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불봉10 2020년 가야산 가을 경남합천군과 경북성주군의 경계 지점인 59번국도변 정견대 위치에서 바라본 가야산 만물상과 최고봉인 칠불봉 용기골과 심원골의 10월 하순경 풍경 . 2020.10.26 2020.10.26 왼편으로부터 심원골. 만물상능선. 용기골 심원골 왼편 능선. 심원사 뒷방향 백운동 전경 가야산19경중 하나 길상암 뒷방향 2020. 11. 8. 눈내린 가야산(伽倻山) 2020년 1월 28일 간만에 가야산에 눈이 내렸다. 대충 베낭을 챙겨들고 자동차로 30분 정도의 거리에있는 성주군 수륜면 백운리 주차장에 도착하여 10시반쯤 출발하여 용기골로 해서 서성재를 오르니 제법 눈에 신발이빠져 발토시를 착용하고 칠불봉 상왕봉을 경유하여 자연의 신비에 감탄하며 황홀한 설경을 마음껏 만끽하고 운무에 쌓인 날씨지만 자연이 아니면 만들어낼 수 없는 풍광 몇장 카메라에 담아 왔다. 2020.1.28 칠불봉 오르는 구간에서 멀리 만물상 능선이 보인다. 만물산 능선 칠불봉에서 상왕봉 구간 2020. 1. 29. 가야산 정상 설경 (2018.3.22) 2018년 3월22일 오후 1시경의 가야산 칠불봉에서 상왕봉 부근의 자연이 선사해준 눈꽃의 풍광이 감탄사를 연발하게 만든다. 가야산 정상을 오를때마다 200여m 거리를 두고있는 칠불봉(1433m)과 우두봉(1430m)을 밟으며 아직도 가야산 주봉에대한 정의가 애매모호하다. 지금까지 우두봉(상왕봉)이 가야산에 가장높은 주봉우리로 알려졌고 그렇게 기록되어져 오다 근래에 칠불봉의 높이가 3m 더 높은것으로 밝혀졌음에도 각각 봉우리의 행정적인 주소가 칠불봉은 성주군.우두봉은 합천군이라 지자체간의 묘한 대립으로 관계 기관의 시원스런 정의가 내려지지 않고 있다. 아마 뒤늦게 밝혀진 칠불봉이 합천군에 속했더라면 가야산의 주봉은 칠불봉이라 무리없이 정리되지 않았을까. 어떻든 가야산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는 경상북도 성주.. 2018. 3. 25. 눈내린 가야산 만물상 2018년 3월 9일 경북 성주퍌경중 제1경인 가야산 만물상의 눈내린 풍경이다. 많은 눈이 내려 등산객이 거의 없는 가야산 초봄의 눈내린 가야산을 찿았다. 50cm 이상 내린 눈속의 만물상은 감탄을 자아 내기에 충분하다. 아래의 사진은 만물상 풍경이다. 멀리 보이는 봉우리는 가야산 정상 칠불봉 능선이다. 만물상 전체전경. 용기골 계곡 서성재에서 상아덤 방향 상아덤에서 바라본 칠불봉 구름에 가려있다. 만물상서 바라본 눈내린 심원사찰 전경 2018. 3. 13. 가야산 만추(경북.성주) 2017년 10월 23일 가야산(伽倻山) 정상 칠불봉(七佛峰)1433m 에서 바라본 가을 가야산의 풍경 입니다. 늦은 가을로 접어들며 단풍이 7부 능선쯤에서 윗쪽으로는 낙엽이 되어 버렸고 아래쪽으로 단풍이 물들어 갑니다. 자연의 질서와 아름다움에 인간은 겸손해 질수밖에... 칠불봉서 바라본 만물산 능선 동성봉 능선 저멀리 남산 제일봉도 눈에 들어오고 칠불봉 고태스러운 소나무 서성재에서 칠불봉 방향 능선 단풍 칠불봉 암석 봉우리 칠불봉서 서쪽방향 우비정(牛鼻井)이 있는상왕봉(象王峰) 상왕봉과 가야산 19경인 우비정 해인사와 2시 방향쯤 원당암이 보인다. 가야산 정상인 칠불봉(1433m) 칠불봉 표지석 이곳은 행정구역상 성주군 가천면 법전리에 속한다. 상왕봉 상왕봉서 바라본 가야산 18경 봉천대(奉天臺) 상.. 2017. 10. 25. 영지(影池)Pond of Reflection 해인사 일주문 들어 가기전 오른편 계곡을 막아놓은 조그만 연못을 볼수있다. 이곳은 대가야국의 김수로왕이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인 허황후와 혼례하여 많은 자손을 두었는데 그중 일곱 왕자가 허황후의 오빠인 장유 화상의 수행력에 감화되어 처음 입산수도하게 된 곳이 이곳 가야산 칠불봉(2433m) 이다. 