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주8

성.이시돌목장 설립자 맥그린치 신부 선종. 2018년 4월23일 컴퓨터를 켜니까 맥그린치 신부님 선종소식이 가장먼저 눈에 들어온다. 성.이시돌목장의 설립자이며 제주 축산업 아버지라 불리었던 패트릭 맥그린치 (한국명: 임피제)신부는 성 맥그린치와 패트릭제임의 머리글자를 따 임피제란 한글 이름을 사용 하였다고 한다. 한국생활 65년동안 평생을 사회공헌사업에만 몰두하다 올해 90세의 나이에 선종하신 신부님의 죽음에 애도를 보내며 경의를 표해본다. 2011년 10월 20일날 성 이시돌을 방문한적이 있어 그때의 사진 몇장을 찿아보며 맥그린치 신부님의 생애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본다. 이곳 성 이시돌 목장은 제주 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동길 35(금악리142번지) 성 이시돌은 (st. lsidore)은 서기 1110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출생한.. 2018. 4. 26.
제주 중문.대포주상절리(柱狀節理) 이곳 주상절리는 제주도 서귀포시 중문동에서 대포동까지 약 2km에 걸쳐 발달되어 있으며 이곳의 옛 이름은 지삿개.지삿개바위로도 불려지고 있다고하며. 높이가 30~40m에 달하고 폭이 1km로 규모 면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다. 아래사진은 비오는날 2011년 10월 20일 촬영. 주상절리는 현무암에 잘 발달하지만, 조면암과 안산암에서도 발달한다. 주상절리가 발달한 곳은 풍화와 침식을 받으면 수직 절벽이 잘 발달하며 하천이나 해안에서 주상절리가 형성될 경우 폭포가 만들어지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용암이 식을 때는 수축하면서 갈라지게 되는데 이 때 용암 표면에는 수축 중심점들이 생기고 이러한 점들이 고르게 분포하는 경우 용암은 6각형의 무수한 돌기둥으로 갈라지게 된다. 마치 여름철에 가뭄이 들면 논바.. 2016. 3. 5.
신창상동 팽나무(제주.한경) 제주시 한경면 신창리 상동부락 골목길 세갈래길 중앙에 자리 잡고있는 나무로 안내판이 없어 자세한 내용은 모르겠지만 수종은 퍵나무가 아닌가 싶은데 섬세한 가지가 일품 입니다. 나무 아래는 방부목으로 나무를 보호하는 기능과 쉼터 공간으로 지혜롭게 정성 스럽게 설치를 해놓은 것이 인상적 입니다. 2016. 2. 10.
산방산(山房山).겨울(제주.서귀포.안덕) 신방산은 높이 395m이며, 모슬포로부터 동쪽 4㎞ 해안에 있다. 유동성이 적은 조면암질 안산암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종상화산이다. 신생대 제3기에 화산회층 및 화산사층을 뚫고 바다에서 분출하면서 서서히 융기하여 지금의 모양을 이루었다. 산정부근에는 구실잣밤나무·후박나무·겨울딸기·생달나무 등 난대림이 숲을 이루고 있다. 유일한 섬회양목 자생지이기도 하다. 암벽에는 지네발란·동백나무겨우살이·풍란·방기·석곡 등 해안성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1966년 천연기념물 제182-5호로 지정·보호되고 있다. 또한 산양이 서식하고 있다. 산의 남쪽에는 화산회층이 풍화된 독특한 경관의 용머리해안이 있으며, 이곳에 하멜 표류기념탑이 건립되어 있다. 제주10경의 하나이다. 유동성이 적은 조면암질 안산암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2016. 2. 5.
새미 은총의동산(제주.한림) 새미 은총의 동산은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365-1번지에 위치 하고 있으며 예수생애 공원으로 동산 초입에 예수님의 탄생으로부터 최후의 만찬까지 공생활중 중요 사건을 테마로한 실제 크기의 제작된 조각품 입니다. 제주교구 > 새미 은총의 동산 간략설명 삼위일체 하느님을 향한 기도와 묵상의 장소 지번주소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금악리 365-1 도로주소 제주도 제주시 한림읍 새미소길 15 전화번호 (064)796-4181 팩스번호 (064)796-4125 홈페이지 http://www.isidore.or.kr 관련기관 성 이시돌 피정의 집 (064)796-4182 관련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산록남로 53 ‘삼뫼소’는 세 개의 오름(봉우리)으로 둘러싸인 못이란 뜻이다. 전체 면적이 8만평에 달하는 이곳은.. 2015. 2. 3.
제주절물자연휴양림(제주.명림) 제주시 봉개동 화산 분화구 아래 1997년 7월 23일 개장한 제주절물자연휴양림은 총 300ha의 면적에 40~45년생 삼나무가 수림의 90%이상을 차지하여 빽빽하게 들어서 있고 바다쪽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해풍과 절묘한 조화를 이뤄 한 여름에도 시원한 한기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원래 삼나무는 속성수로써 바람이 많은 제주에서 감귤나무 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풍림 목적으로 심어졌고 이곳은 지역주민이 심어 자연 휴양림으로 개발되면서 안락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휴양림내에는 숲속의집, 산림문화휴양관, 약수터, 연못, 잔디광장, 세미나실, 맨발지압 효과의 산책로, 순수한 흙길로 된 장생의 숲길등 다양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가족끼리 혹은 연인끼리 오붓한 시간을 보낼수 있다. 산책로는 비교적 완만하고 경사도.. 2015. 1. 30.
용수성지(제주.한경) 제주시 한경면.용수리.해안가에 있는 용수성지는 성 김대건(안드레아) 신부가 중국 상해항을 출발하여 서해 바닷길로 귀국 하다가 표착 한곳으로 여기엔 기념성당과 기념관. 그 당시 일행 13명과 표류했던 무동력선 배(라파엘호 명명)의 실제 크기 모형배를 복원하여 전시 되어 있습니다. 용수성지는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4266번지(기념관)에 위치 하고 있으며 이곳 제주도에 천주교가 처음 들어 온때는 1801년 신유박해때 순교한 황사영 부인인 정난주(마리아)가 대정에 귀양 오면서 천주교 신앙이 시작 되었고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안드레아)신부가 중국 상해 김가항 성당에서 한국인 최초(1845.8.17) 로 사제 서품을 받고 1845년 8월 31일 페레올 주교등 일행 13명과 함께 라파엘호를 타고 귀국 .. 2015. 1. 30.
제주.용연(龍淵)제주.용담 용연(龍淵)은 제주시 서쪽에 형성되어 있는 한천(寒川) 하류의 연못과 같은 곳으로 용담동 동한드기와 서한드기 사이의 소(沼)를 말하며 취병담 또는 용추(龍湫)라고도 불려 졌으며 조선시대에는 목사.판관. 유배인등이 풍류를 즐기던 곳 입니다. 용연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에 위치 하고 있으며 기념물 제57호로 지정 2015. 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