(藏經版殿)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가파른 돌 계단을 올라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이란 편액이 걸려있는 출입문을 들어 서야만 국보로 지정된 장경판전 건물을 볼수 있습니다. 돌계단 들머리에 보면은 옛 돌 표지석이 한자로 국보 제52호 팔만대장경판전.그리고 국보 제 32호 팔만대장경판 이란 표지석 2개가 나란이 서 있습니다. 장경판전은 대장경을 모신 건물로 이 형국은 대적광전의 비로자나 부처님께서 법보인 대장경을 머리에 이고 있는것을 나타 낸다는 뜻이 담겨 있으며 장경판전은 처음 세운 연대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나 대장경이 해인사로 옮겨진 해가 1398년임을 미루어볼 때지금의 건물은 조선초 무렵인 1488년쯤에 세워졌으리라고 여겨 지는데 여러 차례에 걸친 부분적인 증.. 2016.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