자식을 출가시킨 허황후는 아들들의 안위가 걱정이 되어 수 차례 찿아와 만나자고 했으나 만 날 수 없자 일곱 왕자가 수도하고 있는 봉우리가 그림자져 비치는 이 연못에서 그림자만을 보고 그리움을 달랬다고 하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그림자못" 이라고 하여 영지(影池)라 불리게 되었다(출처:여래기획제작 가야산해인사) 2016. 2. 13. 가야산 숨은비경(암능.바위) 가야산 국립공원의 가야산과 남산제일봉.매화산은 기묘한 바위와 암봉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이중환이 지은 택리지(擇里誌)를 보면 우리나라의 산을 돌산과 토산으로 구분하고 경상도에는 석화성(石火星)이 없다. 오직 합천의 가야산 만이 뾰쪽한 돌이 줄을 잇달아서 불꽃 같으며 공중에 따로 솟아서 극히 높고 빼어나다.하였습니다. 사방 어디서든 불꽃으로 일컬어지는 기암봉(奇岩峰)을 볼수 있다는 것이 가야산의 큰 매력이 아닐까 합니다. 가야산의 봉우리와 능선별로 바위의 종류가 다르게 되어있어 남서~북동으로 연결된 우두봉.칠불봉.동성봉 능선은 회장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산제일봉 능선은 화강암으로 정상부를 따라 기둥바위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는게 특징이며 백운동 계곡은 주변 능선에서 생성된 풍화산.. 2016. 1. 20. 가야산을 다녀왔습니다. 거주 하는곳에서 가까이 있다보니 가야산은 아주 자주 가는편이다. 산골에 살면서도 산은 언제나 좋은거 같다. 사실은 1월1일날 가야산 칠불봉에서 2016년도 일출을 맞이 할려다가 계획이 바꿰 독용산으로간 아쉬움도 있고 작년부터 가야산국립공원 자원봉사자로서 금년부터는 자원활동가로서 이젠 예전과 다르게 산을 오르게되면 처음 오시는 탐방객 한테 탐방안내도 해드리고. 쓰레기도 줍고.또한 숲해설가.자연환경해설사로서 자연환경과 숲에 좀더 관심을 가지게 되는거 같다 오늘은 백운동 주차장을 출발하여 용기골로 칠불봉을 경유 상왕봉을 올랐다가 해인사 방향으로 하산하여 소리길로 매표소가 있는 홍류문까지 약12km의 거리를 약 4시간 정도 소요되었다. * 아래의 사진은 칠불봉 근처의 노송풍경.칠불봉에서 바라본 만물상능선. 칠불.. 2016. 1. 4. 가야산 칠불봉 능선비경 서성재에서 칠불봉 그리고 상왕봉 주변 풍경 입니다. 칠불봉 건너편에서 바라본 가야산 정상 칠불봉 입니다. 칠불봉에서 바라본 상왕봉 전경 입니다. 만물상 상아덤에서 바라본 가야산 정상 능선 입니다. 2011. 1. 4. 가야산 정상 칠불봉비경 가야산 정상 칠불봉은 1.433m 높이로 위치는 행정구역 상으로 경북.성주군.가천면.법전리에 속하며 가야산 전체 면적은 80.163 m2중 성주군에 속하는 지역이 61%를 차지 하는데 가야산은 1시 4개군(김천시.성주.고령.합천.거창)에 걸쳐 있으며 국립공원 으로서 가야국 창조의 정견모주(正見母主)가 살았다는 전설이 있는 명산으로 우두산(于頭山)상왕산(象王山)운산(雲山) 상향산(象向山)지항산(只恒山) 이라고도 칭 하는데 성주지방에서는 개산 이라고도 부릅니다. 가야산은 우리나라 8 경중 하나로 주봉이 칠불봉(1.433)상왕봉(1.430) 두리봉(1.133) 남산(1.113) 단지봉(1.028) 남산 제1봉(1.010) 매화산(954) 등 연봉과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가야산 정상 칠불봉 입니다. 칠불.. 2011. 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