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해박해7

남방제성지(충남.서원) 2024.8.25남방제란 마을은 박해 시대 때 천주교 교우촌으로 순교자들이 살았던 곳이다.이곳은 성 조윤호(요셉 1848~1866) 성인이 태어난 곳이며 우리나라 네 번째 한국인 사제인 정규하(아우구스티노 1863~1943) 신부의 탄생지 이기도 하다.그리고 최양업 신부의 복사자로 봉사했던 성 조윤호 성인 부친 조화서(베드로 1815~1866) 도병인박해 때 순교를 하였고 할아버지 조 안드레아도 기해박해(1839년) 때 순교를 하여3대가 순교를 하게 된다. * 수원 도마지에서 살아왔던 조화서 베드로는 남방제로 이주하여 살다 1865년에 다시 전주 성지동으로 가족이 이사를 하여 1866년 조윤호는 이 루치아와 혼인을 한다.1866년 12월 5일 조 윤호는 아버지와 같이 체포가 되어 아버지 조 화서는 12월.. 2024. 9. 9.
남한산성 성지(경기.광주) 2024.7.27남한산성성지 이곳은 신해박해(1791년). 신유박해(1801년). 기해박해(1839년)병인박해(1866년)까지 약 300 명 정도가 참수형. 교수형. 장살형 등으로 순교를 한 곳으로병인박해 때에는 백지사 형벌이 시행 되기도 하였다.구산성지의 아홉명의 순교자도 이곳에서 문초를 받고 순교를 하였고이천 단내에 거주 하였던 정은(바오로)과 재종손인 정베드로는 1866년 12월 8일백지사형으로 순교하였다.한 덕운(토마스)은 광주 의일리(현 의왕시 학의동)에 살다가남한산성 옛길이 지나는 곳을 처형터로 이용되었으며 참수당하기 전 망나니에게 "내 머리를 한 칼에 베어주시오"라고 말했다는일화가 전해진다.남한산성은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 때 쌓은 주장성의 옛 터를 활용하여 16.. 2024. 8. 12.
구산(龜山)성지 (경기도.하남) 2024.7.27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하고 있는 구산 성지는 뒷산의 지형이 거북이형상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하고 이곳 천주교 성지를 은총과 치유의 성지라고도 부른다. 박해 시대 이래로 천주교 교우촌이자 순교 성지라 할 수 있다.1841년 4월 교수형을 받고 순교한 성 김성우(안토니오) 가족 7명이 순교한 곳이다.첫 째 동생 덕심(아우구스티노). 둘째 동생 윤심(베드로알칸드라). 김성우 아들성희(암브로시오). 덕심의 아들 차희. 윤심의 아들 경희.사촌 김주집(스테파노)의 아들 윤희. 최지현. 심칠여(아성 김성우는 1836년 모방 베드로 신부를 모셔와 성사를 받고 공소회장으로 봉사를 하다1841년 4월 29일 47세 나이로 교수형으로 죽음을 맞이했다.* 모방베드로신부(1803~1839) - 프랑스 바시에서.. 2024. 7. 31.
죽림굴 성지 (울산시.울주) 2024.3.17. 한국 천주교 성지 (성지. 순교사적지. 순례지)는 전국에 167 곳을 지정해 놓았는데 이중에 접근성이 가장 힘들고 어려운곳이 두 군데로 한 곳은 제주 추자도 황경한묘고 다른 하나는 부산교구 소속 인 이곳 죽림굴 (대재공소) 이라고 한다. 이곳은 기해박해(1839년) 를 피해 충청도 영남지방에서 피난하여 안전한 장소를 찾다가 발견한 곳으로 1840년에서 1860년까지 샤스탕 정 신부와 다블뤼 안 주교가 사목을 담당했던 구역이었고 경신박해(1860년) 이후에는 최양업 신부가 3개월간 은신했던 곳이다. 찾아가는 길은 2020년 12월 11일 개통된 고속도로 배내골 ic 가 개통. ic를 나오면 1051번 지방도 배내골에서 출발하는 곳은 두 곳으로 배내 2 공영주차장에서 출발 하는곳과 다른 .. 2024. 3. 18.
숲정이 성지(전북.전주) 숲정이란 순수한 우리말로 주로 마을 부근에 있는 숲을 숲정이라 불렀으며 조선시대에 군사훈련 지휘소가 있던 곳이었고 또한 전주성(城)의 장대(將臺)가 있덨 곳으로 전해진다. 이곳 전주 숲정이의 숲은 조선시대 관찰사 이 서구(李 書九)가 전주 부성의 북쪽인 이곳에 숲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후에는 천주교 박해가 시작되며 이곳 숲정이가 천주교인들의 사형장으로 사용된 슬픈 역사의 현장이다. 1801년의 신유박해. 1839년의 기해박해. 1866년도의 병인박해를 거치며 여기서 순교한 천주교인은 6명이 성인품에 12명이 복자품에 올라 있다. 순교자들을 위한 순교 기념비를 1935년에 세웠고 1984년도 9월 20일에 이곳을 시도 기념물 71호로 지정하였다. 주소: 전북 전주시 덕진구 진북 1동 1034-13.. 2023. 9. 7.
천호성지(天呼聖地) 전북.완주 오늘의 마지막 순례지가 될 전북 완주군 비봉면에 위치한 성호성지를 찾았다. 조선시대 안동 김 씨와 풍양 조 씨의 세 도권 쟁탈전으로 인한 천주교 박해가 시작된 기해박해(1839년. 헌종 6년)와 병인박해(1866년) 때 순교한 분들의 유해가 모셔져 있는 곳이다. 이곳은 천호산(天壺山. 501m ) 기슭의 천호(天呼) 마을로 천호란 천주(天主) 하느님의 이름을 부르며 살아간다는 뜻으로 천호산(天壺山)이란 이름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한다. 천호산은 하늘아래 호리병(壺)처럼 둘러 쌓인 외진 산골이며 또는 순교자들의 피를 가득 머금은 병 모양의 산골 이란 뜻도 가지고 있다고 한다. 먼저 부활성당이라 명명된 성전을 들어서 본다. 주소: 전북 완주군 비봉면 천호성지길 124 (내월리 905-4) 천호성지 부활성당 *.. 2023. 5. 11.
강원감영(순교사적지)강원.원주 감영은 조선시대 천주교 신자들의 순교지 인 곳이 많다. 이곳 강원감영도 이곳에서 순교한 순교자 세 분이 2014년도에 시복(諡福)되었다. 김강이(시몬)는 충청도 서산 출신으로 입교 뒤 전라도 고산땅에 살다가 1801년 신유박해 때부터 피신 다니며 복음을 전하다가 1815년 을해박해 때 강원도 울진(현. 경북)에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고문으로 옥사를 하였고 최해성(요한)은 최경한 성인의 일가로 신유박해 때 조부가 유배된 충청도 다락골(청양) 에서 원주 서지론으로 이주하여 교우촌을 이루었다가 1839년 기해박해 때 체포되어 고문을 닿한뒤 참수 치명 당 하였다. 최 바르지 타는 황사영 알렉시오를 숨겨 준 죄목으로 유배당한 남편이 죽자 오빠가 사는 서지 마을에 와서 살다가 강원 감영에 갇힌 조카 최해성을.. 2023. 3. 8.